고급사고력 신장을 위한 역할놀이 교수-학습 모형 개발에 관한 현장 연구

The Development of a Role Play Instruction Model to Increase Higher- order Thinking Ability in Geographical Education

  • 발행 : 2005.03.01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지리과에서의 고급사고력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 개발을 개발하고 현장에 적용해 보는 것이다. 논문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고급사고력 신장과 관련된 문헌을 검토하고 고급사고력신장에 있어서 역할놀이의 교육적 의의와 활용에 대해 논의하였다. 고급사고력은 새로운 상황에 직면했을 때 독창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는 정신작용으로, 본고에서는 고급사고력을 문제해결과 의사결정능력, 창의적 사고, 비판적 사고, 메타인지로 구분하였다. 다양한 교수-학습 모형의 적용을 통하여 학생들은 창의적 사고, 비판적 사고, 문제해결과 의사결정능력, 메타인지 등 고급사고력을 신장시킬 수 있다. 본고에서는 고급사고력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 중 하나로 역할놀이를 10학년 사회교과서 중 환경관련 단원 (IV. 환경문제와 지역문제)을 사례로 개발하였다. 개발한 역할놀이 교수-학습 모형을 서울시내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현장에 적용하였다. 역할놀이에 참여한 학생들은 주어진 지리적 문제 상황에 맞는 역할극을 실연해 보고 관찰한 것을 바탕으로 서로의 예측 결과를 공유하고 토론하고 일반화함으로써 문제해결과 의사결정, 창의적 사고, 비판적 사고, 메타인지 등 고급사고력을 신장시킬 수 있고 가치관, 태도 등 기능적$\cdot$정의적 영역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role play instruction model to increase higher-order thinking abilities in geographical education. This study reviewed the references which included the contents of higher-order thinking abilities, and discusse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and application of role play instruction model. The developed role play instruction model was applied to four classes in high school in Korea. After applying the model, this study asked some question about the model to the students which engaged in this model. Higher-order thinking essentially means thinking that takes place in the higher-levels of the hierarchy of cognitive processing. Higher-order thinking abilities contain critical thinking abilities, creative thinking abilities, problem solving and decision making abilities, meta-cognition abilities. The role play instruction model is an effective method which can increase higher- order thinking abilities. The questioning to students which engaged in the class of applying to role play instruction model provides feedback about development instruction models to increase higher-order thinking abilities.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부, 1997, 사회과 교육과정, 교육부
  2. 구정화, 1995, '사회과 고급사고를 위한 메타인지 전략,' 사회와교육, 21, 278-292
  3. 권순덕, 1999, '지리학습의 개별화를 위한 비판적 사고 기능의 선정과 메타인지의 계획 . 실행 . 평가과정에 관한 연구,' 지리 . 환경교육, 7(1), 213-236
  4. 김지수, 1999, '고등학교 지리수업에 있어서 그룹별 현장 학습: 지역조사와 역할놀이를 중심으로,' 교육. 생활과학논총, 2, 137-143
  5. 남궁철, 2003, 지리과에서 역할놀이 학습모형 활용에 관한 연구-쓰레기 매립장 입지선정 문제를 중심으로, 서울대석사학위논문
  6. 남상준, 1996, '사회과에서의 창의적 사고력 교육' 사회과 교육, 29, 65-79
  7. 남상준, 1999, 지리교육의 탐구, 교육과학사
  8. 마경묵, 2002, '지리과 수행평가의 적용과 수행평가의 적절성.'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0(2),99-114
  9. 박성익 . 권닥원 역, 1994, 수업모형의 적용 기술, 성원사
  10. 서태열, 1993, '지리교육과정 및 교수의 기본 원리,' 지리 . 환경교육, 191, 47-68
  11. 성일제, 1988. 사고력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연구(II), 한국교육개발원
  12. 성일제, 1989, 사고교육의 이론과 실제, 배영사
  13. 손영화, 1984, '지리교재의 극화학습이 지역사회에 관한 문제 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위연구논문집, 43, 52-70
  14. 송호열, 2002, '소음 단원의 교수-학습 모형 개발 및 적용 에 관한 현장 연구,' 환경교육, 15(2), 14-29
  15. 신중성 . 한병선, 1999, 지리교육의 실제, 성신여자대학교 출판부
  16. 이경한 . 남궁봉 . 최진성, 1998, '지리교육에서의 가치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대한지리학회지, 33(1), 109-122
  17. 이시경 . 유태명, 1997, '고등학교 가정교과 가족관계 영역을 중심으로 한 역할놀이 수업모형의 개발 및 적용,'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9(2), 101-114
  18. 이지륜, 1990, 시뮬레이션 게임에 의한 지리과 학습의 연구, 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
  19. 임덕순, 2002, 메타인지와 그의 지리교육적용, 대한지리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문(2002년 6월), 123-126
  20. 신동구, 2000, '역할극을 활용한 사회과 수업방법,' 초등우리교육 12월호, 170-174
  21. 조광준, 1983, '사회과 지리에서의 가상 실연 학습,' 서울 교대논문집, 16, 97-117
  22. 차경수, 1996, 현대의 사회과 교육, 학문사, 서울
  23. 최석진, 1987, '사회과에서의 모의놀이 학습(상)-지리적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연구 12월호, 14-19
  24. 최용규, 1997, '역사학습에서의 의사결정,' 사회과교육학연구, 창간호, 30-51
  25. 최원회, 1994, '사고수업과정의 모색과 지리과에의 적용방안 연구,' 지리 . 환경교육, 2(1), 29-46
  26.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1, 환경교육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 연구 개발, 연구보고 RRC 2001-1
  27. 허경철, 1993, '사고력의 개념화,' 서울특별시교육연구원, 사고력 교육의 이론과 실제, 교단지원자료 93-8, 1-23
  28. 홍기대, 1996, '초등 사회과 지리 분야에서의 창의적 사고력 신장,' 사회과 교육, 29, 105-125
  29. 황상주, 1999, '사회과에 관한 구성주의적 이해,' 사회과 교육, 32, 209-228
  30. Beyer, B.K., 1987, Practical Strategies for the Teachinig of Thinking, Allyn & Bacon, Boston
  31. Costa, A.C., 1984, Mediationg the Metacognitive, Educational Leadership, Practical Strategies for the Teaching of Thinking, 42(3), 57-62
  32. Ennis, R., 1962, A Concept of Critical Thinking, Harbard Educational Review, 32(1), 81-111
  33. Joyce B., and Weil, M., 1986, Models of Teacbing, Prentice-Hall, Englewood Cliffs, NJ
  34. Newmann, F.M., 1991, Promoting Higher Order Thinking in Social Studies: Overview of a Study of 16 High School Department, Theory and Research in Social Education, National Council for the Social Stucies, Fall, 325-329
  35. Woolever, R.M. and Scott, K.P., 1988, Active Learning in Social Studies Promoting Cognitive and Social Growtb, Scott, Foreman and Company, Bos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