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esign of the Engineering Curriculum Changing Process using the Transformed Job Analysis Method of the Technical Service Area. (Example of the Electrical Engineering of the Myongji University)

직무분석기법을 변용한 공학 교과과정 설계 (명지대학교 전기공학과의 예)

  • 김갑일 (명지대학교 공과대학 전기공학과) ;
  • 박용원 (명지대학교 공과대학 토목환경공학과) ;
  • 김병재 (명지대학교 공과대학 산업시스템공학부) ;
  • 이병기 (명지대학교 공과대학 산업시스템공학부) ;
  • 백승화 (명지대학교 공과대학 정보공학과) ;
  • 김태옥 (명지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
  • 임연수 (명지대학교 공과대학 신소재공학과)
  • Published : 2005.09.01

Abstract

Recently, developments of engineering technology are too fast change to educate the students in the college of engineering. The lag between the innovation of the technology and the education of the college of engineering becomes larger and larger. In this situation, the appropriate education update system is needed to change the curricula for the updated engineering education. In this paper, the job analysis method which is used in the technical service area is transformed to design the curriculum of the general higher education area. The job analysis method which is used in the technical service area derives the competence too detail and complex to used in the higher education area. for the higher education area, the social activity analysis of the alumni is needed to extract the representative jobs of the area. Also using this representative jobs, the job analysis and competence derivation is conducted. If needed, the regular expert meeting is held to converge the job-site opinions of the graduate and industry people. This curriculum changing process is provided as a part of the circular self-improve education system of the Electrical Engineering of the MyongJi University.

공학분야의 빠른 발전에 따라 교육이 뒤쳐지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시기에 시의 적절한 공학교육을 위해서는 교수들의 임의적인 교과과정의 개정이 아닌 적절한 시스템에 의한 교과과정의 개편이 요구되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기능직 교과에서 사용하던 직무분석법을 일반 교과과정 설계에 사용한 예를 보여준다. 직능원에서 제시한 교과과정 설계는 지나치게 세부적으로 작업에 필요한 competence(지식, 기능력, 태도 도구 등)를 제시하였다. 일반 교과과정에서는 이렇게 자세한 직무분석은 피하고 시대에 따라 달라지는 목표학습 성과를 설정하고 이것을 이루기 위한 교과과정을 개발하기 위해서 졸업생의 사회진출 추이를 조사하여 대표 직무를 선정하고 직무를 분석하여 필요한 competence를 도출하고 거기에 따라 교육목표도 수정하였다. 전문가 회의도 주체하여 졸업생 및 산업체의 의견도 수렴하여 실제 현장에서 필요한 교육을 실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교과과정의 개편은 명지대학교에서 수행하고 있는 순환적 자율 개선형 교육제도의 일환으로 실시되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