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racteristics in the Genres of Sijo and Byul-gok

시조와 별곡의 장르적 특성

  • Published : 2005.01.01

Abstract

Sip and Byul-Gok (New tunes), as folks musics, are musical concepts opposite to that of the Court musics. They have the tunes. typical and universal. and Byul-Gok for singing. has the words in which the properties of melodies in the structures of compositions are reflected harmoniously. The Song. or Shiga. in Koryo-Sa, History of Koryo. Acjee and Acjanggasa. named ByulGok. is divided into two typ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es of the forms.: Koryo Sokyo. or the folk songs in Koryo. such as Chengsanbylulgok. and Segyoungbyulgok. and Kyonggichega, or nobility songs in Koryo and Chosen Dynasty. such as Hallimbyulgok. Kwandongbyulgok. and Jucgyebyulgok. In addition. Gasa. or the nobility and folk songs in Chosen Dynasty. such as K wandongbyulgok. also has the title. Byul-Gok. Even though these types of the songs have the same tittle. Byul-Gok, it is not appropriate that Byul-Gok is used as a term described as a branch of the literature: in light of music. they have the properties in common in the sense that they are opposite to the Court music. but. in light of literature. their forms are very different from one another. Therefore, it is appropriate that they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ms, winters, the ideology of people who enjoy them, and periods: Sokyo, Kyonggichega, and Gasa. Byul-gok means not only the folks songs opposite to the court musics, but also the songs by setting words to the melodies present. Orignal tunes and their new tunes are not different musical compositions, but the same ones with the melodies which Korean acquired transcendentally. It is general tendency, at those times, that after compositions were made, words are set to them. Such words represent the politic thought in which courtesy and music are considered important. and the spirit with which the ruler and the people enjoy together.

시조와 별곡은 정곡인 중국의 아락에 대립하는 한민족 고유의 속락으로 가창된 음락이다. 동시에 시조와 별곡의 노랫말 가사는 민간에 유전하던 속락의 곡조에 원래의 노랫말 가사와는 다른 새로운 노랫말 가사를 붙인 악곡의 창사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시조와 별곡은 가창을 전제로 한 시가문학이며 그 노랫말 가사는 선곡후사의 특징을 지닌다. 즉 모든 작품이 각각 서로 다른 개별악곡으로 존재한 것이 아니라 한민족에게 선험적으로 체득되어진 보편화된 장단으로 연행된 것이다. 민간에 유전하던 향락이 궁중에 인입되면서 5절의 구현에 맞지 않는 음락이라 하여 속락으로 판하되어서, $\lceil$고려사$\rfloor$ $\lceil$악지$\rfloor$$\lceil$악장가사$\rfloor$ 등에 별곡이란 제목으로 전하는 시가는 그 형식적 특징에 따라서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청산별곡)$\cdot$(서경별곡)과 같은 고여속요와, (윤림별곡)$\cdot$(관동별곡)$\cdot$(죽계별곡)과 같은 경기체가가 그것이다. 그리고 별곡이라는 명칭이 붙은 또 다른 시가로는 조선조에 주로 사대부들에 의하여 왕성하게 창작된 가사가 있다. 이들 세 유형의 시가는 음악적 측면에서 보면 아락에 대립하는 속락으로서의 공통성을 지니기에 모두 별곡이라는 공통된 제목이 붙는다. 그러나 문학적 측면에서는 그 형식이 판연히 다르므로 별곡을 문학의 갈래를 규정하는 용어로 사용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 그리하여 현재 별곡이라 명명된 시가를 그 형식적 특징, 작자와 향유층의 이념 및 사상 그리고 연행된 시대에 의거하여 속요, 경기체가, 가사로 일반화 하여 부르는 것은 타당하다. 그리고 우리말 시가로 가창된 시조와 별곡은 인간의 성정을 온유돈후하게 교화하는 예락위정 사상과 백성과 더불어 함께 즐기는 여민동락 정신을 구현한 민족예락의 정수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