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재조합식품(GMO)에 대한 소비자 정보요구도 연구

A Study on Consumers' Information Demand of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GMO)

  • 박혜영 (건국대학교 대학원 가정학과) ;
  • 김시월 (건국대학교 소비자 ${\cdot}$ 주거학과)
  • Park, Hye-Young (Dept. of Home Economics Graduate School, Konkuk Univ.) ;
  • Kim, Si-Wuel (Dept. of Consumer Science & Housing, Konkuk Univ.)
  • 발행 : 2005.01.01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degree of demand for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GMOs)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consumers' reasonable purchase decision making and their right to know about GMOs. Based on the (Ed-there are no study results above) study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 were made. First, throughout the survey, it was found that those consumers who participated had a high level of perception on the harm of GMOs. Therefore, reliable organizations such as government agencies are required to present the results of safety tests and formulate plans related to the safety of GMOs. Second, the average score on consumers' level of consumer knowledge on GMOs was very low, being 1.68 out of a possible 8 points. Third, since women and housewives engaged in dietary habits and food had high demand for information on GMOs, it is necessary to provide women with information on GMOs. Fourth, since it is difficult to confirm the presence or absence of GMOs. in rapidly increasing demand for fast-food, it is necessary that consumers be provided with relevant information and make a reasonable judgement in purchasing food. Fifth, it is necessary to provide detailed regulations and measures for concrete contents and directions of information on GMOs. Sixth, it is necessary to provid information on GMOs from the commercial sources of information that are most preferred by consumers.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자숙(1995). 수입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안전정보 요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기옥, 이승선, 김난도(2001). 디지털 사회와 소비자 - 소비자 정보론, 시그마프레스
  3. 김문정(2001). 주부의 유전자재조합식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사에 관한 연구. 순천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4. 김시윌(2001). 생활 속에서 배우는 소비자교육. 건국대 학교출판부
  5. 김용자(1996), 소비자 정보제공 체계에 관한 연구. 소비자문제연구, 18, 5
  6. 김태형(2001). 유전자재조합식품(GMO)의 유용성 및 유해성에 대한 비교분석. 연세대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농림부. 식품의약품안전청(2001), GMO표시제 관리 현황 및 계획. 합동설명회 교육자료
  8. 박선희 (2000).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수석전문위원실 정책 간담회 토론자료집
  9. 송재일(1999). 농협조사월보, 504('99, 9), pp,1-15
  10. 식품의약품안전청(1998), 유전자재조합식품의 올바른 이해
  11. 식품의약품안전청(2001). 유전자재조합식품과 소비자 인식. 유전자재조합식품관련 국제심포지움 자료집
  12. 식품의약품안전청(2002). 유전자재조합식품 표시제 관리동향
  13. 우건조, 이순호(2003), 유전자재조합식품의 안전성 평가. 보건산업기술동향, 여름, 14, 38-44
  14. 이은희(1993). 소비자 정보의 요구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임송수, 박용하(2001). 유전자변형 농산물의 관리 및 표시에 관한 정책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6. 정은희, 이은정, 한지희 (2001). 유전자재조합식품에 대한 주부의 인식 조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2( 1). 29-40
  17. 조향숙, 김시월(2001). 소비자의 유전자 변형 농산물(GMO)에 관한 태도 연구 -부산지역 주부 소비자를 중심으로-. 소비문화연구, 4(3), 67-84
  18.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안전성정보센타(2002). 유전자재조합식품 안전성관리 국제심포지움 자료
  19. 동아일보(2000). 유전자조작 농산물 해로울 것 73.6%
  20. Atkin, C. (1973). Instrumental Utilities and Information Seeking: New Models for Communication Reserch, eds, Clarkes, P. Hills and B. Sage: pp.205-242
  21. Buzdy, J. C. and J. R Skees (1994). Consumer want Reduced Exposure to Pesticides on Food. Food Review, 17, 19-22
  22. Gorden, B. D. (1974). Mnagement Information System: Conceptual Applications, 2nd ed., New York: McGraw-Hill Co
  23. Thorelli, H. B., J. L. Engledow (1980). Information Seeker and Information System: A Policy Perspective. Journal of Markeing Resarch, 44(Spring)
  24. http://www.consumernet.or.kr
  25. http://www.kgac.co.kr
  26. http://www.naqs.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