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일본의 초.중.고등학교 과학 교과서 비교 연구 -물리 영역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Science Textbooks for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in Korea and Japan - Focusing on the Field of Physics -

  • 발행 : 2005.08.30

초록

현재 일본은 1998년 12월 문부성에 의해 고시된 7차 교육과정의 교과서가 2002년부터 사용되고 있으며 그 특징으로는 학교 주5일제 수업 실시와 종합학습시간의 신설로 수업 시수가 대폭 줄고, 기초, 기본 중심으로 교육내용을 선정하여 기초 학력을 충실히 익힐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우리나라 또한 7차 교육과정에 의한 교과서가 2000년부터 사용되고 있으며 직장인들의 주5일 근무에 따라 5일제 수업 실시가 이야기되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렇듯 한국과 일본 모두 교육의 변화를 가져오고 있는 상황을 뒷받침 해볼 때 일본에서 사용되고 있는 교과서와 우리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 교과서를 분석하여 그 특징과 장단점을 명료히 정리한다는 것은 새로운 교과서 개발의 기초 과정으로서 대단히 의미가 있는 일이며 앞으로 교과서를 개발하는데 많은 참고가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연구 결과 일본과 한국의 교과서는 내용 면에서 상당히 유사한 점이 많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학습이 이루어지는 순서와 학습이 이루어지는 시기 등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며 한국의 경우 같은 내용을 계속적으로 반복하여 학습하고 있으므로 주제에 비해 교과서 분량이 상당히 많다. 교육과정을 개선하고 교과서의 개편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의 계속적인 연구가 뒷받침되어져야 할 것이다. 앞으로 여러 교육적문가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분석 평가를 통해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교육과정, 기초, 기본 교육에 충실한 교과서가 되기를 기대한다.

The development of modem technology made people mo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science education, which was followed by research on textbooks based on the new curriculum. This study compared physics textbooks that were published after the new curriculum started in 2000 and 2002 in Korea and Japan, respectively, and aimed to become a reference for further improvement of science curriculum and textbook refor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number of teaching topics in Korean science textbook is greater than those in Japan. 2. In detail, the field of physics appeared to be relatively more important in Korea's textbooks, while it was the field of biology that was given more weight in textbooks in Japan. 3. The textbooks in Korea and Japan covered in more detail the concepts of 'power and energy' and 'electricity and magnetism', respectively. 4. The textbooks in Korea introduced the contents of magnetism initially, whereas their counterparts in Japan, the contents of light. As a whole, the contents of the science textbooks in Korea and Japan were very similar. However, more detailed concepts were included in Korea's textbooks, and therefore, Korea's textbooks seemed to have richer contents than Japan.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원희(1998). PSSC물리와 한국 및 일본 고등학교 물리 교과서 비교 연구.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교육부 (1999a).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서울: 교육부
  3. 교육부(1999b).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서울: 교육부
  4. 교육부(2001).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서울: 교육부
  5. 김승익(2000).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초등학교 새 교과서. 교과서 연구35호
  6. 김효남, 이영미 (1995). 한국과 일본 5학년 과학교과서 내용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4), 452-458
  7. 박시현, 우종옥 (1994). 한.일 국민학교 자연교과서 심화 비교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1), 58-69
  8. 박승재 (2002). 이공계 기피와 물리교육의 위기 - 심층적 분석과 대책 방안. 물리학과 첨단기술 제11권 6호
  9. 박윤배 (1998).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국제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1), 19-34
  10. 박종윤, 김성희 (1988). 초중고 과학교과서의 화학 영역에 관한 연계성 분석. 화학교육, 15(2), 137-139
  11. 배창우 (1999). 일본의 교과서 제도. 교과서 연구 33호
  12. 이정원 (1986). 한국과 일본 중학교 과학 교과서 중 물리 영역에 대한 비교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정완호 (1995). 스스로 공부할 수 있는 자율학습의 교과서. 교과서 연구 21호
  14. 한종하 등 (1986). 제 5차 초 . 중학교 자연과 및 과학과 교육과정 시안 연구개발. 한국 교육 개발원
  15. 함수곤 (1995). 앞으로의 교과서의 기능. 교과서 연구 23호
  16. 함수곤 (1999). 일본의 새 교육 과정 개정 특징. 교과서 연구 32호
  17. Kim, C.-J. (2001). The Contents of Primary Science in the National curricula of Korea, China, and Japa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1(5), 924-943
  18. Choe, Y.-J., & Song, J. W. (2001). The Contents of physics in the National curricula of East Asian Countri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1(5), 979-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