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re network maintenance by NO.7 protocol analyzing

Core Network 유지 보수를 위한 NO.7 Protocol 감시 방안

  • 유준모 (서울통신기술(주), 통신시스템연구소) ;
  • 김윤성 (서울통신기술(주), 통신시스템연구소)
  • Published : 2005.01.01

Abstract

The Back Bone of gearing portion between Core Network System which is used in wire and wireless system is No.7 Protocol. ISUP( ISDN User Part), INAP handling in Intelligent Network and MAP gearing method for linking each Network Element System in mobile network have use of No.7 signaling. Therefore, it is require for system to detect the problem - operating problem occurs in Core Network which use No.7 signaling or the existing problem that is not recognized - in shortest time. This paper study out analyzing and measuring system for No.7 protocol and analyzing out system whether out of order or not. It can abstract No.7 Signaling Message and analyze system performance and report it. This system is connected in system No.7 HW Module which is in charge of No.7 Signaling. It is not offer Emulator function and Simulation function for any scenario but offer monitoring No.7 signaling. This system perform the function about No.7 MTP, ISUP, INAP and MAP and is offered several wire and wireless network Operator. It can detect and correct SW system, HW system and operating system problem. From now on, this system may offer the function about A-interface which is gearing between BSC and MSC, so it will perform to analyze generally and prompt effective operating for Core Network system.

유무선 기간 망에서 사용되어 지는 Core Network System간 연동 부분의 Back Bone이 NO.7 Protocol이다. 그래서 유선망에서 기본적인 중계 ISUP이나, 지능망 INAP 처리, 그리고 이동망에서 각 Network Element System간 연동되는 MAP 연동 방식이 NO.7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 NO.7을 이용하는 Core Network에서 운영 중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기존에 인지되지 않고 지나온 문제점들을 최단시간에 감지하여 도출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로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Core Network 에서 사용되는 NO.7 Signaling 방식에 대해 더욱 신뢰성을 확보하고, 장애 발생 여부 등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NO.7 Signaling Message들을 추출하여 Core Network 시스템의 기능 및 성능을 분석하고 Report를 작성할 수 있는 NO.7 Protocol 분석 측정 시스템을 고안하였다. 이 시스템은 NO.7 Signaling을 담당하는 Core Network 시스템의 NO.7 HW Module 에 연결하여 Monitoring만 수행하고, 어떤 시나리오에 대한 Emulator 기능이나 Simulation 기능은 제공하지 않는다. 이 시스템은 현재 NO.7 MTP, ISUP, INAP, 그리고 MAP 에 대해 측정 및 분석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였고, 여러 유무선 기간 망 사업자에 제공하여 SW 및 HW 적인 면 그리고 운영적인면 등에서 여러 가지 문제들을 확인하여 교정할 수 있었다. 향후에는 이외에 BSC-MSC 연동되어 지는 A-Interface 등과 같은 기능도 제공함으로써 NO.7 Protocol 전반적인 분석과 동시에 Core Network 시스템에 효율적인 운영을 도모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ITU-T Telecom. Standard Sector of ITU, Specification of Signaling System No.7 - Message Transfer Part(Q.701-Q.706)
  2. ITU-T Telecom. Standard Sector of ITU, Specification of Signaling System No.7 - Signaling Connection Control Part(Q.711-Q.716)
  3. ITU-T Telecom. Standard Sector of ITU, Specification of Signaling System No.7 - Transaction Capabilities Application Part(Q.771-Q.775)
  4. ITU-T Telecom. Standard Sector of ITU, Specification of Signaling System No.7 - ISDN User Part(Q.761-Q.768)
  5. 이규욱, '전자교환 시스팀의 소프트웨어 품질 및 신뢰도 보증' The Magazine of the IEEK 1992,2 v.019, n.002,pp.44-55. 1992
  6. 박항구, '디지틀 교환기술', The magazine of the IEEK 1987,10 v.014, n.005, pp.20-29. 1987
  7. 이현진, 조기성, 'IMT-2000 교환기능 검증을 위한 테스트베드 구축',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2000,11.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