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Polarization of the Income Distribution In Korea: 1997-2003

소득 분포의 양극화 추이

  • Published : 2005.12.31

Abstract

On the basis of the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urvey for the 1997 through 2003 period, this paper investigates if the income distribution has become more bi-polarized since the recent financial crisis. The polarization measure developed by Esteban and Ray(l994) and Duclos, Esteban, and Ray(2004) indicates that the distribution of total income has become much more bi-polarized than unequalized for the entire sample period. Second, the rapid increase in the bi-polarization measure is attributed to the enhanced within-group homogeneity among the lower-income group as well as the widening gap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mean income level. Third, no such pattern exists in the distribution of labor income. Overall, the findings in the current study would support the hypothesis of a centrifuging society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slow disappearance of the middle class and the formation of two poles and which is observed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among others.

한 사회가 가지고 있는 내재적 갈등의 정도는 전통적인 소득불평등이라기보다는 양극화지수로 보다 잘 표현될 수 있다. 현 연구에서는 Esteban-Ray류의 '집단내 동질성-집단간 이질성' 접근법에 근거하여 양극화 개념을 소개하고 그들이 개발한 지수를 이용하여 외환 위기 직전인 1997년도 이래 소득분포의 양극화가 어떻게 진행되어 왔는가를 분석하였다. 주요 발견 내용을 다음과 같다. 첫째, 총가구소득을 이용하여 분석할 경우, 지니 계수로 표현되는 전통적인 소득불평등 지수와 비교하여 양극화 지수는 훨씬 빠른 속도로 증가해왔다. 이는 소득을 기준으로 볼 때 한국 사회에 잠재해 있는 사회 갈등 수준이 지니 계수로 표현되는 것보다 훨씬 심각한 속도로 증가해 왔음을 의미한다. 둘째, 최근의 외환위기 이전과 비교하여 이후에 양극화 지수의 값이 전반적으로 증가해온 것은 일차적으로 저소득층과 고소득층 사이의 소득격차가 증가해왔기 때문이지만 집단 내 (특히 저소득 집단 내) 소득격차가 줄어들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셋째, 총가구소득의 양극화는 근로소득이라기보다는 주로 비근로소득의 양극화에 의해 주도되어왔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