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airborne lead in the major monitoring locations in Korea

국내 주요지역의 대기 중 납성분에 대한 분포특성 조사

  • Published : 2005.12.31

Abstract

Because of its strong potential for health hazards, the concentration levels of airborne lead (Pb) have been circumscribed by environmental laws in many countries. In this study, we made a comparative study on the environmental behavior of Pb for the acquisition of its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using data sets collected from major cities in Korea for a period of 6 years (1998 through 2003). According to this study, Pb concentration decreased slowly in most industrialized cities of Koreathroughout the whole study. period. In contrast, such temporal signals were not evident in data sets collected from residential, commercial, and grassland areas. Although seasonal patterns generally exhibited the occurrences of high Pb concentration during the spring, results appear to reflect the influence of Asian Dust (AD) in the springtime. The results of our study clearly indicate that Pb distribution is strongly influencedby source types in relation to their land use patterns. Comparison of our Pb data sets with that of other countries indicates that Pb concentration levels obtained from relatively cleaner districts of Korea are still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countrie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generally indicate that Pb concentrations in most areas are affected by the type and strength of man-made activities. Considering that most areas are affected by a variety of pollutants, continuous efforts are needed to control Pb concentrations in the atmosphere.

납은 우리나라를 위시한 많은 국가에서 대기환경 기준으로 설정하여 규제하고 있는 중 금속물질이다. 본 연구에서는 납에 대한 농도분포특성을 시공간적인 기준으로 비교분석을 시도하고, 이를 통해 농도분포의 장주기적인 변화추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58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환경부의 대기 중금속 측정망으로부터 관측한 국내 주요 도시지점들(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수원, 안산, 원주, 춘천, 여수, 포항)로부터 확보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납농도는 지난 6년간 공업지대를 포함한 고농도 관측점들을 중심으로 일정 수준 경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는 공업지역에 국한되어 나타나는 결과로 그 외 지역에는 그러한 변화가 보다 불규칙한 경향으로 나타났다. 계절적 변화 역시 과거로부터 꾸준히 봄과 겨울기간에 고농도가 나타나는 경향이 지속하였다. 납은 공간적 기준에서 분포특성을 비교할 경우, 최고농도를 기록한 지역이 여타 지역에 비해 최저 2.3배에서 최고 12배까지 높게 나타났다. 아직까지 본 연구에서 확인한 것과 같이 수 십 ng $m^{-3}$대의 저농도 지역조차 국외에서 관측한 배경농도보다 10여배 정도 더 오염되었다는 점이 확인된다. 아직까지 인위적활동의 유형이나 강도에 납성분의 농도분포가 큰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감안하면, 보다 지속적인 관점에서 납성분에 대한 관리대책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