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ilure experience and aspirations for the future: Indigenous psychological analysis of Korean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청소년과 부모의 실패와 미래성취 의식을 통해 본 한국인의 성취관련 토착심리

  • Received : 2005.05.20
  • Published : 2005.05.31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failure experience and aspirations for future among Korean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using indigenous psychological analysis. The first part of this paper reviews the achievement literature that has used indigenous psychological analysis. The second part of this paper provides an empirical analysis of 482 students (primary=117, middle school=88, high school=72, and university=205) and 507 parents of the adolescents (fathers= 236, mothers=271). The open-ended questionnaire developed by Park and Kim (1999) was adopted for the study that asked the respondents to list the most painful experience, the person that was the most responsible for the failure, and the most important reason for the failure. The section on aspirations for the future asked the respondents to list the achievement that they would most likely to succeed, the person that they need assistance from, the type of support they need from the person, and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would lead to them to success. The results indicate that for students the most painful failure was related to academic failure and for adults, it was related to family life. The person that was most responsible for the failure was reported by both samples be themselves. As for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influenced their failure was a lack of self-regulation, such as a lack of effort and persistence. For the aspiration for future, students listed academic and occupational success and for adults listed harmonious family life as the most important. For social support, the adolescents listed their parents and adults listed their spouse as the person that they need assistance from. As for type of support, they listed emotional support to be the most important. As for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would contribute to their success, majority of students and adults listed self-regulation. Based on these results and previous indigenous studies indicate, the following four conclusions could be drawn: (1) the emphasis of self-regulation as the most important reason for their past achievement, the future success and the lack of self-regulation for their failure; (2) the importance of receiving emotional support from family members; (3) the importance of educational aspiration and achievement for providing the basis of economic development; and 4) the importance goal of achieving harmonious family life.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과 부모의 실패와 미래성취에 대한 의식을 분석함으로써, 그동안의 선행연구 결과들과의 종합을 통해, 한국인의 성취관련 토착심리를 규명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분석대상은 989명이었는데, 청소년 482명(초 117명, 중 88명, 고 72명, 대 205명), 부모 507명(부 236명, 모 271명) 이었다. 질문지는 박영신과 김의철(1999)의 연구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자유반응형 문항이었다. 실패 의식은 가장 고통스러운 실패경험, 실패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사람, 실패의 가장 중요한 원인을 포함하였다. 미래성취 의식은 미래에 가장 성취하고 싶은 일, 미래의 성취를 위해 도움이 필요한 사람, 미래의 성취를 위해 필요한 도움의 내용, 미래성취를 위해 가장 중요한 요인을 다루었다. 분석결과, 청소년들은 학업실패를, 부모들은 가정생활실패, 학업실패 및 직업실패의 순서로, 가장 고통스러운 경험을 지적하였다. 실패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사람으로, 청소년과 부모 모두 자기자신을 많이 지적하였다. 실패의 가장 중요한 원인은 노력과 의지력으로 대표되는 자기조절 결여로 나타났다. 미래에 가장 성취하고 싶은 일은 청소년의 경우에 취업과 학업성취였으며, 성인의 경우에 행복한 가정생활이었다. 미래성취를 위해 도움이 필요한 사람으로서 청소년은 부모를, 성인은 배우자를 가장 많이 지적하였으며, 이들로부터 필요한 도움의 내용으로는 두 집단 모두 정서적 지원을 대표적으로 인식하였다. 미래성취를 위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서, 청소년과 부모집단 각각 반수 이상이 자기조절을 지적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와, 그동안 이루어진 일련의 선행연구 결과들에 기초하여, 한국인의 성취관련 토착심리로서 다음과 같은 특징들이 논의되었다. 1) 성취의 핵심적인 원인으로서, 노력에 가치를 두는 자기조절 경향성, 2) 성취를 위해 필요한 사회적 지원으로서, 가족으로부터 정서적 지원, 3) 한국 사회 발전의 원동력이 되어온, 학업성취에 대한 강한 열망, 4) 화목한 가정에 대한 추구를 통해 본 가족주의 가치.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