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비노인층의 노인공동생활주택 개별공간 계획요소에 대한 선호분석

Preference for the Spatial Planning Elements of Units m Senior Congregate Housing according to Pre-Senior People

  • 홍이경 (경희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주거환경전공) ;
  • 오혜경 (경희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주거환경전공)
  • Hong Yi-Kyung (Major of Housing and Interior Design. Division of Human Ecology, KyungHee University) ;
  • Oh Hye-Kyung (Major of Housing and Interior Design. Division of Human Ecology, KyungHee University)
  • 발행 : 2005.04.01

초록

Korea is having entered the Ageing Society since 2000 and expected to be the Aged Society by 2019. Proliferation of the nuclear families, attitude shift of supporting the senior people and higher participation of married women in public life as well as the steadily increasing senior population have caused the need for development of the facilities or housings for the senior people. This study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congregate housing as one of the options for those senior people who are healthy enough do not need the nursing home. For the questionnaire survey, the preference of 500 Korean pre-senior people on spatial planning elements of units for the senior congregate housing was investigated. The collected data are analysed using SPSS 10.0 for Windows to deduce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Chi-squared test with cross-tabul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Most of respondents preferred to the size of 11-15pyung(for single), 21-25pyung(for couple). The type of spatial composition was preferred one-room type(for single), 1-2 bedroom type with kitchen (for couple). And they preferred L/DK type. Also, they preferred furnished units not to bring their own furniture when relocating to the senior congregate housing, which was somewhat different result from previous studi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ferred spatial planning elements and gender, income, and level of educ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김태일(1995). 유료노인주거시설의 계획조건에 관한 연구-서울거주 노인계층의 성향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1(10), 19-27
  2. 김혜정(2002). 고령화 사회의 은퇴주거단지 디자인-공간행태이론을 중심으로- 경춘사
  3. 대한주택공사 주택연구소(1996). 노인거주자를 위한 주택형 및 설계지침 연구. 대한주택공사 주택연구소 연구보고서
  4. 대한주택공사 주택연구소(1995). 노인거주자를 위한 주택형 및 설계지침 연구. 대한주택공사 주택연구소 연구보고서
  5. 모은경(2001). 노년기 상황별 주요구 특성에 관한 조사연구-광주시 중년층을 대상으로- 호남대학교 정보산업대학원
  6. 박근형, 양우현(1996). 노인을 위한 도시공동주택의 계획방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2(1), 13-21
  7. 박희진, 양세화, 오찬옥(2003). 노인시설의 단위주거에 대한 요구분석. 한국실내디자인학회지, 36호, 44-51
  8. 산업자원부(1998). 고령화 사회를 대비한 제품 및 환경디자인 방향설정 연구
  9. 서기영, 이진혁(2002). 도시형 유료노인복지시설의 모형개발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8(8), 111-120
  10. 한국소비자보호원(1998). 가정내 노인 안전사고 실태조사 보고서
  11. 신영숙(2001). 선호하는 유료 노인시설주거 디자인을 위한 중산층의 집에 대한 개념. 대한가정학회지, 39(12), 165-179
  12. 오혜경, 홍이경, 김현지(2004). 한국 노인주거시설의 공간계획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6), 133-142
  13. 오혜경, 홍이경, 박민진(2003). 미국 노인주거시설의 공간구성 특성에 대한 연구-미국 캘리포니아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6), 107-115
  14. 오찬옥, 이연숙(1993). 노년기의 상황설정에 따른 노인주거특성에 대한 선호. 대한건축학회논문집, 9(2), 35-45
  15. 이관용(2003). 노언건축-한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세진사
  16. 이영심, 이상해(2002). 호주 재택노인을 위한 주택수리 및 개조 사례 연구. 한국주거학회지, 13(1), 44-51
  17. 통계청(2003). 고령자 통계
  18. 홍이경(2004). 한국형 노인공동생활주택의 실내디자인 선호경향과 지침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홍형옥(1999). 한국의 지역사회통합형 노인주거의 대안적 모색. 한국주택학회지, 7(2), 79-89
  20. 홍형옥(2001a).노인공동생활주택에 대한 태도와 선호-한국에서의 노인생활지원주택 개발방향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5), 147-166
  21. 홍형옥(2001b). 영국의 노인공동생활주택에 대한 검토.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4), 49-68
  22. 홍형옥(2002). 제3연령기의 공간환경연구를 위한 관점과 쟁점.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6), 37-48
  23. 홍형옥, 유병선(2003). 노후의 일, 여가 태도에 따른 노인공동생활 주택 선호경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5), 13-24
  24. 홍형옥, 지은영(2002). 사회계층별 노인생활지원주택에 대한 태도와 선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2), 83-95
  25. 홍형옥, 지은영(2004).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노인공동생활주택에 대한 견해의 지역별 비교-서울, 수도권, 부산, 광주, 대전 지역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2(7), 1-17
  26. Cranz, G.(1987). Evaluating the Physical Environment: Conclusions from Eight Housing Projects. In V. Regnier & J. Pynoos(Eds.)
  27. Kweon, R., Sullivan, W.C. & Wiley, A.R.(1998). Green common spaces and the social integration of inner-city older adults. Environment and Behavior, 30(6), 832-858 https://doi.org/10.1177/001391659803000605
  28. Regnier, V.(1994). Assisted Living Housing for the Elderly: Design Innovations from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New York: Van Nostrand Reinho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