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 환자에서 3 Tesla 자기공명혈관조영술의 유용성

The Usefulness of 3T-TOF MR angiography in Patients with Cerebral Infarction

  • 한제희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 정태웅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 윤웅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 장남규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 신상수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 임효순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 송상국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 정용연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 강형근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 서정진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Han, Je-Hee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Chung, Tae-Woong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Yoon, Woong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Jang, Nan-Kyu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Shin, Sang-Soo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Lim, Hyo-Soon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Song, Sang-Gook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Jeong, Yong-Yeon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Kang, Heoung-Keun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Seo, Jeong-Jin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발행 : 2005.12.01

초록

목적 : 뇌혈관 평가에 있어서 경두개 도플러 초음파(transcranial doppler; TCD)와 고식적 뇌혈관조영술(CA)과 비교하여 3T 장비를 이용한 Time-of-flight(TOF) 자기공명 뇌혈관 조영술(3T-TOF MRA)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뇌혈관 질환이 의심된 5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3T-TOF MRA를 시행하였다. 54명 모두에서 TCD를 시행하였으며, 이중 11명은 CA를 함께 시행하였다. 뇌혈관의 평가를 위해 추골동맥과 기저동맥을 포함하여 I군, 총경동맥의 분지부위 2 cm 전부터 내 외경동맥 분지 부위에서 내경동맥의 무릎(genu)부위 까지를 II군, 내경동맥의 추체부위에서 전 중 대뇌동맥의 1차분지 부위까지를 III군, 그리고 각각 전 중 대뇌동맥 1차분지 그 이하 부위를 IV군으로 임의로 구분하였다. 평가는 2명의 방사선과 의사가 3T-TOF MRA와 TCD, 그리고 CA의 결과를 모르는 상태에서 각 군에서 혈관의 양상이 잘 나타나는 경우를 3점, 양상이 잘 나타나지 않으나 판독이 가능한 경우를 2점, 잡상 등으로 혈관의 평가가 어려운 경우를 1점으로 하였다. 혈관의 협착 정도에 대한 평가는 TCD 및 CA와 각각 비교하여 그 일치 정도를 평가하였다. 결과 : 각 군당 좌우를 합하여 108 혈관분절, 총 432 혈관분절을 평가하였다. 정성평가에서 I, II, III, IV군은 각각 2.98, 2.96, 2.91, 2.88로 혈관의 양상에 대한 파악은 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CD만을 시행한 43명 중 41명에서 3T-TOF MRA와 TCD가 일치하였고, TCD와 CA를 모두 함께 시행한 11명에서는 3T-TOF MRA가 TCD 및 CA와 모두 일치하였다. 결론 : 3T-TOF MRA는 뇌혈관 평가에 있어서 CA 및 TCD와 비교해서 빠르고 비침습적이며 혈관상태를 적절하게 평가할 수 있는 유용한 검사라고 생각한다.

Purpose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3T-TOF MR angiography (3T-TOF MRA) compared with transcranial Doppler sonography (TCD) and conventional angiography (CA) in patients with suspected cerebral infarction. Materials and Methods : Fifty four patients with clinical symptoms of cerebral infarction were involved in this study, and had undergone 3T-TOF MRA and TCD, with CA in 11 patients. On the basis of divisions of the carotid artery, four groups were designated: group I, both vertebral arteries and basilar artery; group II, segment between 2 cm below bifurcation of common carotid artery and genu portion of internal carotid artery; group III, segment between petrous portion of internal carotid artery and bifurcation of anterior and middle cerebral artery; group IV, from bifurcation of anterior and middle cerebral artery to thier distal branches. Two radiologists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vascular imaging and stenosis in 3T-TOF MRA, TCD, and CA. Results : A total of 432 arteries, 108 in each group, were available. The assessment of vascular imaging quality in 3T-TOF MRA is scored 2.98, 2.96, 2.91, 2.88 in 4 groups, respectively. Agreement among 3T-TOF MR angiography, TCD, and CA was high. Conclusion : 3T-TOF MR angiography may be useful method for the assessment of stenotic lesions of cranial vasculature in patients with cerebral infarc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