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b-Sr Whole-rock Isochron Age and Petrology of the Mt. Geumjeong Granite, Busan

부산 금정산화강암체의 암석학 및 Rb-Sr 전암 등시선 연대

  • 윤성효 (부산대학교 과학교육학부(지구과학교육전공)) ;
  • 고정선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 박광순 (부산 장영실과학고등학교) ;
  • 안효찬 (부산 장영실과학고등학교) ;
  • 김용일 (부산 장영실과학고등학교) ;
  • 유성현 (부산 장영실과학고등학교) ;
  • 이동한 (부산 장영실과학고등학교) ;
  • 윤기영 (부산 장영실과학고등학교)
  • Published : 2005.03.01

Abstract

The granitoids in the Mt. Geumjeong, Busan can be divided into granodiorite, hornblende granite, adamellite, tonalite, biotite granite and micrographic granite. Th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Mt. Geumjeong granites indicate that they were crystallized from a calc-alkaline series and that they belong to Ⅰ-type granitic rocks which evolved from granodioritic magma into hornblende granite, adamellite, biotitie granite, and finally micrographic granite through fractional crystallization of plagioclase. The crystallization pressures and temperatures of the minimum melt compositions of the granitic rocks were estimated to about 1∼5 kbar and 720∼700℃. The trace element composition and REE patterns, characterized by a high LILE/HFSE ratio and enrichments in LREE, indicate typical continental margin arc calc-alkaline rocks produced in the subduction environment. The Rb-Sr isotopic data for the Mt. Geumjeong granites define a well-defined isochron yielding as age of 69.6±1.9 Ma with an initial Sr isotopic ratio of 0.70503.

부산 금정산화강암체를 구성하는 화강암류는 암상별로 화강섬록암, 각섬석화강암, 아다멜라이트, 토날라이트, 흑운모화강암 및 미문상화강암으로 구성된다. 금정산화강암의 지화학적 특성은 이들 화강암류가 칼크-알칼리암계열, Ⅰ-형 화강암에 속하며, 화강섬록암질 마그마로부터 사장석의 분별 결정화작용에 의해 각섬석화강암, 아다멜라이트 및 흑운모화강암, 미문상화강암으로 진화하였음을 잘 보여준다. 화강암의 최저용융조성의 결정화 압력과 온도는 1∼5 kbar와 720∼700℃로 계산된다. 금정산화강암체의 각 암상에서 측정한 Rb-Sr 전암 연대는 69.6±1.9Ma이며, Sr 동위원소의 초생비는 0.70503±0.00015이다. 미량원소와 희토류원소의 조성 변화에서 높은 LILE/HFSE 비와 LREE의 부화 경향을 나타내는데, 이는 금정산화강암체가 백악기말 섭입대 환경에서 생성된 대륙연변호 칼크-알칼리암의 전형적인 화강암 계열의 특성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옥준, 1971, 남한의 신기 화강암류의 관입 시기와 지각변동, 광산지질, 4, 1-9
  2. 손치무, 이상만, 김영기, 김상욱, 김형식, 1978, 동래.월래 (1:50,000) 지질도폭 설명서, 1-27. 한국자원개발연구소
  3. 이윤종, 윤성효, 김상욱, 고인석, 황상구, 정원우, 김중욱, 이철락, 하야시 마사오, 1999, 부산 금정산 지역 화강암류의 저어콘에 대한 형태학적 연구, 암석학회지, 8(2), 71-80
  4. 차문성, 1976, 부산지역의 불국사 산성 화성암류의 암석학적 연구, 광산지질, 9, 85-106
  5. 황병훈, 2004, 경상분지 남부지역의 화강암질암에 대한 암석학, 동위원소 및 성인,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비발행), 309 p
  6. Chappell, B.W., 1999, Alumiium saturation in I- and S-type granites and the characterization of fractionated haplogranites, Lithis, 46, 535-551 https://doi.org/10.1016/S0024-4937(98)00086-3
  7. Irvine, T.N. nd Baragar, W.R.A., 971, A guide to the common volcanic rocks. Canadian Jour. Earth Sci. 8. 532-548
  8. Lee, Y.J., 1980, Granitic rocks from the southern Gyeongsang basin, southeastern Korea, Part I. General geology and K-Ar ages of granitic rocks. Jour. Min. Petr. Econ. Geol., 75, 105-116 (in Japanese) https://doi.org/10.2465/ganko1941.75.105
  9. Lee, Y.J., 1982, Granitic rocks from the southern Gyeongsang Basin, southeastern Korea, Part II. Petrography and modal composition. Jour. Min. Petr. Econ. Geol., 77, 171-180 (in Japanese) https://doi.org/10.2465/ganko1941.77.171
  10. Maniar, P.D. and Piccoli, P.M., 1989, Tectonic discrimination of granitoids, Geol. Soc. Am. Bull., 101, 1023-1052
  11. Nakamura, M., 1974, Determination of REE, Ba, Fe, Mg, Na and K in carbonaceous ad ordinary chondrites, Geochim. Cosmochim. Acta, 38, 757-773 https://doi.org/10.1016/0016-7037(74)90149-5
  12. Tuttle, O.F. and Bowen, N.L., 1958, Origin of granite in the light of experimental studies in the system of $NaAlSi_3O_8-KAlSi_3O_8-SiO_2-H_2O$. Geol. Soc. Am. Memoir, 74, 153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