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unoff Analysis of Urban Drainage Using DR3M-II

DR3M-II를 이용한 도시배수유역의 유출해석

  • 민상기 (단국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이길춘 (단국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Published : 2005.09.01

Abstract

In this study, the U.S. Geological Survey's DR3M-II(Distributed Routing Rainfall-Runoff Model) was applied for small urban drainage. DR3M-II is a watershed model for routing storm runoff through a branched system of pipes and natural channels using rainfall input. The model was calibrated and verified using short term rainfall-runoff data collected from Sanbon basin. Also, the parameters were optimized using Rosenbrock technic. An estimated simulation error for peak discharge was about 7.4 percent and the result was quite acceptable. Results of the sensitivity analysis indicate that the percent of effective impervious area and ${\alpha}$ defining surface slope and roughness were the most sensitive variables affecting runoff volumes and peak discharge for low and high intensity storm respectively. In most cases, soil moisture accounting and infiltration parameters are the variables that give more effects to runoff volumes than peak discharge. Parameter ${\alpha}$ showed the opposite result.

미국 지질조사국(U.S Geological Survey)의 강우-유출모형 DR3M-II(Distributed Routing Rainfall-Runoff Model)를 이용해 도시배수유역의 유출해석을 수행하였다. DR3M-II는 강우사상을 입력자료로 하여 수지상의 관거 또는 자연수로망으로 구성된 도시유역에서의 유출추적을 위해 개발된 모형이다. 대상유역인 산본신도시에서의 실측유출자료를 이용한 모형의 검정 및 검증을 수행하였으며, Rosenbrock기법을 이용해 최적매개변수를 유도하였다. 검증결과 첨두유출량의 평균오차는 $7.4\%$로 상당히 양호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매개변수에 대한 민감도 분석결과 비교적 작은 강우강도의 비가 내릴 경우는 유효 불투수지역의 면적이 첨두유출량이나 유출체적에 가장 민감한 영향을 미치는 인자였으나, 큰 강우강도에서는 조도계수와 유역경사를 정의하는 운동파방정식의 계수 ${\alpha}$가 가장 민감한 영향을 미치는 인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적으로 첨두유출량보다는 유출체적이 침투능이나 토양함수조건을 정의하는 매개변수에 보다 민감한 반응을 보였으며, 매개변수 ${\alpha}$는 첨두유출량에 보다 민감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2000). 1999년도 수자원관리기법개발 연구조사 보고서, pp. 53-58
  2. 대한 주택공사 (1990). 산본지구 대지조성사업 실시설계 보고서, pp. 50-53
  3. 이종태, 이상태 (1997). '도시유역에서의 강우 공간분포 및 소유역분할이 유출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0권, 제2호, pp. 177-191
  4. 전병호, 원석연 (1994). 택지개발지구의 수리해석 기법 연구 : 도시유출모형에 관한 연구, 대한주택공사, pp. 78-123
  5. 한국희, 이길춘 (1996). '도시화 유역에서의 홍수 유출 특성.'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29권, 제3호, pp. 153-161
  6. Alley, W.M., and Smith, P.E. (1982). Distributed routing rainfall runoff model-versionII, U.S. Geological Survey Open-File Report, 82-344, 201 p.
  7. Dawdy, D.R., Lichty, R.W., and Bergman, J.M. (1972). A rainfall-runoff simulation model for estimation of flood peaks for small drainage basins, U.S. Geological Survey Professional Paper, 506-B, 28 p.
  8. Dawdy, D.R., Schaake, J.C., Jr., and Alley, W.M. (1978). User's guide for distributed routing rainfall-runoff model, U.S. Geological Survey Water-Resources Investigation Report, 78-90, 146 p.
  9. Leclerc, Guy, and Schaake, J.C. (1973). Methodology for assessing the potential impact of urban development on urban runoff and the relative efficiency of runoff control alternatives, Ralph M. Parsons Laboratory Report. No. 167,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257 p.
  10. Rosenbrock, H.H. (1960). 'An automatic method of finding the greatest or least value of a function.' Computer Jour., Vol. 3, pp. 175-184 https://doi.org/10.1093/comjnl/3.3.175
  11. Timothy P. Brabets. (1999). Precipitation-runoff, suspended-sediment, and flood- frequency characteristics for urbanized areas of Elmendorf air force base, Alaska, U.S. Geological Survey Water-Resources Investigations Report, 98-4265, 34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