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sks and Suggestions for Psychological Researchers on the Trust and Mistrust of Korean Society

한국사회의 신뢰와 불신에 관한 심리학 연구의 과제 및 제언

  • Received : 2005.01.24
  • Published : 2005.01.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eight researchers on the trust and mistrust of Korean society, and to suggest the tasks of psychological researches in terms of cultural psychological perspective. In traditional Korean culture, feeling of trust is emerged from the family relationship formed by the blood ties based on father-son relation. In this respect, the meaning of trust might be different from that of western culture, which is emerged from the market relationship formed by the contract based on husband-wife relation. Now, the Korean family seems to be disorganized rapidly, so in this sense, it is suggested that recent Korean society might be the trust-absent society rather than the mistrust society. Also, it is suggested that further psychological researches must be performed in the serious consideration of the indigeneous characteristics of Korean culture.

이 글은 본 특집호에 게재된 여덟 편의 논문을 소개하면서 현재 한국 사회의 신뢰와 불신에 대한 연구의 과제를 문화심리학적 입장에서 제안한 것이다. 한국의 전통적 문화에서 신뢰는 혈연을 기초로 맺어진 부자 관계를 중심으로 한 가족적 관계에서 배태된 것이라는 점을 밝히고 계약에 의해 맺어진 부부 관계를 기반으로 한 시장적 관계에서 배태된 서양의 신뢰와는 서로 다른 의미가 있다는 점을 밝혔다. 이런 의미에서 전통적 가족 관계가 급하게 해체되어 가는 현재 한국 사회는 불신의 사회가 아니라 신뢰부재의 사회라고 명명하였다. 그리고 앞으로의 심리학적 연구는 이런 한국적 문화의 특성을 충분히 배려한 토착심리학적 고려를 바탕으로 수행되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