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각 환경이 구강안면 통증환자의 음성 파라미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uditory Condition on Voice Parameter of Orofacial Pain Patient

  • 이주영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센터) ;
  • 백광현 (단국대학교 소음진동공학 연구실) ;
  • 홍정표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학교실)
  • 발행 : 2005.12.30

초록

본 연구는 구강안면통증 환자의 음성적 특징과 청각 환경에 따른 음성적 변화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구강안면통증 환자 29명과 정상인 31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일반 음성과 청각 조건(소음, 음악)에서의 음성 파라미터들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구강안면통증 환자는 정상인의 음성과 비교해 낮은 F0(Hz) 값과 높은 jitter(%), shimmer(%)값을 가져 정상인에 비해 낮고 불안정한 음성 특징(feature)을 나타내었다. 2. 구강안면통증 환자의 음성은 소음 환경과 비교해 음악 환경에서 낮은 F0(Hz)값과 shimmer(%)값을 가져 보다 이완되고 안정된 음성 특징을 나타내었다. 3. 정상인의 음성은 소음 환경에서 높은 F0(Hz)값을 가졌으나 음악, 소음 환경에 따른 특징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구강안면통증 환자는 정상인의 음성과 비교해 특징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외부적인 청각 환경에도 다른 반응 양상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구강안면통증 환자들의 기능적 장애를 보다 효율적으로 치료하기 위해서는 음악과 같은 긍정적인 정서 환경이 제공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have been compared and analyzed voice parameter under the condition of normal voice and auditory condition(noise and music) for 29 patients of orofacial pain and 31 normal people to investigate voice feature and vocal variation for auditory condition of orofacial pain patient. 1. Compared to normal voice, orofacial pain patient showed lower and unstable voice feature which has low F0 rate and high jitter and shimmer rate. 2. Voice of orofacial pain patient showed more relaxed and stable voice feature with low F0 and shimmer rate in the music condition than noise condition. 3. Normal people's voice h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usic and noise condition even though it has high F0 rate under the noise condition. As a result, orofacial pain patient showed difference of feature and different response for external auditory condition compared to normal voice. Providing of positive emotional environment such as music could be considered for better outcome of oral facial pain patient's functional disability.

키워드

참고문헌

  1. Bhuta T., Patrick L., Garnett JD. : Perceptual Evaluation of voice quality and its correlation with acoustic measurements. J. Voice., 2004; 18(3):229-304
  2. Yiu E., Chan R.: Effect of Hydration and vocal rest on vocal fatigue in amateur karaoke singers. J. Voice., 2003; 17(2):216-227 https://doi.org/10.1016/S0892-1997(03)00038-9
  3. Perry CK., Ingrisano D., Palmer MA., McDonald EJ.: Effects of environmental noise on computer-derived voice estimates from female speakers. J. Voice., 2000; 14(2):146-153 https://doi.org/10.1016/S0892-1997(00)80021-1
  4. Sodersten M., Ternstrom S., Bohman M. :Loud speech in realistic environmental noise: phonetogram data, perceptual voice quality, subjective ratings, and gender differences in healthy speakers. J. Voice., 2005; 19(1):29-45 https://doi.org/10.1016/j.jvoice.2004.05.002
  5. Curtis SL.: The effects of music on pain relief and relaxation of the terminally ill. J. music therapy., 1986; 23(1):10-24 https://doi.org/10.1093/jmt/23.1.10
  6. The SPAR Speech Filing System. European Conference on Speech Technology, Edinburgh., 1987; 1:305-308
  7. 문영일. 올바른 발성, 서울: 청우, 1999
  8. 표화영, 심현섭, 송윤경 외. 한국 성인의 정상 음성에 관한 기본 음성 측정치 연구. 음성과학 2002; 9(2):179-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