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동맥의 내막, 중막, 내중막 두께 분리측정 및 임상적 중요성

Measurements of Carotid Intima, Media, and Intima-media Thickness and Their Clinical Importance

  • 김원식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생활계측그룹) ;
  • 정환택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생활계측그룹) ;
  • 노기용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생활계측그룹) ;
  • 배장호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심장병원 심장내과학교실)
  • Kim Wuon-Shik (Human Life Measurement Group, Korea Research Institute of Standards and Science) ;
  • Jeong Hwan-Taek (Human Life Measurement Group, Korea Research Institute of Standards and Science) ;
  • No Ki-Yong (Human Life Measurement Group, Korea Research Institute of Standards and Science) ;
  • Bae Jang-Ho (Division of Cardiology. Heart Center, College of Medicine, Konyang University)
  • 발행 : 2005.12.01

초록

경동맥 내중막 두께의 심각한 정도는 일과성 뇌 허혈, 중풍, 그리고 심근경색과 같은 관상동맥질환의 원인 질환이 되는 죽상동맥경화에 대한 독립적 예측인자이다 경동맥 내중막 두께는 내막두께와 중막두께로 구성되어 있지만, 내막과 중막 각각의 임상적 중요성에 대하여는 연구가 잘 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죽상동맥경화증을 진단하기 위하여 B-mode 초음파 영상처리기술을 이용하여 내막, 중막, 그리고 내중막 두께를 측정하는 방법을 고안하였다. 내막, 중막, 내중막 두께의 임상적 중요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144명(평균연령: 57세, 남성: 7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고해상도 초음파를 이용하여 총경동맥의 영상을 스캐닝 하였다. 그 결과, 죽상동맥경화성 질환이 있는 집단이 없는 집단에 비하여 내중막(p<0.01) 두께뿐만 아니라 내막(p<0.05) 및 중막(p<0.05)의 두께도 모두 유의하게 더 두꺼운 것으로 나타났다. 위험인자 중 고혈압이 있는 집단은 없는 집단에 비해 내막(p<0.01), 중막(p<0.001) 및 내중막(p<0.001) 두께 모두가 유의하게 더 두꺼웠고, 흡연을 하는 집단은 하지 않는 집단에 비해 내막의 두께만 유의하게 더 두꺼웠다(p<0.01). 내막(r=0.374, p=0.001), 중막(r=0.433, p=0.000) 및 내중막(r=0.479, p=0.000) 두께는 연령과 정적 상관관계(positive correlation)를 보였다. 두께들간의 공유설명량 ($r^2$) 평가결과는 내중막두께와 중막두께가 $92.4\%$, 내중막두께와 내막두께는 $49.1\%$, 그리고 내막두께와 중막두께는 $27.4\%$이었다. 이 결과는 경동맥의 내막과 중막은 서로 다른 생리현상을 갖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severity of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IMT) is an Independent predictor of atherosclerosis which causes transient cerebral ischemia, stroke, and coronary events such as myocardial Infarction. The IMT consists of Intima thickness (IT) and media thickness (MT). However, the Individual clinical significance of IT and MT has not been well studied. We devised a method of measuring IT, MT, and IMT using B-mode ultrasound Image processing technique for the diagnosis of atherosclerosis. To inspect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IT, MT, and IMT, one hundred forty-four consecutive patients (mean age; 57 years old, 72 males) were underwent common carotid artery scanning using high-resolution ultrasound. Results showed that, the IT (p<0.05), MT (p<0.05) as well as IMT (p<0.01) of patients with atherosclerotic disease were significantly thicker than that of the patients without atherosclerotic disease. Patients with hyperiension showed significantly thicker IT (p<0.01), MT (p<0.001), and IMT (p<0.001). However, only IT was thicker in patients with smoking (p<0.01). The IT (r=0.374, p=0.001), MT (r=0.433, p=0.000), and IMT (r=0.479, p=0.000)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age. The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 ($r^2$) were estimated to be $92.4\%$ for IMT and MT, $49.1\%$ for IMT and IT, and $27.4\%$ for IT and MT.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Intima layer of the carotid artery has a different physiology with the media layer.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