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ginal Adaptability and Yield of Dungunma(Dioscorea opposita) in Korea

둥근마(Dioscorea opposita)의 지역적 적응성 및 수량성

  • Chang, Kwang Jin (Korea National Agricultural College, RDA) ;
  • Park, Jong-In (Korea National Agricultural College, RDA) ;
  • Park, Byoung Jae (College of Agriculutre and Life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on Korea) ;
  • Kim, Ki Sun (Coastal Agriculture Experiment Station, Kangwondo ARES) ;
  • Park, Ju Hyun (Tongyang Moolsan Co. LTD.) ;
  • Park, Cheol Ho (College of Agriculutre and Life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on Korea)
  • 장광진 (한국농업전문학교) ;
  • 박종인 (한국농업전문학교) ;
  • 박병재 (강원대학교 식물생명공학부) ;
  • 김기선 (강원도 농업기술원 해안농업시험장) ;
  • 박주현 (동양물산 중앙기술연구소) ;
  • 박철호 (강원대학교 식물생명공학부)
  • Published : 2005.03.30

Abstract

This study was done to determine the regional adaptability of Dioscorea opposita in Korea. Suwon, Chunchon, Kangneung, Yonchon and Taean had soil pH of 6.62, 5.65, 5.9, 5.9 and 5.82, respectively, being at more unfavorable conditions than a standard soil condition for yam with pH 6.2. The amounts of organic matter in Suwon, Chunchon, Taean, and Yonchon were 1.96%, 4.51%, 3.76%, 1.89% and 1.12%, respectively, being at more favorable conditions than a standard organic matter in soil for yam with 2.0~3.0%. As the results from cultivating of large plantings in different regions, Suwon showed the largest the tuber dry weight of 135g. In comparison of general component between round yam and short yam in the area of Kangneung, protein of round yam(3.30%) was higher than that of short yam(1.40%). Dryness in round yam(36.5%) was lower than that of short yam(28.9%), indicating a higher dry weight ratio of round yam. In tuber extracts analysis, saponins content was respectively 23.7mg/g in round yam and 10.4mg/g in short yam.

1. 토양 pH는 수원이 6.62, 춘천이 5.65, 강릉이 5.9, 연천이 5.9, 태안이 5.82로 수원을 제외하고 둥근마의 적정 pH 6.2보다 산도가 높은 산성토양으로 둥근마 재배에 불리한 조건이었다. 유기물 함량은 수원 1.96%, 춘천 4.51%, 강릉 3.76%, 연천 1.89%, 태안 1.12%로 춘천, 강릉이 다른지역보다 높아서 유리한 조건이었다. 2. 일조시간은 수원이 4-10월 총 일조시수가 1,409시간으로 춘천의 1,329시간, 포천의 1,361시간보다는 높게 나타났으나 강릉의 1,440시간, 태안의 1,475보다 낮게 나타났다. 수원의 평균기온은 4~10월 평균 18.38℃로, 강수량은 4-10월 평균 140mm으로, 춘천 160.83mm, 강릉 195mm, 연천 139mm 및 태안 155mm로 큰 편차는 보이지 않았으나 강릉지역은 6, 7, 8월에 집중호우 현상을 보였다. 3. 지역별 둥근마 재배시 괴경의 건조중을 나타낸 결과이다. 수확시의 건조중은 수원이 135g으로 가장 좋았으며, 연천이 128g, 춘천 120g, 강릉 95g, 태안이 90g으로 나타났다. 4. 강릉지역의 둥근마를 단마와 성분 특성을 비교한 결과둥근마의 건물 함량은 36.5%로 단마 28.9%보다 건물량이 높은 편이다. 조사포닌 함양에서 둥근마의 함량이 23.7mg/g로 단마 10.4mg/g보다 월등히 높은 편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