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변동성과 종속성을 고려한 생산능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duction Capacity Considering Fluctuation and Subordination

  • 발행 : 2005.04.01

초록

제조업에서 생산능력의 정확한 평가는 생산계획수립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생산능력에 대한 기존연구에서는 변동성에 대해 부분적으로 연구되고 있지만 종속성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조업의 생산능력이 보유된 능력보다 실제능력과의 차이를 보다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생산능력을 생산주체별 구성형태로 분류하고, 생산능력의 감소원인인 변동성과 종속성이 고려된 생산능력 평가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안한 모델의 변동율과 종속율의 산출에 사용되어지는 변동성과 종속성 요인의 가중치는 구간수로 나타난다. 그래서 생산능력도 구간수로 나타난다. 제안한 생산능력 평가모델의 유효성은 사례연구를 통해 보이고자 한다.

An accurate evaluation of a production capacity is an important role for production planning in manufacturing industry. The study has been partly done about the fluctuation in the conventional study of the production capacity, but the study of the subordination has been hardly done. Therefore, in this paper, we will devide by the production capacity which is formed into the production subjects to evaluate objectively the differences of between the actual capacity and the designed capacity in manufacturing industry and will suggest production capacity estimation model which is considered the fluctuation and the subordination, the decreasing causes of the production capacity. The weight of fluctuation which is used for the computation of the ratio of fluctuation and the ratio of subordination and the subordination are denoted to the interval number Thus, the production capacity is denoted to the interval numbers. The efficiency of the proposed model will show through the case study.

키워드

참고문헌

  1. F.C. Ted Weston Jr, 'Locating the Constraint', IIE Solution, Vol.31, No.5, pp.34-39, 1999
  2. Arnold Kaufmann, Madan M. Gupta, Fuzzy Mathematical Models In Engineering And Management Science, Elsevier Science Publishers B.V, 1988
  3. 황승국, 퍼지이론의 평가문제에의 응용, 일본오사카 부립대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0
  4. 김해천, 제조업에 있어 양적 생산능력,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pp.1-17
  5. 유일근,조성기, '제조업 생산능력 측정의 기준과 모델의 개발', 경영과학, Vol.13, No.3, pp.143-161, 1996
  6. 통계청, 제조업 생산능력 및 가동률조사 지침서, 통계청, 2003
  7. 산업자원부, http://www.mocie.go.kr
  8. 통계청, http://www.nso.go.kr
  9. 한국산업규격, http://www.kssn.net
  10. 서범석, 김수영, 오준희, '반도체Fabrication 라인에 서의 생산능력 분석', 대한산업공학회/한국경영과학 회, ′98춘계공동학술대회논문집, 1998
  11. 김선민, '연속생산라인에 있어 방어적 생산능력의 효과성 에 관한 연구', 생산성논집, Vol.10, No.1, pp.69-89, 1995
  12. James A. Dearden, Gary L. Lilien, Eunsang Yoon, 'Marketing and Production Capacity Strategy for Non-differrented Products: Winning and Losing at the Capacity Cycle Game', International J. of Research in Marketing, Vol.16, pp.57-74, 1999 https://doi.org/10.1016/S0167-8116(98)00023-8
  13. 김선민, 강현곤, 재투입 생산라인에서 방어적 생산능력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경영과학, 제17권, 제1호, pp.17-29, 2000
  14. 김원경,'자동차 도장설비의 생산성 향상 시뮬레이션', Theses collection, Vol.21, No.2, pp.387-396, 2003
  15. 日本플랜트 메인트넌스협회, 한국능률협회컨설팅, TPM .설비관리대백과사전(I), p.28, p.323, 1996
  16. 편임범, 공정관리론, 대광서림, pp.94-95, 1998
  17. 권중선, 생산성향상실천매뉴얼, 월간생산관리사, p.202,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