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Experimental Modules Using Everyday Life Materials to Enhance Science Process Skills

과학 탐구능력 향상을 위한 실생활 소재 모듈의 개발

  • Published : 2005.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experimental modules that would enhance science the process skills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The modules were composed of real-life materials on the subjects of light, movement, force, water, and heat. Each module consisted of four to six activities, and provided student worksheets and teacher guides. Physics teachers were invited to a workshop specially held to identify whether these modules would befit the improvement of student science process skills. A majority of the teachers believed the modules to be valuable instructional materials which might enhance student science process skills in the Korean secondary school science classes.

이 연구는 증등학생의 탐구능력 향상을 위한 실생활 소재 탐구모듈 개발 연구이다. 실생활소재를 사용하여 물, 열, 빛, 운동, 물질과 관련된 물리내용으로 모듈을 구성하였는데, 각 모듈 당 4-6개의 관련 활동들이 포함되어 있고, 각 모듈은 학생용 실험서와 교사용 지도서로 구성되어 있다. 모듈을 현장 물리 교사에게 워크삽을 통해 모듈의 목표, 내용, 활용 측면에서 타당도 평가를 받았는데, 모듈의 목표 측면에서는 79%의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고, 내용 측면에서는 77%, 활용 측면에서는 71 %의 긍정적인 평가를 받아, 전체적으로 74 %의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모듈의 개선점, 보완점등의 설문을 바탕으로 수정보완하여 모듈을 완성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순재 권주희, 여성희 (1999). 법률학적 모형에 의한 STS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학습부진아의 학업성취도와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2), 248-255
  2. 강순자, 최경희, 이정아 (1994). STS 자료를 이용한 생물수업이 학생들의 학습 성취도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2(2), 225-236
  3. 교육부 (1992). 고등학교 교육과정. 서울: (주)대한교과서
  4. 교육부 (1997). 과학과 교육과정. 서울: (주)대한교과서
  5. 교육부 (1999). 과학과 교육과정. 서울: (주)대한교과서
  6. 권재술, 김범기, 우종옥, 정완호, 정진우, 최병순 (1998). 과학교육론. 서울: 교육과학사
  7. 김창식, 이화숙, 권재술, 김영수, 김찬종 (1991). 과학학습 평가. 서울: 교육과학사
  8. 박승재 (1992). 과학교육과 탐구실험. 충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과학교육연구논총. 9, 83-91
  9. 임채성 (2002).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와 '실험 관찰' 생물영역의 탐구요구수준 분석. 2002년 한국생물 교육학회 하계 학술발표대회 초록집. 한국생물교육학회
  10. 정완호 권용주, 김영신 (1993). STS 교육운동의 국내 연구 경향 분석과 적용 방안에 관한 조사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1), 66-79
  11. 조희형 (1994). 과학-기술-사회와 과학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12. 진성욱, 이제용 (1998). 생활 주변 자료의 활용이 과학 지식, 탐구 능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7 (2), 113-121
  13. 최경희 (1996). STS 교육의 이해와 적용. 서울: 교학사
  14. 최경희, 김추령 (1995). STS 수업방법과 전통적 수업방법에 의한 중학교 학생들의 과학 성취도 및 과학과 관련된 태도변화에 관한 연구. 물리교육, 13(1), 17-22
  15. 한안진 (1995). 현대 탐구과학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16. AAAS(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993). Science A Process Approach II. Huson, N.H: Delta Edu. Inc.
  17. Bob, C, & Fred, L. (2000). Learning science through contexts: helping pupils make sense of everyday situ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2(3), 239-252 https://doi.org/10.1080/095006900289859
  18. Bybee, R. W. (1986). Science-Technology-Society: An essential theme for science education. In RK James (Ed.)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Resource for science educators. Columbus, Ohio: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Teachers in Science and AMEA.C Information Reference Center
  19. Collette, A, T. & Chiappetta, E. L. (1989). Science Instruction in the middle and secondary schools (2nd Ed). Columbus. OH: Merill Publishing Company
  20. Dlamini, B., Lubben, F., & Campbell, B. (1996). Liked and disliked learning activities: responses of Swazi students to science materials with a technological approach. Research in Science and Tecnological Education, 14 (2), 221-235 https://doi.org/10.1080/0263514960140208
  21. Herron, M D. (1971). The Nature of Scientific Inquiry. School Review. 2, 171-212 https://doi.org/10.1086/442968
  22. Kyle, W. C. Jr. (1980). The distinction between inquiry and scientific inquiry and why high school students should be cognizant of the distinc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17, 123-130 https://doi.org/10.1002/tea.3660170206
  23. Welch, W. W., Klopfer, L .E., Aikenhead, G. S., & Robinson J. T. (1981), The role of inquiry in science education: Analysis and recommendations. Science Education, 65(1), 33-50 https://doi.org/10.1002/sce.3730650106
  24. Yager, R E. (1997). Science/Technology/Society as reform in science education. Albany,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5. Yager, R. E., & McCormack, A. J. (1989). Science Education, Assessing teaching/learning successes in multiple domains of science and science education. Science Education, 73(1), 45-58 https://doi.org/10.1002/sce.3730730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