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rms' Optimal Adjustments to Demand Shocks:Wages, Workers, and Hours

수요 변동에 대한 기업의 임금 및 고용조정 패턴

  • Published : 2005.04.30

Abstract

This paper investigates how firms adjust wages, employment and hours in response to demand shifts. It focuses on rigidities and asymmetries in such adjustments.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age adjustments are fairly small compared with worker adjustments. Second, wage adjustments are asymmetric with respect to sales growth: there is no responsiveness of wage growth when sales are declining, while adjustments are significantly positive when sales are rising. On the contrary, worker adjustments are symmetric with respect to demand shifts. Third, while workers are linearly adjusted to the sales growth, some nonlinearity is observed in the wage adjustment. Fourth, hours are generally nonresponsive to demand shocks. Finally, union firms cut wages rather than workers in the face of negative demand shocks.

본 연구에서는 기업이 임금과 고용(근로자 수) 중 주로 어느 변수를 전략 변수로 사용하여 수요충격(demand shock)에 대응하는가를 연구한다. 또한 그러한 기업들의 적응 과정이 정(+)의 수요충격과 부(-)의 수요충격 사이에서 대칭적(symmetric)인가를 분석하며, 나아가 산업별 기업규모별, 그리고 노조 유무별로 그 적응패턴이 상이한가를 분석한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적으로 기업들은 수요충격에 대해 임금조정보다는 고용조정으로 대응해 나가고 있다. 둘째, 전반적으로 임금이 경직적(rigid)으로 나타나는 이유는 주로 부(-)의 수요충격시 임금이 하방으로 경직적 (downward rigidity)이기 때문이며, 정(+)의 수요충격 시에는 다소 상향조정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셋째, 임금조정과 비교하여 고용조정은 정(+)과 부(-)의 수요충격에 대해 대체로 대칭적이다. 넷째, 고용조정은 매출액 변동률에 대해 선형으로 나타나는 반면 임금조정은 비선형으로 나타난다. 정(+)의 수요충격시 임금은 그 충격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할 때는 반응을 하지 않다가 강도가 높아짐에 따라 상향조정의 폭도 점차 증가한다. 반대로 부(-)의 충격시 임금조정은 매출액 성장률의 오목함수로 표시된다. 다섯째, 노조기업은 비노조기업과 비교하여 수요충격에 대한 적응 수단으로 (특히 부(-)의 수요충격시) 고용보다는 임금을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