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ience Teacher Perception and Status of Management of Science Classes or Clubs in Secondary Schools

중등학교 과학 교실 및 동아리 운영 실태 및 과학 교사의 인식

  • Sim, Kwe-Cheol (Science Education Institut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Kim, Hee-Soo (Science Education Institut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Lee, Hee-Bok (Science Education Institut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Ryu, Hai-Il (Science Education Institut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심규철 (공주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 김희수 (공주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 이희복 (공주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 류해일 (공주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Published : 2005.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ate of management and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f science classes and clubs in secondary schools. There ware 125 participants (75 middle school teachers and 50 high school teachers) from eight metropolitan cities and local areas, and more than 80% of the participants had managed science classes or clubs. Results found that a significant number of science teachers felt it necessary to manage science classes and/or clubs in secondary schools. They believed the classes and/or clubs to be beneficial in the activation of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even though they might not be effective ways of improving scientific achievemen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econdary science teachers desire financial support, in-service programs, and efficacious programs supporting science class and club management.

Keywords

References

  1. 고계순, 섬규철, 김현섭 (2001). 중학교 과학 생물의 구조와 기능 단원의 실험 및 관찰 탐구 활동 내용에 대한 교과서 비교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9(1), 46-56
  2. 곽영순, 김주훈 (2003). 좋은 수업에 대한 질적 연구: 중등 과학 수업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2), 144-154
  3. 교육부 (1999).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III) -수학, 과학, 기술, 가정-. 서울: 대한교과서(주)
  4. 김범기, 김영민, 윤상학 (1994). 학생 과학탐구 시범 대회의 평가. 제 1회 학생과학탐구올림픽대회 평가연구 보고서(한국학생과학탐구올림픽위원회), 113-147
  5. 김성원, 채송화 (1997). 중학교 과학과 클럽 활동의 운영 실태와 개선 방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7(4), 511-524
  6. 김윤희, 문성배 (2000). 3차원 분석틀을 이용한 고등학교 공통과학(물질 부분) 교과서의 탐구 활동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 274-287
  7. 박재호, 문정대, 조운복, 황수진, 이영주, 심정애, 성정희, 김영, 박종길 (1989). 관찰과 실험에서 기구의 조작 기능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9(2), 29-45
  8. 심규철, 김희수, 류해일, 이희복 (2003). 중등학교 과학 교실 및 과학동아리 프로그램 개발 연구. 공주대학교과학교육연구소 연구보고서(교육부과제)
  9. 심규철, 안중임, 김현섭 (2004).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과학과 생명영역 물질대사 관련 탐구 활동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2), 202-215
  10. 유모경, 조희형 (2003). 중학교 1학년 과학 교과서의 탐구 영역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5), 494-504
  11. 윤진 (2003). 학생 및 교사의 과학 활동 지원. 과학 탐구실험 교육을 위한 대토론회 자료집(한국과학교육단체총연합회), 129-137
  12. 이규석 (2003), 학생 및 교사의 과학 활동 지원 토론. 과학 탐구실험 교육을 위한 대토론회 자료집(한국과학교육단체총연합회), 139-143
  13. 이돈희, 박순정, 이범홍 (1997). 과학 교과학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RR97-16-5
  14. 임청환, 김남일, 권성기, 고한중, 이성호 (2005). 초등학교 과학교실 및 과학동아리 관련 현황 조사 및 프로그램 개발 모형 설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2), 209-220
  15. 정완호 김영신, 권용주 (1999). 중학생들의 과학적 사고 수준과 교과서 생물 분야의 탐구 활동에서 요구하는 사고 수준의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7(3), 202-210
  16. 조희형, 박승재. (1999). 과학 교수-학습. 서울: 교육 과학사
  17. Hofstein, A, & Lunetta, V. N. (1982). The role of the laboratory in science teaching: Neglected aspects of research.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2, 201-217 https://doi.org/10.3102/00346543052002201
  18. Novak, J.D. (1998). Learning, Creating, and Using Knowledge: Concept Maps as Facilitative Tools in Schools and Corporations. USA;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pp. 8-10
  19. Tamir, P., & Lunetta, V. N. (1978). An analysis of laboratory inquiries in the BSCS yellow-version. American Biology Teacher, 40, 353-357
  20. Texley, J. & Wild, A (1997). NSTA Pathway to the Science Standards: Guidelines for Moving the Vision into Practice (High School Edition).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p 2
  21. Tobin, K. (1986). Student task involvement and achievement in process-oriented science activities. Science Education, 70, 61-72 https://doi.org/10.1002/sce.373070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