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ating Social Concern-oriented Geography Education to Critical Pedagogy

사회적 관심 지향의 지리교육과 비판적 교육학의 조응

  • Published : 2005.10.31

Abstract

This paper begins with a critique that researches of geography education in Korea have not reflected the ideological debates in education and geograph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gure implications for socially-critical geography education being studied in England as openly-ideological approach. First, ideological viewpoints of geography education was categorized through analysis of ideology in education and geography. Especially, a limit of conservative and liberal approach is indicated, socially-critical viewpoint is intrinsically justified as alternative logic. Socially-critical theorizing can change teacher's role as an agent of curriculum change and their conduct knowledge as well as geography curriculum. Second, (social) concern-oriented geography education to be more concerned to 'the social' can be realized through the third space approach and committed geography education as critical pedagogy. And, critical literacy is needed to teachers and students for practice of socially-critical geography education.

본 논문은 우리나라 지리교육에서의 연구가 그 동안 교육 및 지리학에서 전개되어 온 이데올로기적 논쟁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는 비판에서 출발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지리교육에 대한 열린 이데올로기적 접근으로서 최근 영국을 중심으로 실증주의 지리교육에 대한 대안적 논리의 하나로서 전개되고 있는 사회비판적 지리교육의 본질을 검토하는 것이다. 첫째, 교육 및 지리학에 있어서의 다양한 이데올로기적 관점에 토대하여 지리교육의 이데올로기적 관점을 범주화하였다. 특히, 보수적 접근으로서의 실증주의 지리교육과 자유주의적 접근으로서의 인간주의 지리교육의 한계를 지적하면서 등장한 사회비판적 지리교육에 초점을 두었다. 이와 같은 지리교육에서의 사회비판적 이론화는 지리교육과정뿐만 아니라 지리교사의 역할, 그리고 그들의 수업 실행지식에 대한 변화를 촉구할 것이다. 둘째, 지리교육이 공간 중심에서 보다 '사회'에 관심을 두어야 한다는 (사회적) 관심 지향의 지리교육은 제3의 공간적 접근과 비판적 교육학으로서의 태도형성 지리교육을 통해 실현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사회비판적 지리교육의 실천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교사와 학생들에게 비판적 문해력이 요구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