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책공동체

Search Result 330,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Study on the Perception, Emotion and Capacity of Cultural-Based Community's Policy Target Groups (문화기반 마을공동체 정책대상자의 인식, 정서, 역량에 대한 연구)

  • Song, Anna;Kim, Saejune
    • Korean Association of Arts Management
    • /
    • no.56
    • /
    • pp.5-38
    • /
    • 2020
  • This study begins with the question of how culture-based communities can form a community culture and become a community of sustainable development. Based on the concept of community, community development factors and stage of development, cultural activities, and policy implementation theory, policy execution analysis models suitable for culture-based community projects were derived.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was adopted as a research method, and success stories of culture-based village communities were selected as the 'Gamgol Community' in Sadong, Ansan, 'Sangdong Community' in Daebu-dong, Ansan, and 'Grimae Village' in Sinse-dong, Andong. Through in-depth interviews, literature analysis, and direct observation, the research analysis used pattern matching, explanation, chronicle analysis, and case integration analysis methods presented by Yin (2009).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licy implementation strategy were taking place in the process of step-by-step development. The main factors in the community development phase were the improvement of community consciousness through the emotional change of participants and the change of capacity within the community. Second, it was understood that cultural activities played a major role in strengthening community consciousness and community capacity, and could be understood as various creative activities. Based on the ecological approach study on culture-based community, this study derived the policy execution analysis model, analyzed the case of culture-based village community, presented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community and presented practical implications.

정책학의 학문적 정체성에 관한 시론적 연구 - 한국정책학회와 한국정책학회보를 중심으로 -

  • Heo, Man-Yong;Lee, Hae-Yeong
    • 한국정책학회보
    • /
    • v.21 no.2
    • /
    • pp.1-31
    • /
    • 2012
  • 본 연구는 정책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정의·분류하고, 학문적 정체성의 하위차원에서 도출된 연구 질문과 기존 연구에서 제기된 논쟁점에 대해 학문공동체와 기존 연구들이 어떻게 논의하고 있는지를 정리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통하여 정책학의 정체성이 무엇이고 어떤 상태에 있는지, 연구 노력과 활동이 정체성 정립에 기여했는지, 학문적 정체성 구축을 위한 연구 함의는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학문적 정체성은 '독자적이고 고유한 이론체계와 방법론 및 연구 대상과 범위를 가지고 있으면서(과학적 정체성) 경계에 따라 차이가 있고 구별되는 독특한 특징을 고민하면서(경계정체성) 공동체를 구성하여 학문의 영역과 미래를 회고·전망하는 것(집단정체성)'으로 규정하였다. 즉 정책학의 학문적 정체성은 세 가지 하위 차원과 각각의 구성요소(패러다임, 한국화, 공동체 활동 등)로 이루어져 있다. 정책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면 다음과 같다. 정책의 개념 정립과 이론 구축 등의 멀고 성가신 길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과학적 정체성 수준은 매우 낮고 그 구축은 요원하다고 하겠다. 빈약한 또는 잘못된 정책 개념을 극복하고 정당한 과정을 거친 개념 규정이 우선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정책학의 한국화에 대한 연구 요청 대(對) 무용론이나 연구 축적은 거의 없다는 비판 등이 대치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경계 정체성에 대한 위기를 인식하고 있지만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 축적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학문공동체를 구성하여 (한국)정책학의 위치와 미래에 대해 회고·전망의 장을 열고 있지만 공동체의 목적인 근본적 문제 등에 관한 자극은 부족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구성원들의 응집력은 한국화 등에 대한 공동 노력이 시도되고 있는 반면, 개념 구성 등에 대한 그것은 알려진 것이 드물다. 따라서 집단정체성은 과학적 정체성의 공유(자극, 공동노력, 응집력)는 상대적으로 부족하고 경계정체성의 공유는 시도 단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개념 정립, 이론 구축 등과 같은 과학적 정체성에 대한 연구는 위험이 따르기 때문에 개인적 시도보다는 학문공동체의 관심과 자극이 수반된 공동 노력으로 연구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Urban Community as a Contested Practice: A Gap between Ordinary Practices and Civic Advocacy Discourse (경합적 실천으로서 도시 공동체: 일상 실천과 시민사회 옹호 담론 간의 간극)

  • Lee, Jae-Youl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51 no.2
    • /
    • pp.269-281
    • /
    • 2016
  • This article problematizes and interrogates the idea of 'community' which is increasingly important in Korean urban policy-making. For the purpose, this article scrutinizes, and compares, how ordinary citizen participants and civil society activist organizations in a 'community garden' program of Seoul make sense of, utilize, and practice the policy concept. The neo-Faucauldian perspective of 'governmentality' is employed to understan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community-focused policy program and neoliberalism, but Barnett's( 2005) call for 'bottom-up governmentality' is taken seriously in order to avoid any deterministic interpretation. On the basis of this eclectic perspective on governmentality, this article presents empirical findings that may suggest a contestation over community between ordinary citizens and civil society activists. More specifically, ordinary citizen participants prioritize place-based, on-the-ground community experiences that are built on common cultivation practices, whereas civil society activists tend to consider community garden as a teleological governmental technology generative of particular citizen subjects. Civic community garden advocacy as such aims to address social, economic, and spatial problems that neoliberalsim has produced, but it also appears to be in a close association with neoliberal urban policy. Thus, the community activism's meaningfulness lies in its active intervention to neoliberal urban policy, but a gap between ordinary practical achievements and civic activism can be a potential danger to urban community policy. On the basis of this discussion, this article asks more detailed investigations about the taken-for-granted positivity of urban community (re)vitalization programs, and also examinations on whether and how such projects generates emergent tensions between ordinary achievements and policy prescriptions.

  • PDF

A Review of Emerging Issues on Community Forest Management in Vietnam (베트남의 공동체 산림 관리)

  • Hai, Nguyen-Dinh;Kim, Sung-Soo;Youn, Yeo-Chang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13 no.1
    • /
    • pp.227-234
    • /
    • 2006
  • 산림관리에 있어 공동체는 중심에서 풀-뿌리단계로 관심을 받아왔다. 베트남에서, 공유림은 오랜 기간 산림에 의존하고 있는 서로 다른 공동체의 존재 그리고 종교와 긴밀히 연결되어 있다. 지난 몇 년 동안,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의 필요성에 기초하여, 몇몇 지역 공동체는 산림 또는 임지를 마을과 가구를 포함하여 산림에 대해 소유권을 가진 지역공동체에 할당되었다. 게다가 공동체는 또한 산림을 보호, 천연갱신과 신규조림 등 정부기구의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산림관리에 근거한 지역공동체의 경험은 경제-사회적으로 적합한 산림관리 모델로 이것은 베트남의 서로 다른 민족의 전통관습에 따른다. 그러나 법적인 면에서, 지역공동체는 아직 산림 또는 임지에 연결된 실체로 인식되지 않고 있다. 공동체 산림관리의 두가지 형태는 (i) 그들에게 속한 산림과 임지를 공동체가 직접 관리하는 경우와 (ii) 공동체가 국가기관이 소유한 산림의 보호와 조림에 참여하는 경우이다. 이 논문은 공동체 산림관리에 대한 현재의 상황, 잠재력, 경향 및 이슈를 명확히 하여 정책담당자의 이러한 산림관리에 대한 이해를 돕는 데 있다.

  • PDF

A Study on the Sustainable Operation of Community-based Childcare: A Case Study of a School-age Childcare Community of Participants (지역기반 자녀돌봄 공동체의 지속적 운영에 관한 연구: 초등학생 자녀돌봄 공동체 참여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 Chun, JeeWon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and Policy Review
    • /
    • v.25 no.3
    • /
    • pp.31-45
    • /
    • 2021
  • Despite efforts to expand public care services as social demands increase, the problem of the after-school self-car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were in the situation of care cliff remains. Thus, this study focused on community-based childcare to solve the issue of school-age childcare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community-based childcare of participants who had school-aged children who liv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Korea).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en married working mothers among clients of a community-based childcare provider that has been operating for more than five year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is clear that community-based childcare is a useful welfare resource.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data for developing policies and programs for school-age childcare or the after-school self-car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urthermore, it may broaden the horizons of research related to community-based childcare.

A Policy Community Model for 'Creative Cultural Contents Tourism' Infrastructure : A Case Study on Seongnam City ('창의적 문화콘텐츠관광' 기반조성을 위한 정책공동체 모형 -성남시 사례를 중심으로-)

  • Kim, Hyeong-So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1 no.11
    • /
    • pp.177-190
    • /
    • 2013
  • Recently, our society is seeing cultural value in a new light, perceiving it as an element that creates new values added. Reflecting this trend, the local governments in various levels focus on reviving the regional economies by enhancing cultural competencies and developing the culture and tourism industries. This research is conducted to perform the policy project 'administrative support plans to make Seongnam a hub of international culture and tourism,' which was proposed as part of the urban renewal strategy of the city. This study proposes the establishment of 'policy communities' to build the infrastructure for 'creative cultural content tourism' as a plan to accomplish the policy goal pursued by Seongnam. The focuses include what the policy communities are, how they work, and what the local government has to do with them for a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proposed policies, by theoretically examining the composition variables of policy communities. In particular, the study concentrates on how to reconstruct the infrastructure for the culture content technology (CT) in the IT-based city and to transform itself into a city of "creative cultural content tourism". If the policy communities are formed under the proposed model in this paper, it is expected that they will become the viable alternatives in the field.

Agro-and Community Forestry Policy in Vietnam with Emphasis on Constraints Limiting Success (베트남의 농업-공동체 임업정책 성공 제한요인을 중심으로)

  • Hai, Nguyen Dinh;Youn, Yeo-Chang;Kim, Sung-Soo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13 no.2
    • /
    • pp.375-384
    • /
    • 2006
  • 농업-공동체 임업은 토지-나무-인간 사이의 관계를 폭넓게 포함하고 있으나 이 논문에서는 농업-공동체 임업활동이 베트남의 산지의 지속가능한 이용에 초점을 두고 있다. 농업-공동체 임업(AF와 CF)은 베트남에서 시급한 국가우선사항이 된 개발과 보전을 함께 고려할 수 있는 기능을 지닌 것으로 받아드려지고 있다. 베트남에서 AF와 CF를 동시에 지원할 수 있는 자원은 한정되어 있으며, 제약 사항은 위협적이고 시급한 상황이고, 황폐화가 진행될수록 복원은 어려워지는데, 농업의 생산성 감소에 따른 산촌주민들의 가족 부양을 위한 생태계 파괴도 가속화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연구는 농업-공동체 임업활동이 베트남의 산지 자원의 지속가능한 이용에 있어서의 연관된 문제들, 발전에의 제한요인, 특히 정책 제한요인을 분석하고 베트남 농업-공동체 임업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INTERVIEW - An Interview with Jin Hee Seon Chief of Housing Policy Office (인터뷰 - 진희선 서울시 주택정책실장 인터뷰)

  • 대한건축사협회
    • Korean Architects
    • /
    • s.548
    • /
    • pp.22-27
    • /
    • 2014
  • 박원순 서울시장 취임 이후 서울의 구석구석이 변하고 있다. 그 중 하나가 '상생의 주거공동체'이라는 목표에 걸맞은 실험적 형태의 주택들이 등장했다는 것이다. 거대한 개발논리에 의해 도시가 좌지우지되는 시대를 넘어 시민이 만들어가는 도시, 개인의 삶을 담는 그릇으로서의 건축, 공동체를 기반으로 거주자가 만들어가는 주택의 시대가 온 것이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서울시 주택정책을 총괄하고 있는 진희선 실장이 있다. 진희선 실장을 만나 서울시의 도시재생과 주택정책에 대해 들어보았다.

  • PDF

인터넷 사이트 보안 정책

  • 박진섭
    •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2 no.1
    • /
    • pp.67-82
    • /
    • 1998
  • 본 고에서는 인터넷 공동체 안에서 보안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에 대하여 시스템과 네트워크 관리자가 구축해야 할 인터넷 보안정책에 관한 보안정책의 개념, 보안목표의 설정, 보안정책의 구축단계 등을 다룬다. 특히 인터넷 사이트 보안정책에서 다루어야 할 영역과 방화벽 보안정책을 중심으로 서술한다.

  • PDF

The Realities and Practices in the UK's Community Archives Movement (영국 공동체 아카이브 운동의 전개와 실천적 함의)

  • Lee, Kyong Rae;Lee, Kwang-Suk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
    • no.37
    • /
    • pp.3-39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sent stage of community archives movement in the UK. By doing so, it draws some implications of the UK case for the community archives movement in Korea. The UK's 'Independent' community archives as a part of grassroots movement are characterized by participation, autonomy, and self-help of community members. Along with the appearance of the concept of 'community', the UK has experienced the revitalization period of community archives in the social context of community-based urban regeneration project. Recently, the UK's community archives have transformed themselves into building a 'governance model' relying on the partnership with mainstream archives. In particular, the UK model of community archives is based 'on their own ways' with their autonomy as a product of intrinsic development initiated by communities themselves. The character of the model of this type is very analogous to the nature of maul' community archives movement in Korea. Since the early 2000s, however, the UK model of community archives has been evolving into a way of building governance through their appropriation of the skills and methodologies from mainstream archives without endangering the autonomous essences of community archives themselves. We need to note the point of local researchers' view in archival science who have tried to seek out the methodology for building maul community archives with regard to openness and collaboration. In this respect, a shift in archival principle in the UK would give significant implications in regenerating the locally based community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