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ccurrence of Viral Diseases in Barley Fields and Responses of Resistant Genes to BaYMV-Ik and BaMMV

맥류 바이러스병 발생 현황 및 BaYMV-Ik와 BnMMV에 대한 저항성 유전자의 반응

  • Park Jong-Chul (Ho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NICS, RDA) ;
  • Seo Jae-Hwan (Ho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NICS, RDA) ;
  • Kim Yang-Kil (Ho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NICS, RDA) ;
  • Kim Jung-Gon (Ho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NICS, RDA)
  • 박종철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 서재환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 김양길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 김정곤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Published : 2005.06.01

Abstract

The major symptom such as yellowish and mosaic spots in overwintering barley were mostly caused by viruses such as Barley yellow mosaic virus (BaYMV) and Barley mild mosaic virus (BaMMV) in the nation-wide for four years. The result showed that more than $78\%$ collected samples were infected by the viruses. The incidence of Ba YMV was more than $70\%$, and relatively uniformly distributed in the southern regions of barley fields in Korea. However the incidence of BaYMV in Gyeonggi Province was as low as $19\%$ compared to $65\~85\%$ in the rest of regions. Occurrence of BaMMV varied depending on investigated regions such as $20\~40\%$ in Jeonbuk, Jeonnam, Gangwon and Gyeongnam, and a lower infection in Gyeongbuk, Chungnam and Gyeonggi Provinces. In this result, $60\%$ of BaMMV was found to be in the southwest regions of Korea such as Jeonbuk and Jeonnam Provinces. Over all, both BaYMV and BaMMV were thought to be dominantly casual agents in overwintering barley by either solely or mixed infections. Soil-borne wheat mosaic virus(SBWMV) occurred at most $14\%$ in Gyeonggi and Barley yellow dwarf virus-MAY (BYDV­MAV) was found only one place in Jeonbuk, suggesting that SBWMV and BYDV-MAV were not significant diseases in Korea. Exotic genetic resources that possess different resistant genes to BaYMV and BaMMV were tested to identify the responses to the viruses occurred in Iksan. According to the ELISA results, BaYMV and BaMMV were infected in some plant materials but SBWMV was not identified. Any resistant gene was not effective to BaYMV-Ik (Insan strain) and BaMMY. Ishukushirazu (rym 3) and Chosen (rym 3), Tokushima Mochi Hadaka (rym 4y) and Hakei 1-41 (rym 5a) showed resistant response with little symptoms to BaYMY. The other five accessions possessing rym 1+5, rym 2, rym 4m, rym 5 and rym 9, respectively, were resistant to BaMMV. Various symptoms were observed in the tested plant materials such as not only yellowish and mosaic symptoms mostly but also necrotic spot, tissue necrosis, leaf stripe and leaf curling. However, it was difficult to find any relationship between resistant genes and specific symptoms.

월동 후 맥류 재배지에서 나타나는 이상 증상으로는 주로 잎에 황화등의 변색과 모자이크성 반점 등이 조사되었다. 이들 증상을 가진 잎의 바이러스 검정 결과 $78\%$이상에서 바이러스 감염이 확인되었으며, 주로 BaYMV와 BaMMV에 의해 발생하였다. 전국일원의 맥류 재배지에서 4개년간 BaYMV, BaMMV SBWMV와 BYDV-MAV(2003년) 등 4종의 바이러스의 발생율을 조사한 결과 대상 바이러스 중 BaYMV가 가장 높은 감염율을 나타내었다. BaYMV는 조사 4개년 동안 평균 발생율이 $70\%$이상으로 전국적으로 큰 차이 없이 가장 높은 발생율을 보였다. 그러나 경기지역의 경우는 $20\%$정도로 다른 지역의 $65\~85\%$에 비해 낮은 발생율을 보였다. BaMMV는 전북, 전남, 경기, 강원, 경남지역에서 $20\~40\%$를 보인 반면, 경북, 충남, 경기지역에서는 발생이 적었다. SBWMV와 BYDV-MAV는 현재까지 국내 보리 재배지에서 다발생되고 있지는 않았다. 저항성 유전자원에 대해 바이러스에 대한 저항성 반응을 검정한 결과 BaYMV와 BaMMV가 단독 또는 복합 감염되는 형태로 나타났으며, SBWMV는 감염이 확인되지 않았다. 저항성 유전자별 반응을 검정한 결과에서 익산 발생하고 있는 BaYMV-Ik strain과 BaMMV에 대해 모두 저항성인 유전자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국내 맥류 재배지에서 가장 발생이 많은 BaYMY-lk체 대해 저항성 반응을 보인 유전자는 Ishukushirazu, Chosen에 들어있는 rym 3, Tokushima Mochi Hadaka의 rym 4y 및 Hakei I-41의 rym 5a로 나타났다. 그러나 BaYMY-lk에 대해 저항성으로 확인된 rym 3, rym 4y 및 rym 5a의 경우 BaMMV에는 모두 감염이 확인되었으며, rym 1+5 두개의 저항성 유전자를 가지고 있으며 일본의 모든 BaYMV strain에 저항성인 Mokusekko 3도 감염이 확인되었다. 유전자에 따른 병징 발생 양상을 조사한 결과 일반적인 바이러스 병징과 같이 대부분 모자이크나 황화가 발생하였다. 그러나 저항성 유전자에 따라 고사, 괴사 반점, 조직 괴사, 줄무늬성 증상과 잎 말림등의 다양한 증상이 확인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Abbott, D, M B. Wang, and P Waterhouse. 2002. A single copy of virus-derived, transgenic-encoding hairpin RNA confers BYDV immunity Barley Yellow Dwarf Disease symposium proceeding 22-26pp. CIMMYT. Mexico. p. 139
  2. Adams, M J., J. F. Antoniw, and J. G Mullins. 2001. Plant virus transmission by plsmodiophond fungi is associated With distinctive transmembrane regions of virus-encoded proteins Arch Virol 146 1139-1153 https://doi.org/10.1007/s007050170111
  3. Barr, D J. Sand J. T Slykhurr 1976 Further observation on zoosponc fungi associated with wheat spindle streak mosaic Can. Plant Dis 556 77-81
  4. Chen, J., A. G Swaby, M J Adams, and Y. Ruan 1991 Barley mild mosaic virus inside Its fungal vector, Polymyxa graminis. Ann. Appl Biol 118 . 615-621 https://doi.org/10.1111/j.1744-7348.1991.tb05351.x
  5. Frahm, J H. 1989 Reduced yield caused by BaYMV - in Lippe, Westphalia an analysis of causal factors. Gesunde Pflanzen 41 : 45-46
  6. 하용웅 2000 보리 제 6장 병해충 및 기상재해 pp. 275-292 하용웅 박사 정년기념집 발간 위원회
  7. 호남농업시험장 1996 1996년도 시험 연구 보고서 pp. 102-115. 농촌진흥청 호남농업시험장
  8. 호남농업시험장. 2002 2002년도 시험 연구 보고서 표준재배법-쌀 보리 pp. 26-27 농촌진흥청 호남농업시험장
  9. Jensen, S. G 1973. Systemic movement of barley yellow dwarf virus in small grains. Phytopathology 63 . 854-856 https://doi.org/10.1094/Phyto-63-854
  10. Kashiwazaki S, K Ogawa, T Usugi, T Omura, and T. Tsucluzaki, 1989 Characterization of several stratns of barley yellow mosaic virus. Ann. Phytopath. Soc. Japan 55 : 16-25 https://doi.org/10.3186/jjphytopath.55.16
  11. 김양길. 1997. 파종시기에 따른 보리호위축병 발생이 맥주보리의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2. 김양길, 서재환, 박종철, 이중호 2003. 보리호위축병(BaYMV)이 병에 따른 쌀보리 품종의 생육특성 및 품질. 한국작물학회. 48(6) 501-505
  13. Kojima, M., A. Matsubara, S Yanase, and S Toriyama 1983 The occurrence of barley yellow dwarf disease In Japan Ann Phytopath. Soc. Japan 49 . 338-346 https://doi.org/10.3186/jjphytopath.49.338
  14. 이귀재 1997. 한국에 발생하는 보리마일드모자이크 바이러스 (BaMMY)의 특성 및 유전자 구조. 전북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17pp
  15. 이귀재, 소인영, S. Kashiwazaki 1998. 보리누른모자이크바이러스(BaYMV)의 분리 및 동정. 한국식물병리학회지 14: 62-67
  16. 이귀재, 박종철, 이왕휴 2002 보리호위축바이러스의 genome 구조와 병원성, 보리호위축병 저항성 육종의 분자생물학적 접근 71-80 호남농업시험장
  17. 이순형 1981 한국의 주요 작물 바이러스병에 관한 연구. 농시보고 23 62-74
  18. Lister, R M. and R Ramer. 1995. Distnbution and economic Importance of barley yellow dwarf virus. In D'Arcy, C J. and Burnett, P A (eds). Barley Yellow Dwarf 40 years of Progress The American Phytopathological Society, Minnesota. pp. 29-53
  19. Lundsgaard, T. 1976. Routine seed health testing for barley stripe mosaic virus In barley seeds using the latex-test. J. of Plant Disease and Protection pp. 278-283
  20. 村山大記, 藍耀村. 1965. 北地ムギモサイク病に關する研究. 日植病報 30: p 86
  21. 나용준, 박양수. 1979 혈청학적 방법에 의한 보리와 밀 종자의 보리줄무늬모자이크바이러스 감염상 조사. 한국식물보호학회지 18 29-33
  22. 박종철, 서재환, 김형무, 이귀재, 박상래, 서득룡.2003. 기상요인이 보리호위축병(BaYMV) 발생에 미치는 영향. 한국작물학회지 48.156-159
  23. 박종철, 이재동, 서재환, 김양길, 정선기, 김형무 2004. 보리호위축병 (Barley yellow mosazc virus)에 의한 보리의 생육 피해 및 세포학적 변화 식물병 연구10(1) : 34-38
  24. 박종철 2004 보리호위축병 (Barley yellow mosazc vzrus)의 발생 상황과 핵산 구조에 의한 지역간 비교. 전북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5. Prescott, J. M., P A. Burnett, E. E. Saari, J Ransom, J Bowman, W de Millano, R. P. Sing, and Bekele, G 1986 Wheat Disease and Pests: a guide for field identification CIMMYT Mexico, D F. Mexico
  26. 齊藤康夫, 高梨和雄 ,岩田吉人, 岡本弘 1953 土壌傳染性ムギウイノレ ス病に關すろ研究 1 .病原ウイルスの諸性質. 農林研報告C 17. 19-25
  27. Singh, R. P, U. S Singh, and K Kohmoto. 1995. Pathogenicrty and host specificity III plant disease; Histopathological, biochemical, genetic and molecular bases, Vol. III Viruses and Vrroids 1-18 Elsevier Science Ltd. The Boulevard, Langford Lane, Kidington, Oxpord U K. 417
  28. 서세정. 1995. 보리호위축병 바이러스의 계통분류 및 저항성품종 육성의 기초적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9. 소인영, 정성수, 이귀재, 오양호. 1991 보리호위축바이러스 (BaYMV)의 매개체 검정 및 방제법에 관한 연구(II) 농시논문집 34 75-83
  30. 소인영, 이귀재, 전길형, 서재환. 1997. 남부지방에 발생하는 보리 호위축바이러스(BaYMV) 및 보리마일드모자이크바이러스 (BaMMY)의 분포와 저항성 품종 선발 한국식물병리학회지 13 .118-124
  31. 우미옥 2000 Barely yellow dwarf virus의 분자학적 동정 및 계통별 저항성 유전자원 탐색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