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istribution, Ages and Uplift Ratio ofmarine Terraces in SE coast of Korea: Review

동해안 해성단구 분포, 형성시기 및 융기율 검토

  • Kim, Ju-Yong (Quaternary Geology and Environment Team,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mineral Resources) ;
  • Yang, Dong-Yoon (Quaternary Geology and Environment Team,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mineral Resources) ;
  • Kim, Jin-Kwan (Quaternary Geology and Environment Team,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mineral Resources) ;
  • Lee, Jin-Young (Quaternary Geology and Environment Team,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mineral Resources) ;
  • Kim, Jeong-Chan (Quaternary Geology and Environment Team,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mineral Resources) ;
  • Hong, Sei-Sun (Quaternary Geology and Environment Team,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mineral Resources) ;
  • Oh, Keun-Chang (Quaternary Geology and Environment Team,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mineral Resources) ;
  • Choi, Don-Won (Quaternary Geology and Environment Team,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mineral Resources)
  • 김주용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4기지질환경연구팀) ;
  • 양동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4기지질환경연구팀) ;
  • 김진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4기지질환경연구팀) ;
  • 이진영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4기지질환경연구팀) ;
  • 김정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4기지질환경연구팀) ;
  • 홍세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4기지질환경연구팀) ;
  • 오근창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4기지질환경연구팀) ;
  • 최돈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4기지질환경연구팀)
  • Published : 2005.06.30

Abstract

Researches onmarine terrace in Korea have been drastically progressed during the last two decades.main themes of researches include vertical and horizontal distribution of paleo-shoreline, sedimentary facies ofmarine terrace deposits, OSL dating of terrace deposits and estimation of uplift rate. At present, it is noted thatmarine terraces distributed at the same altitude do not always show the same sedimentary facies, nor have the same ages.marine terraces are generally divided into five terrace systems, of which ages increase in ascending order. There are some arguments about discrimination between 2nd and 3rd terrace systems and their age. The core discrepancy lies on the question of whether the level of the last interglacial terrace is on the level of about 20m or on the 30~35m(~40m) in altitude. The uplift rate based on the paleoshoreline distribution ranges between 0.10 and 0.20m/ka.

한반도에서의 해성단구 연구는 1980년대와 1990년대를 거쳐 2000년대에 진입하면서 동해안 전역에 걸친 고해수면 종단 및 횡단 분포도 작성, 해성단구 퇴적상 특성 해석, 해성단구 퇴적물의 OSL 연대 측정 및 융기율 산정 등 여러 부문에 걸쳐 빠르게 발전하여 왔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해성단구 연구자들은 동일 고도에 분포하는 해성단구들이라도 항상 동일한 퇴적상이나 형성연대를 가지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에 유의하고 있다. 해성단구 시스템은 낮은 고도로부터 1, 2, 3, 4, 5 단구시스템으로 구분되고 있으며, 단구시스템의 연대는 낮은 단구에서 높은 단구로 갈수록 일률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준다. 해성단구 연구에 있어서 여전히 문제시되고 있는 것은 제2단구와 제3단구 시스템의 구분 및 이들의 형성시기에 관한 것이다. 논란의 핵심은 약 30~35m(~40m)에 분포하는 해성단구와 약 20m전후의 해성단구중 어느 것이 최종간빙기에 형성되었느냐에 관한 것이다. 동해안 단구분포와 형성시기에 기초한 지반 융기율은 전체적으로 볼 때 약 0.10~0.20m/ka로 추정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