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ample of Legislation on the Space Relations of Every Countries in the World and Main Contents of the Space Exploration Promotion Act and Future Task in Korea

세계 각국의 우주관계 입법례와 우리나라 우주 개발진흥법의 주요내용 및 앞으로의 과제

  • Published : 2005.06.30

Abstract

The Korean government established her first "National Space Program" in 1996, and revised it in 2000 and 2005. As embedded in the National Space Program, Korea aims to become one of the world's top countries in space technology by 2010. All of 13 satellites are planned to be put into orbit as schematized, which include 7 multi-purpose satellites, 4 science satellites and 2 geostationary orbit satellites. The Space Center in Korea is to be built at Woinara-Do, Bongrae-Myon, Koheung-Goon, Junlanam Province on the south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r. The first phase of the construction of the space center will be finished by 2007 for launch of KSLV-l. This will make Korea be the 13th advanced country in space development having a launching site in the world. The "Space Center" will serve as the infrastructure for the development of space technology and related technology, and plan to launch a low earth orbit satellite in 2007. A second science satellite made in Korea will be launched from the space center by 2007. From 2010, the center will be operated on a commercial basis operating launch facilities for low-to mid-altitude orbit satellites. Since the 'Aircraft Industry Promotion Act' was replaced by the 'Aerospace Industry Development Promotion Acf of 1987, this Act had been amended seven times from 1991 year to 2004. Most of developed countries has been enacted the space law including the public or private items such as an (1)DSA, (2)Russia, (3)the United Kingdom, (4)Germany, (5)France, (6)Canada, (7)Japan, (8)Sweden, (9)Australia, (10)Brazil, (11)Norway, (12)South Africa, (13)Argentina, (14)Chile, (15)Ukrainian etc. As the new Space Exploration Promotion Act was passed by the resolution of the Korean Congress on May 3, 2005, so the Korean government has made the public proclamation the abovementioned Act on May 31, this year. This Act takes effect on December 1, 2005 after elapsing six months from the date of promulgation. The main contents of Space Exploration Promotion Act of 2005 is as the following (1)establishing a basic plan for promoting space exploration, (2)establishment and function of national space committee, (3)procedure and management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gistration of space objects, (4)licensing of launch by space launch vehicles, (5)lability for damages caused by space accidents and liability insurance, (6) organizing and composition of the space accident investigation committee, (7)Support of non-governmental space exploration project, (8)Requesting Support and Cooperation of Space Exploration, (9)Rescue of Astronauts and Restitution of Space Objects, etc.. In oder to carry out successfully the medium and long basic plan for promoting space exploration and to develope space industry in Korea, I think that it is necessary for us to enlarge and to reorganize the function and manpower of the Space Technology Development Division of the Ministry of Science & Technology and the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Korea has been carrying out its space program step by step according to the National Space Program. Korea also will continually strengthen the exchange and cooperation with all the countries in the world under the principle of equality, friendship relations and mutual benefits. Together with all other peoples around the globe, Korea will make due contribution towards the peaceful utilization of space resources and promotion of human progress and prosperity.

우리나라는 2005 년 11월에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개발한 다목적실용위성 2호(아리랑 2호)를 발사하게 될 것이고 2006 년 6월에는 한국통신의 통신 방송위성 5호(무궁화 5호)가 발사될 예정이고 2007 년에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한반도의 남해안 외나로도에 건설하고 있는 "우주센타"가 준공되어 자력으로 개발한 우주발사체(KSLV-1 : 로켓)를 이용하여 국산 과학기술위성2호(100kg급의 소형)의 발사 등 우리나라에 본격적인 우주개발시대에 접어들게 된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우주개발중기계획에 따라 2010년까지 13기의 각종위성과 발사체를 개발하여 "우주센타"에서 시험발사와 발사를 자주 하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이 위성발사에 따라 예상할 수 없는 발사사고 발생될 가능성도 있게 된다. 상기위성들을 국내외에서 우주발사체(로켓)를 이용하여 발사하는 과정에서 있을지도 모르는 로켓 발사사고로 인해 지상에 있는 제3자의 인적 손해 또는 물적 손해를 입혔을 때에 선진국의 입법례와 같이 이를 신속히 해결하기 위하여 가해자와 피해자 양자 간의 공정한 책임규명, 책임한계 및 재판의 기준, 손해배상책임 등을 규정하고 우리나라의 우주개발중장기기본계획을 성공적으로 달성시키기 위하여 국내우주법의 제정이 필요로 하게 되었던 것이다. 우리나라는 우주개발을 체계적으로 진흥시키고 우주물체를 효율적으로 이용관리하기 위한 법적 제도적 틀을 마련하고, 우주개발국가로서 국제조약에 규정된 국가의무를 이행하기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하여 우주개발진흥법을 2005년 5월 31일 정부가 제정 공포하여 동법 부칙에 의거 6개월 후인 2005년 12월 1일부터 시행하게된다. 본 논문에서는 우주개발진흥법의 제정을 계기로 현재 세계도처에서 발생되고 있는 우주사고의 특성과 사례, 우주개발진흥법을 제정하는데 계기가 되었던 4개의 우주관계 국제조약과 세계 각국의 국내우주관계법의 입법례((1)미국,(2)러시아, (3)영국, (4)독일, (5)프랑스, (6)캐나다, (7)일본, (8)스웨덴 (9)오스트레일리아, (10)브라질, (11)노르웨이, (12)남아프리카, (13)아르헨티나, (14)칠레, (15)우크라이나)를 소개한 후 우리나라 우주개발의 실적과 현황 및 전망 및 우주개발진흥법의 입법배경과 경위 및 주된 내용, 2005년 8월 19일 과학기술부가 입법 예고한 우주개발진흥법 시해령 안과 시행규칙안의 주요내용, 앞으로의 과제로서 우리나라 우주관계기구의 개혁 등 순서로 설명하였다. 본 논문의 핵심이 되는 사항인 앞으로의 과제로서 우주관계기구의 개혁의 문제는 필자가 과학기술부의 우주관계 담당부서의 기구개혁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기구를 확대 개편하여 한국항공우주개발공사(가칭)의 설립을 제안하는 이유는 각종위성 및 발사체의 개발지연과 우주센터의 건립이 지연되지 않도록 하고 앞으로 우주개발중기계획에 따라 각종위성 및 발사체의 개발이 2010년까지 당초 정한 목표 년도에 완성시키어 우리나라의 우주산업을 세계10위권 내에 조기에 진입시키고자 하는데 그 목표가 있는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