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화지역 토지이용 및 녹지구조에 따른 온도변화 연구

Analysis of Temperature Profiles by Land Use and Green Structure on Built-up Area

  • 홍석환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이경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
  • 한봉호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 발행 : 2005.12.01

초록

본 연구는 시가화지역 토지이용 및 녹지구조에 따른 온도변화를 파악하고자 강남구 내 시가화지역을 대상으로 44개소 조사지를 블록단위로 선정하여 실시하였다. 온도값은 1999${\~}$2002년까지의 Landsat TM 및 ETM+ 영상 6scene을 적용하였다. 도시온도변화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결과 토지 이용유형은 그 자체로 도시온도변화의 중요 인자로 작용하지는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토양피복유형은 상관관계 분석결과 상관계수가 건폐율이 0.368(2001년 6월)${\~}$0.709(1999년 5월)로 양(+)의 상관관계에 있었으며 녹지율은 -0.551(2001년 6월)${\~}$-0.860(1999년 6월)으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녹지용적(녹지용적계수${\times}$100), 녹피율과 온도값과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녹피율과의 상관계수는 -0.549(2001년 6월)${\~}$-0.817(1999년 6월)의 범위이었으며 녹지용적은 -0.517(2001년 6월)${\~}$-0.882(1999년 6월)로 녹피율과 녹지용적 모두 각 온도값과 강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도시화지역 온도변화 예측모형 구축을 위한 회귀분석 결과 녹지용적이 설명 변수로 채택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selecting 44 places with a block unit subject to urban area in Gangnam-gu, to analyze a temperature change according to land use and green structure. In this study, it was used the broad-wide urban temperature, supported by Landset TM and ETM+ satellite image 6scene(1999${\~}$2002). The result of the research, the land use pattern has slightly influence on a temperature change of urban area. The result from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emperature and the factors affected by land cover type, such as building-to-land ratio(A correlation coefficient is 0.368${\~}$0.709) have positive correlation and green area ratio(a correlation coefficient is -0.551${\~}$-0.860) have negative correlation. The result from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emperature and green capacity of the land, crown projection area ratio, each factor have negative correlation with temperature, as showing that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green capacity of the land is -0.577(June 2006)${\~}$-0.882(June 1999) and crown projection area ratio's is -0.549(June 2001)${\~}$-0.817(June 1999). The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for establishing urban area temperature change prediction model showed that green capacity of the land of the explanation variable was accepted.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운수, 김학열(2001) 서울시 기상특성을 고려한 도시계획 기법연구(II).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20쪽
  2. 박경훈, 정성관(1999) 광역적 녹직계획 수립을 위한 도시열섬효과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2(3): 35-46
  3. 서울특별시(2000a) 서울시 기상특성을 고려한 도시계획 기법연구. 275쪽
  4. 서울특별시(2000b) 서울시 비오톱현황조사 및 생태도시 조성지침 수립. 245쪽
  5. 송영배(2002) 신도시 개발이 도시열섬 현성에 미치는 영향-분당신도시와 판교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0(4): 37-46
  6. 오성남, 부경온(2000) 1999년 서울지역 기온의 시공간 분포특성. 한국기상학회지 36(4): 499-506
  7. 윤용한(2000) 공원에 의한 고온성 저감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18(1): 83-90
  8. 윤용한(2001) 녹지에 의한 열섬현상의 저감효과에 관한 연구-풍속과의 관련성에 관해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36(2): 187-196
  9. 이경재(1993) 환경이 보존되는 범위내의 개발과 이용, 지속 가능한 개발(ESSD)을 위한 학제간 대토론회. 한국환경행정학회.삼성지구환경연구소, 141-153
  10. 이용식(1990) 도시열섬분석에 있어서 원격탐사 기법의 적용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9쪽
  11. 이은엽(1995) 도시녹지의 온도영향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2쪽
  12. 이현영(1985) 서울의 도시기온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4쪽
  13. 이현영, 이승호(1997) 한국의 대규모 간척사업이 주변의 환경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리학회지 32(4): 463-478
  14. 이혜선(2001) 인공위성 영상자료를 이용한 녹지의 도시온도 저감효과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3쪽
  15. 조명희, 이광재, 김운수(2001) 원격탐사자료와 GIS를 활용한 도시 표면온도의 공간적 분포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4(1): 57-66
  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1996) Green Town 개발사업 I (연구개요 및 건축분야). 297쪽
  17. 홍석환, 이경재(2004) 서울 강남지역 아파트단지의 녹지면적에 따른 온도변화 모형.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1): 53-60
  18. 設樂實(1971) 都市砂漢.地理 16(8): 10
  19. Gallo, K. P., D. R. Easterling and T. C. Peterson(1996) The influence of land use/land cover on climatological values of the diurnal temperature range. J. Climate, 9: 2941-2944 https://doi.org/10.1175/1520-0442(1996)009<2941:TIOLUC>2.0.CO;2
  20. Landsberg(1981) The Urban Climate, International Geophysics series 28. Academic Press. NASA(2002) The Landsat-7 Science Data User's Handbook
  21. Lee, H. Y.(1995) Potential effects of land-use change on the local climate. J. Korean Society of Remote Sensing, 11(3): 83-100
  22. Oke, T. R.(1982) The energetic basis of the urban heat island. Quart. J. Royal Meteorol. Soc. 108: 1-24
  23. Oke, T. R.(1987) Boundary layer climates(2ed.), London and New Y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