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지역 범곡리층군에 부존되는 진주암의 산출상태와 생성관계

Occurrence and Cenesis of Perlite from the Beomgockri Group in Janggi Area

  • Noh Jin Hwan (Department of Ge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Hong Jin-Sung (Department of Ge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5.12.01

초록

함수유리질 암석인 진주암은 장기지역의 제3기 마이오세 화성쇄설성 퇴적층인 범곡리층군의 하부에서 산출된다. 진주암은 대개 그 하위의 장기층군과의 부정합면을 따라 단속적으로 분포하고, 시공간적으로 유문데사이트, 부석질 용결응회암과 밀접한 접촉 및 성인적 관계를 보이며 층상으로 산출된다. 이 진주암은 전형적인 진주암과 비교해 반정과 암편을 많이 함유하는 것이 특징이며 화학 조성상 낮은 $SiO_{2}$ 함유 수준($63.2\∼66.4\;wt\%$)을 이룬다. 반면에 함수량에 있어서는 진주암보다는 송지암에 가까운 함유 수준($3.2\∼7.8\;wt.\%$)을 나타낸다. 이 진주암과 그 주변의 화산암류 및 화성쇄설성 암석들 사이의 암석기재학적 특징들을 비교해 본 결과, 부석질 용결응회암과 유문데사이트가 진주암의 원암일 개연성을 지시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진주암과 그 원암들의 희유 및 희토류 원소들의 조성비(Zr/$TiO_{2}$ 대비 Nb/Y)와 야외에서의 산출상태는 이러한 해석을 뒷받침하며, 특히 진주암 내에 남아있는 기공 조직은 화산유리뿐만 아니라 부석 암편도 진주암질 유리의 주요 원물질이었을 것이라는 점을 강하게 지시한다. 이 진주암은 호소 환경에서 형성된 망해산층의 퇴적 단계에서 물과 암석 간에 완만하게 진행된 수화$\cdot$변질 형식의 속성작용에 의해서 생성된 것으로 여겨진다. 진주암화 과정 동안에 $SiO_{2}$와 알칼리는 일률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이 진주암은 속성작용에 의해서 2차적으로 형성되었고 횡적 연장성도 결여되기 때문에, 이 암층에 의거한 기존의 범곡리층군의 층서 체계는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실험을 할 때 생후 2${\~}$3주령이 가장 적합한 시기임을 확인하였다.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되었다.의한 발아촉진 효과는 종피의 탈색과 부식으로 인한 광흡수의 증대에서 기인되는 것으로 추측된다.3월 8일과 3월 15일 피복처리구의 그린업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한국잔디 및 한지형 잔디의 비닐 피복으로 인한 초봄 그린업 촉진시 유의할 점은 충분한 수분 유지를 위해 비닐 피복전에 관수를 하거나 비온 후에 비닐 피복하는 것이 좋으며, 비닐 제거시 잔디의 일소현상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흐린날 비닐을 제거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되었다.유발식이 급여로 $524\%$가 증가된 동맥경화지수는 질경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병합투여로 대조군에 비하여 $40.2\%,\;51.2\%$가 감소됨으로써 동맥경화 발병 위험율이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되었다. HDL-콜레스테롤 함량/총콜레스테롤 함량 비는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발 식이 급여로 정상군보다 $73.9\%$가 감소됐으나 질경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병합투여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 26두가 발정 반응($96.3\%$)을 나타내어 2.75${\~}$3.5의 경우가 2.50 이하의 경우에 비하여 높은 발정반응을 나타내었다.osterone과 0.40의 정의 상관이었고 근내지방도와 creatinine 농도간에는 -0.55의 비교적 높은 음의 상관계수가 추정되었으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6. 한우 비거세우의 도살시 혈청 성분 농도와 도체형질과의 상관에서 육량지수는 연령에 대해 보정한 HDLC 농도와 -0.71의 음의 상관이었으며, 도체율은 globulin과 0.70의 높은 정의 상관이었고,

Perlite, a hydrated volcanic glass, occurs mainly as a bed-like body, and is distributed intermittently along the unconformity surface between the Beomgockri Group and its lower formations, viz. Janggi Group. The perlite is intimately associated with surrounding pumiceous welded tuff and rhyodacites in space and time. Compared to the typical perlite, the perlite is rather silica-poor and impure, and thus, includes lots of phenocrysts and rock fragments. Nearly the perlite is compositionally rather close to a pitchstone than a perlite in water contents. Petrographic comparison between perlite and associated volcanic to volcaniclastic rocks indicates that pumiceous welded tuff and rhyodacite seem to be Protolith of the Perlite. A Zr/$TiO_{2}$-Nb/Y diagram and field occurrence of perlite and their protolithic rocks also conforms the above interpretation. Kn addition, remnant vesicles in perlite strongly reflect that the precursor of perlitic glass appeared to be pumice fragment as well as volcanic glass. The perlite was diagenetically formed by way of a pervasive water-rock interaction at the deposition of the Manghaesan Formation in lacustrine environment. During perlitization, $SiO_{2}$ and alkali tend to be consistently depleted. Preexisting system of the Beomgockri Group based on the perlite formation should be corrected, because the perlite was formed diagenetically without lateral persistence in its occurrence.

키워드

참고문헌

  1. 노진환 (1989) 장기 지역 제 3기층의 불석화 작용. 지질학회지, 25, 30-43
  2. 노진환 (2002) 국내산 벤토나이트의 광물학적 및 암석화학적 특징과 그 성인적 의미. 지질학회지, 38, 3, 441-455
  3. 이현구, 문희수, 민경덕, 김인수, 윤혜수, 板徹丸 (1992) 포항 및 장기분지에 대한 고지자기, 층서 및 구조연구: 화산암류의 K-Ar연대. 광산지질, 25, 337-349
  4. 진명식, 김성재, 신성천 (1988) K-Ar 및 휫션트랙법에 의한 포항-감포일대 화산암류의 암석연령 측정연구. 한국동력자원연구소, 연구보고서, KR-87-27, 51-88
  5. Brees, R.O.Y. and Barker, J.M. (1994) Industrial Minerals and Rocks 6th Edition: Perlite. Society for Mining, Metallurgy, and Exploration Inc., 735-749
  6. Chang, L.L.Y. (2002) Industrial mineralogy: Perlite and pumice. Prentice Hall, Inc., 272-281
  7. Cox, K.G., Bell, J.O. and Pankhurst, R.J. (1979) The Interpretation of Igneous Rocks. Allen & Unwin, London, 450p
  8. Dibble, W.E. and Tiller, W.A. (1981) Kinetic model of zeolite paragenesis in tuffaceous sediments. Clays and Clay Minerals, 29, 323-330 https://doi.org/10.1346/CCMN.1981.0290502
  9. Epel'baum, M.B. and Salova, T.P. (1987) Experimental study of volcanic glasses: Water specification, Application to perlite genesis and vesiculation.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Natural Glasses, Charles University, Prague, 73-80
  10. Fisher, R.V. and Schmincke, H.U. (1984) Pyroclastic Rocks. Springer-Verlag, Berlin, 327p
  11. Friedman, I. and Smith, R.L. (1958) The deuterium content of water in some volcanic glasses. Geochimica et Cosmochinica Acta, 15, 218-228 https://doi.org/10.1016/0016-7037(58)90059-0
  12. Friedman, I., Smith, R.L. and Long, W.O. (1966) Hydration of natural glass and formation of perlite.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ulletin, 77, 323-328 https://doi.org/10.1130/0016-7606(1966)77[323:HONGAF]2.0.CO;2
  13. Harben, P.W. and Kuzvart, M. (1996) Global Geology: Perlite. BPC Wheatons Ltd, 280-287
  14. Jezek, P.A. and Noble, D.C. (1978) Natural hydration and ion exchange of obsidian: and electron microprobe study. American Mineralogist, 63, 266-273
  15. Koukouzas, N.K. Dunham, A.C. and Scott, P.W. (2000) Suitability of Greek perlite for industrial applications. Trans. Instn Min. Metall., 109, B 105-111
  16. Noh, J.H. (1985) Mineralogy and Genesis of Zeolites and Smectites from the Tertiary Tuffaceous rocks in Yeongil area. Ph.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129p
  17. Noh, J.H. and Boles, J.R. (1989) Diagenetic alteration of perlite in the Guryongpo are. Republic of Korea. Clays and Clay Minerals, 37, 47-58 https://doi.org/10.1346/CCMN.1989.0370106
  18. Ross, C.S. and Smith, R.L. (1955) Water and other volatiles in volcanic glasses. American Mineralogist, 40, 1071-1089
  19. Rotella, M. and Simandl, G. (2003) Geological fieldwork 2002: Marilla perlite-volcanic glass occurrence. British Columbia, British Columbia Geological Survey, 165-173
  20. Shackley, D. and Allen, M.J. (1992) Mineral Industry International: Perlite and the Perlite Industry. Institution of Mining and Metallurgy, 1008, 13-22
  21. Tateiwa, I. (1924) Geological atlas of Chosen, Ennish and Choyo Sheets. Geological Map Korea, 2, 42p
  22. Winchester, J.A., and Floyd, P.A. (1977) Geochemical discrimination of different magma series and their differentiation products using immobile elements. Chemical Geology, 20, 325-343 https://doi.org/10.1016/0009-2541(77)90057-2
  23. Won, C.K., Noh, J.H. and Lee, M.W. (1987) Formation and alteration of perlite in Guryongpo area. Journal Geological Society Korea, 23, 381-390
  24. Wondraczek, L., Gross, G.-P., Heide, G., Kloess, G. and Frischat, G.H. (2003) Abbe numbers and refractive indices of tektites and volcanic glasses. Journal of Non-Crystalline Solids, 323, 127-130 https://doi.org/10.1016/S0022-3093(03)0028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