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Curriculum Guidelines for Computer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Status Quo in IT Advanced Countries

해외 주요국의 현황 분석에 기초한 우리나라 컴퓨터교육의 교육과정 방향

  • 김미량 (성균관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Received : 2005.04.10
  • Accepted : 2005.05.10
  • Published : 2005.05.30

Abstract

Teaching computer and ICT skills in K-12 helps to bridge the digital divide of the students at the minimum cost, and provides them with a chance of getting a Quality of life as well as a Quality of work in the future. From examining the education policies of U.S., EU, Canada, and other countries, concerning computer education, several factors, including vision and national-level policy, Quality of manpower, needs for computer-related technology, structure of IT industry, overall demand for IT specialists, have been identified as those with major impacts on the curriculum of computer education. Based upon the analysis of domestic key factors, three levels of computer education program are suggested. At the most basic and least controversial level, basic ICT-skill program for effective learning needs to be provided for every student. Next level is concerned with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nd work. A program for introductory level of computer science can be provided as extra-curricular classes for bright and eager students, who might want to be computer expert or specialists.

우리나라 컴퓨터교육이 성공적으로 추진되기 위해서는 어떤 문제들이 해결되어야 하는지, 또 이러한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학교 교육과정이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해외 주요 15개국의 컴퓨터교육현황과 관련 교육과정을 분석해 보았다. 해외 주요국의 컴퓨터교육은 대체로 국가적, 학교적, 개인적 수준에서 차별화된 전략으로 진행되고 있었으며 IT 강국으로서의 위상을 드높이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국가의 전폭적인 관심과 지원하에 추진되고 있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이러한 해외 주요국이 실천하고 있는 전략을 참고하여, 컴퓨터교육의 목표 및 비전의 명확화, 컴퓨터 교육과정의 차별화 및 특성화, 이를 통한 컴퓨터관련 전문 인력의 양성, 일상생활에서의 컴퓨터 활용 촉진, 체계적인 컴퓨터소양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컴퓨터 활용 마인드의 확산, 컴퓨터교육 인프라 구축 및 체계적 지원, 법 제도 정책적 지원 등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중장기적으로는 컴퓨터교육의 목표에 따라 각 목표에 준하는 차별적 접근이 가능도록 교육과정이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즉 정보격차해소의 차원에서 컴퓨터소양이 필요한 경우에는 소양교육이, 좀 더 나아가 기본소양을 갖춘 후 자신의 필요에 따라 자유로운 활용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컴퓨터 활용 교육이, 컴퓨터 전문가로 성장할 의지가 있고 컴퓨터관련 분야에 특기적성이 있거나 영재성을 보이는 경우, 이들을 위한 특별 컴퓨터전문교육이 차별적으로 제공될 필요가 있겠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