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peculation on the Prospect and Globalization of Modern Sijo

현대시조의 진로 모색과 세계화 문제 연구

  • Published : 2005.07.01

Abstract

In my paper, the discussion focuses on the fact that sijo is distinguished from free verse as a separate Identity in that it has its own formal beauty, and the works that deviate from this poetic rule are guarded against. In the past ancient sijo, in terms of both music and literature, was a major genre in harmony with chang(songs) ; and in modern times, sijo been created irrelevantly with chug. But my point is that it will not futile if sijo is accompanied with chang, and, therefore, the latter should be adjusted to a modern taste and go together with the former ; and that, to attain this goal, Korean musicans should cooperate with sijo writers. With English-version sijo works, there are some that are put in accordance with the formality of Engish poetry. This paper indicates that, in this case, foreign readers can't feel the nuances the source text of sijo works could produce, so it is not proper to translate sijo works in accordance with the formality of English poetry. But there are other translations where the 3-jang(statements)-6-gu(phrases) form of the original sijo text is reproduced within the limits of English expressions, with each of the two gu(phrases) in a ing(statement) having an almost equal number of syllables, so that each phrase could be recited within the same length of time. The conclusion is that the Korean-English translations of sijo works should begin with the reproduction of its original formal beauty; but, to do this, sijo writers should create works in accordance with it original formality first. Therefore for good translations of sijo works there should be a mutual efforts between sijo scholars and English poetry scholars.

이 논문에서는 시조는 시조의 형식미를 지킴으로서 자유시와의 변별력이 생길뿐더러 시조의 존재의의가 있다는 데에 논의의 초점을 맞추고 여기서 이탈하는 작품들을 경계하였다. 과거 고시조는 창과 조화롭게 만나서 음악으로나 문학으로나 중심장르로서 역할하였는데, 현대시조에 와서는 창과 무관하게 창작되고 있지만 시조가 창을 곁들인다고 해서 무익하다고 할 수 없기 때문에, 창을 현대감각에 맞게 조정하여 시조와 만나는 문제를 생각해야 하고, 이 점은 국악인과 시조시인과의 상호 노력이 요청되는 문제임을 지적하였다. 시조를 영역한 예들을 살펴보니 시조를 영시 형식으로 번역한 경우가 있었다. 이렇게 되면 외국인들이 시조의 형식에 따른 시조의 묘미를 느낄 수 없게 되므로 올바른 번역이 되지 못함을 지적하였다. 그러나 시조의 3장 6구 형식을 영어가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살리려고 노력하는 한 편, 각 구끼리 비슷한 음절수를 가지게 하여 각 구를 읽을 때의 시간적 거리를 비슷하게 만든 경우가 있었다. 시조 영역(英譯)은 이같이 시조다움을 살리는 데에서 출발해야 하고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먼저 시조시인들이 시조형식을 잘 지켜서 창작해야 거기에 따른 번역 또한 시조답게 번역이 가능해질 것임을 지적하면서, 바람직한 번역을 위해서는 시조학자와 영문학자와의 상호 노력이 요청되는 문제임을 지적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