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어도 주변 파고분포에 대한 수리모형실험

Hydraulic Model Tests for the Distribution of Wave Height around the Ieodo Underwater Rocks

  • 전인식 (건국대학교 토목공학과) ;
  • 심재설 (한국해양연구원 연안·항만공학연구본부)
  • Chun Insik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Konkuk University) ;
  • Shim Jae-Seol (Coastal Harbor Engineering Research Division, Korea Ocean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발행 : 2005.03.01

초록

본 자료는 과거 이어도 해양과학기지의 건설과 관련하여 건국대학교와 한국해양연구소가 공동으로 수행한 이어도 수중암초 주변의 파랑변형에 대한 수리모형실험 결과이다. 실험은 총 4개의 파향 (NNW, SE, S, SSW) 각각에 대하여 이어도 정상부 주변 16m×18m의 영역에서 1m 간격으로 파고를 계측하였으며, 4개 파향 공히 이어도 정상에서 쇄파가 발생함을 관찰하였다. 이 자료는 기존의 파랑전파 수치모델의 성능개선과 관련하여 국소적 쇄파역에서의 모델성능을 검증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resent data concerns the wave height distribution around the Ieodo underwater rocks and it was obtained from a 3D hydraulic model experiment which was performed in 1999 by Konkuk University and Korea Ocean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The experiment was separately undertaken for 4 different wave directions (NNW, SE, S, NNW) under which wave heights were measured at every 1m interval within the preset grid area, 16m×18m. It was observed that the wave breaking occurred on the top of the Ieodo model for all wave directions. This data may be effectively used for improving or verifying the performance of numerical wave propagation models in the area with the local breaking wave zones.

키워드

참고문헌

  1. 전인식, 심재설, 최성진 (2000a). 이어도 종합해양과학기지에 대한 설계파력의 검토 I: 삼차원 수리모형실험.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12(4), 157-167
  2. 전인식, 심재설, 최성진 (2000b). 이어도 종합해양과학기지에 대한 설계파력의 검토 II: 쇄파역에서의 유체력.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12(4), 168-180
  3. 한국해양연구원 (1999). 99 이어도 종합해양과학기지 구축사업 보고서. BSPM 99020-00-1209-2
  4. Berkhoff, J.C.W., Booij, N. and Radder, A.C. (1982). Verification of numerical wave propagation models for simple harmonic linear water waves. Coastal Eng., 6, 255-279 https://doi.org/10.1016/0378-3839(82)90022-9
  5. Vincent, C.L. and Briggs, MJ. (1989). Refraction-diffraction of irregular waves over a mound. Journal of Waterway, port, Coastal and Ocean Engineering, 115(2), 269-284 https://doi.org/10.1061/(ASCE)0733-950X(1989)115:2(2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