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ative Study on Media Environments and Media use of Korean-Chinese, Chinese, and Korean Adolescents

중국 조선족, 한족, 및 한국 아동과 청소년의 미디어환경, 이용실태 및 영향요인

  • 구정숙 (경희대학교 생활과학대학) ;
  • 박혜원 (울산대학교 아동 ${\cdot}$ 가정복지전공) ;
  • 조복희 (경희대학교 생활과학대학)
  • Published : 2005.01.01

Abstract

A comparison of students' media environments and media use patterns among Korean-Chinese in Yanji and Shenyang, Chinese students in Yanji and Korean students in Ulsan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The research surveyed 3,241 students between 10-18 years old on their home media environments, media use patterns and social characteristics including achievement motivation and the locus of control. Korean children not only have more media in their homes, but they are also heavier users of computers and other media than the other two groups. Despite the lower rates of access to computers and other media at home, Korean-Chinese in Yanji reported more use of media including TV, VCRs and computers at the computer rooms than Chinese students in Yanji. Additional analyses revealed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computer gaming at home and at computer rooms and achievement,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psychological and physical home environments. Impacts of Korea culture and societal changes on the Korean-Chinese use of media, and choice of media language were discussed.

Keywords

References

  1. 김광웅, 유미숙, 이지항(2004). 인터넷중독 여부에 따른 온라인 대인관계성향과 대면 대인관계 성향의 차이. 아동학회지. 25(2). 109-120
  2. 김남정(2001). 아동의 TV시청과 인성특성간의 관계. 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 논문
  3. 김유미(2000). 아동의 생활환경이 인터넷경험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4. 김종범(1999). 인터넷 중독 하위집단의 특성연구 자존감. 우울. 외로움. 공격성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5. 김청택, 김동일, 박중규, 이수진(2002). 인터넷 중독 예방상담 및 예방프로그램개발 연구 한국정보 문화진흥원. 정보통신부 일반정책연구보고 02-GP-11
  6. 김춘경(1991). 비디오게임과 아동의 인성특성간의 관계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7. 류병희(1997).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의 컴퓨터사용과 가치관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8. 문혁준(2004).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TV/비디오시청 중재와 아동발달특성. 아동학회지. 25(1), 47-60
  9. 민하영(1999). 스트레스 상황에 대한 지각된 통제감과 내외통제소재가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0. 박구연(2001). 가족기능과 자아개념이 고등학생의 컴퓨터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1. 박성은(1994). 아동의 TV 및 비디오 시청과 창의성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2. 박성혜(2001). 컴퓨터 게임 몰입과 정서적 특성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3. 박애서(1986). 어린이들의 TV시청과 인쇄매체 접촉과의 관계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4. 박지인(2000). 아동의 TV 시청량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서울지역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경희대학교 언론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5. 박혜원, 박문태(1998). 아동의 미디어이용과 아동의 지능 문제행동 및 가족환경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19(2), 3-18
  16. 박혜원, 원영미, 이귀옥(2004). 연변조선족 아동의 미디어 환경 및 미디어이용실태와 이중언어발달. 대한가정학회지, 42(1), 181-195
  17. 배 영(2001). 서울지역 청소년의 인터넷 이용실태 사회 발전연구. 7, 237-260
  18. 서주현, 유안진(2001).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과 친구 관계의 특성, 아동학회지, 22(4), 150-166
  19. 성영혜, 이주연(2000). 일반 청소년과 통신중독 경향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 지각과 자아정체감 비교연구. 숙명여대아동연구, 14(2), 91-110
  20. 손경애(2001). 한국 고등학생의 PC 이용격차 경로분석 연구. 교육행정연구, 19(2), 135-162
  21. 송숙자, 심희옥(2003). 아동의 컴퓨터게임 몰두성향과 심리사회 및 행동적 특성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24(5), 27-41
  22. 송원영(1998). 자가효능감과 자기통제능력이 인터넷의 중독적 사용에 마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3. 안혜숙(2002). 아동의 컴퓨터게임 몰입정도와 인성 특성과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청구논문
  24. 유종렬(1993). 아동의 컴퓨터게임 활용 실태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5. 윤재희(1998). 인터넷중독과 우울, 충동성, 감각추구 성향 및 대인관계의 연관성.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6. 이귀옥, 전효정, 박혜원, 원영미, 김영주, 박태수, 나은영(2003). 중국 연변조선족아동의 이중언어환경. 부산: 서림출판사
  27. 이미섭(1996). 아동의 TV시청과 성격특성 및 학업 성적과의 관계.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청구논문
  28. 이선애(2001). 아동의 인터넷 중독과 관련요인 연구. 사회복지개발연구, 7(1), 57-83
  29. 이소영(2000) 게임의 중독적 사용이 청소년의 문제 해결능력 및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0. 이 영(1985). 0-3세용 가정환경자극검사(HOME)의 표준화를 위한 예비연구. 연세논총, 21(3), 379-397
  31. 이해경(2001). 인터넷상에서 청소년들의 폭력게임중독을 예측하는 사회심리적 변인들.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4(4)
  32. 정광식(1993). 아동의 TV 시청태도와 학업성취의 관계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3. 정보통신부(2004). 2003 하반기 징보화실태조사(요약 보고서). 서울: 정보통신부
  34. 조남근, 양동규(2001).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인터넷 중독 경향 및 인터넷 관련 비행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4(1), 91-111
  35. 조복희. 이귀옥, 박혜원, 이진숙, 한세영(2004). 연변 조선족 아동의 학교적응에 대한 생태학적 접근. 아동학회지, 25(3), 127-140
  36. 채병건(1995), 가정의 미디어 환경이 청소년의 컴퓨터 이용에 마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7. 최민정(2000). 인터넷 중독적 사용과 우울감, 자기효능감 및 감각추구성향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8. 한국아동학회. 한솔교육문화연구원(2002). 아동발달 백서 2001. 서울: 한솔교육
  39. 한국전산원. (2004). 2004 국가정보화백서. 서울: 한국 전산원
  40. 한국정보문화진흥원(2004). 2004 인터넷이용 실태조사. 서울 한국정보문화연구원
  41. 허청선, 이광호(1995). 중국 조선족 민족교육의 발전 특성과 위기에 대한 재고찰. 한국청소년연구, 21, 60-80
  42. 황상민(2000). 정보서비스의 이용과 사이버공간의 활용에서 나타난 세대간의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3(2), 145-158
  43. 황상민, 황희영, 이수진(2001). 인터넷중독현황 및 실태조사. 서울 한국정보문화센터
  44. Anderson, D. R. & Collins, P. A. (1988). The Impact on Children's education: Television's influence on cognitive development. Washington DC: U.S. Department of Education
  45. Borzekowski, D. L. G., & Rickert, V. I. (2001). Adolescents, the Internet, and health issues of access and content.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15, 241-248 https://doi.org/10.1016/0193-3973(94)90015-9
  46. Colwell, L., & Payne, J. (2000). Negative correlates of computer game play in adolescents.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91(3), 295-313 https://doi.org/10.1348/000712600161844
  47. Griffiths, M. (1997). Computer game playing in early adolescence. Youth & Society, 29(2), 223-238 https://doi.org/10.1177/0044118X97029002004
  48. Griffiths, M., Miller, M., Gillespie, T. & Sparrow, P. (1999). Internet Usage and 'internet addiction' students and its implications for learning. Journal of Computer Assisted learning, 15, 85-90
  49. Hermans, H. J. (1970). A questionnaire measure of achievement motiva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54, 353-363 https://doi.org/10.1037/h0029675
  50. Liebert, R M., & Sprafkin, J. (1988). The early window: Effects of television on children and youth.(3rd ed.). New York: Pergamon Press
  51. Stewart, K. & Choi, H. P. (2003). PC-Bang (Room) Culture: A study of Korean college students' private and public use of computers and internet. Trends in Communication, 11(1), 63-79 https://doi.org/10.1207/S15427439TC1101_05
  52. Young, K. S. (1999). Internet Addiction: Symptoms, evaluation, and treatment. In L. Vande Creek, and T. Jackson (Eds.). Innovations in Clinical practice: A source book(Vol. 17). Sarasota, FL: Professional Resource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