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졸 청년층의 노동이동 분석 - 인문사회계와 이공계 졸업자를 중심으로 -

Job Mobility of the University Graduates Youth In Korea

  • 발행 : 2005.12.31

초록

대졸 청년층의 노동이동을 대학졸업생자료와 고용보험DB를 결합한 자료로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대졸 청년들의 졸업 후 4년 동안 평균 취업회수는 1.68회였고, 직장경험이 늘어남에 따라 직장근속이 늘고 있으며, 취업회수가 많을수록 총근속기간이 더 길었다. 대졸 청년층들의 노동이동에서 업종과 직종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대졸 청년층들이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 이동하는 비율은 수도권에서 비수도권으로 이동하는 비율보다 높아 인적자원의 수도권 집중이 되고 있음을 보이나 이는 수요측 요인으로 파악된다. 대졸 청년층은 노동이동을 통하여 상위의 직종을 얻고 있으나, 작은 규모의 기업으로 이동하고 있다. 직장경험이 많은 대졸 청년들의 첫 직장 임금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들은 직장 이동을 통해 임금수준을 증가시키고 있었다. 인문사회계 출신보다는 이공계 출신이 직장이동을 할 확률이 높았으며, 임금이 높을수록 직장이동을 할 확률은 떨어지고 있다. 수능점수가 높은 경우 직장이동을 할 확률이 낮았다. 직장이동을 통해서 대학에서의 전공과 일치하지 않는 직무로 나갈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청년층의 노동이동을 경력형성의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대안이 필요하다. 또한 대학 졸업자의 노동의 질이 보다 높아질 수 있도록 대학교육의 강화 및 대학생 수의 감축을 위한 정책대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job changes of the youth university graduates in Korea. The pattern of job changes get observed in the Unemployment Insurance Database. This data enables us tracing all job changes in the labor market. The average number of job youth graduates have for four years from graduate is 1.68. The more jobs youth have, the longer total tenure youth have. Youth are much more likely to change careers to different occupation or industry. They move usually into upper occupations but small establishments. They enhance the level of wage through job changes. The science and engineering graduates are more likely to change jobs than the humanity and social science graduates. The higher the level of wage they get is, the lower the probability of their job change is. Those who have good scores in Scholastic Aptitude Test are less likely to change job.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