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lationship of Interaction and Performance in NPD Teams: Group Efficacy and Participation

신제품 개발팀에서 상호작용과 성과와의 관계: 집단효능감과 참여의 역할을 중심으로

  • 이원준 (서울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
  • 김병재 (서울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 Received : 2004.11.11
  • Accepted : 2005.03.07
  • Published : 2005.04.30

Abstract

In most leading companies, new product developmen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rporate activities which affects the very existence of them. Therefore, CFT(cross-functional team) is frequently used to utilize knowledge and experiences of its members from various teams. To ensure the successful operation of CFT, various structural assistances, such as committee and Task Force Team, are made which will coordinate smooth interactions among members. Many researches show that the increase of interaction among team members affects the performance. This research is exploratory research intend to show the effects of relat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group efficacy and participation on the perceived performance of new product development. This research examines the performance mechanism that lies in between CFT and its members by expanding the understanding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 and performance in new product development CFT. Results show that the level of interaction affect group efficacy. and group efficacy affect participation. Finally, participation affect perceived performance. However. it shows that the level of interaction and group efficacy do not have direct effect on perceived performance.

선도적 기업들에 있어서 신제품의 개발은 기업의 사활이 걸린 중요한 기업 활동 중의 하나이며, 구성원의 다양한 지식과 경험을 필요로 하는 과업의 특성으로 인해 다부서의 인력이 일시적으로 신제품 개발을 위해 모이는 CFT (cross-functional team)의 구성도 빈번한 실정이다. 또한 성공적인 팀의 운영을 위해 구성원간의 원활한 상호 작용을 위한 외형적인 다양한 구조적 장치(위원회, 전담반 구성등)를 구성하여 신제품의 개발을 도모하고 있으며 이러한 팀 내 상호작용의 증대가 성과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많은 연구들이 있어왔다. 본 연구는 구성원간의 상호직용 증대가 신제품 CFT 의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단일 측면에 대한 이해에서 발전하여, 구성원간의 관계에 있어서 집단 효능감, 참여등의 관계 특성이 지각된 신제품 개발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는 탐험적 연구로서, CFT 내의 구성원과 팀간에 존재하는 성과 기제를 좀 더 세밀하게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상호작용 수준은 집단 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집단 효능감은 참여에, 참여는 지각된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변에 상호작용 수준이나 집단 효능감이 직접 지각된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지는 않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