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ternary Geology of the Conjunction Area of the Yeongsan and Sampo rivers

영산강 하류와 삼포강 합류부 일대 제4기 지질 연구

  • Kim, Ju-Yong (Quaternary Geology and Environment Team,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 Yang, Dong-Yoon (Quaternary Geology and Environment Team,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 Hong, Sei-Sun (Quaternary Geology and Environment Team,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 Nahm, Wook-Hyun (Quaternary Geology and Environment Team,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 Lee, Heon-Jong (Depart. of Archaeology, Mokpo National University) ;
  • Lee, Jin-Young (Quaternary Geology and Environment Team,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 Kim, Jin-Kwan (Quaternary Geology and Environment Team,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 Oh, Keun-Chang (Quaternary Geology and Environment Team,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김주용 (지질환경재해연구부 제4기지질환경연구팀) ;
  • 양동윤 (지질환경재해연구부 제4기지질환경연구팀) ;
  • 홍세선 (지질환경재해연구부 제4기지질환경연구팀) ;
  • 남욱현 (지질환경재해연구부 제4기지질환경연구팀) ;
  • 이헌종 (목포대학교 인문사회과학부 고고학과) ;
  • 이진영 (지질환경재해연구부 제4기지질환경연구팀) ;
  • 김진관 (지질환경재해연구부 제4기지질환경연구팀) ;
  • 오근창 (지질환경재해연구부 제4기지질환경연구팀)
  • Published : 2005.06.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tudy the distribution and formation age of Quaternary deposits in the downstream of Yeongsan Estuarine River, encompassing Muan, Illo and Donggang counties. For this purpose the authors examine several borehole data, and step trench survey for excellent profiles was studied in connection with grain size population and magnetic susceptibility. As a result, it is interpreted that the coastal plain of the Yeongsan River was formed by sea level rise after Last Glacial Maximum(LGM). The fore edge/escarpment of coastal terraces distributed 7-10 m asl is assumed to be formed during the last glacial period, while the coastal terraces distributed above 7-10m asl formed during MIS 5a. In addition, the fore edge/escarpment of coastal terraces distributed above 15 m asl is presumed to be have been formed during the stadial of last interglacial period, while the formation age of coastal terraces distributed above 15m(asl) is assumed to be MIS 5e. This formation age can be estimated by the coastal terrace ages of the southeastern coast of Korean Peninsula. The characteristics of Quaternary deposits linked to paleolithic culture will eventually lead to the reconstruction of ecosystem environment of paleolithic peoples.

이 연구의 목적은 영산강 하류 무안, 일로 및 동강 지역일대에 분포하는 제4기 퇴적층의 분포와 형성시기를 고찰하는데 있다. 연구를 위해 영산강 하류와 삼포강 합류부 일대의 기존 시추코아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동강면 장동리 용동부락 일대에 분포하는 제4기 퇴적층의 대표단면에 대한 계단 트랜치 조사를 실시하였다. 대표단면에 대한 계단 트렌치 조사에서는 퇴적층에 대한 지층단면 조사, 입도분석 및 대자율 측정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플라이스토세말 영산강 하류 해안평야의 제4기 퇴적층준의 형성시기와 환경변화를 해석하였다. 연구결과, 영산강 하류 해안지형을 구성하는 퇴적층준은 LGM 이후 해수면 상승에 의하여 형성된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고도 약 7-10m 사이에 분포하는 해면변동성 단구면과 현재 해안평야 사이에 나타나는 단구애는 최종빙기중의 아빙기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고도 약7-10m의 해면변동성 단구면은 최종간빙기 초기, 고도 7-10m 단구면과 약 15m 단구면 사이의 단구애는 최종간빙기내의 아빙기, 그리고 고도 약 15m의 단구면은 최종간빙기(5e)에 각각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해안단구의 분포 특성은 한반도 동남해안에 발달하는 다른 해안단구의 분포 특성과 잘 대비된다. 이 연구는 영산강 하류의 구석기 유적 분포와 관련된 제4기 퇴적층의 분포특성 해석을 통하여 구석기 시대 생태환경 복원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