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ationship between Family Function and Hope in Adolescents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기능과 희망과의 관계

  • 우선혜 (경상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
  • 노지영 (삼현여자고등학교 보건교사) ;
  • 박영숙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교수)
  • Published : 2005.06.01

Abstract

Purpose: This study is a descriptive correlation survey with the purpose of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unction and hope in adolescents. It was done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family centered nursing strategies to promote adolescents' hope.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30 high school students in J city.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0.0 program. Frequencies and percentages were used to compare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Minimum values, maximum values, mean scores and mean grades were used to identify the level of family function and hop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unction and hope in adolescents, and t-test, ANOVA, and Scheffe test were used to examine the level of family function and hope by general characteristics. Results: 1. The level of adolescents' family function ranged from 26 to 97, the mean score was 66.85$\pm$13.16, and the mean grade was 2.76$\pm$0.52. 2. The level of adolescents' hope ranged from 55 to 153, the mean score was 111.48$\pm$17.64 and the mean grade was 2.78$\pm$0.44. 3. It show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r=0.546, p=.000) between adolescents' family function and hope. That is, the better family function adolescents have, the higher level of hope they have. 4. Adolescents' family func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chool record (F=6.363, p=.002), school life satisfaction (F=4.922, p=.007), father's education (F=2.640, p=.048), mother's education (F=3.586, p=.013) and domestic economy status(F=3.022, p=.049). 5. Adolescents' hop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religion (t=2.018, p=.044), school type (t=2.567, p=.010), school record (F=9.712, p=.000), school life satisfaction (F=11.367, p=.000), father's education (F=4.632, p=.003), mother's education (F=4.709, p=.003), domestic economy status (F=4.235, p=.015), relationship with friends (F=8.187, p=.000), and subjective health condition (F=5.490, p=.001). Conclusion: First, in order to improve adolescents' family function, which encourages hope in adolesc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s and to make further studies.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instruments for improving Korean adolescents' family function and hope. Third,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improve adolescents' family function and hope in special situations such as disease, drug abuse and juvenile delinquent.

Keywords

References

  1. 김숙희 (2000).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희망과의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정남, 박영숙 (1999). 양호교사와 일반교사의 영적 안녕, 희망 및 지각된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산업간호학회지, 8(1). 92-102
  3. 김현미, 최연희 (2002) 실직노숙자의 자아존중감, 우울 및 희망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간호학지, 13(1), 171-181
  4. 김현실 (2001). 청소년의 가정 역동적 환경, 성격 및 흡연이 비행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간호학회지, 31(4),641-655
  5. 나철 (1984). 청소년의 가정환경과 문제행동 유형간 의 관계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성미순, 김정남 (1999). 노인의 영적 안녕, 희망 및 지각된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0(1), 53-69
  7. 송미영 (2002). 청소년의 가정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윤재연 (2001). 중년기 여성의 삶의 질과 희망, 건강 추구행위와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이강선 (1999). 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기능과 학교 생활 적응.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이경호 (1999). 물질남용청소년과 정상청소년의 가족의사소통 및 가족기능 비교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이나연 (1995). 비행 및 약물남용 청소년의 가족기능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이미자 (1992). 혈액투석 환자가 지각한 가족지지와 희망과의 관계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3. 이종은, 박선남, 박호란 (2001-a) 일도시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학업성취수준, 가족기능이 희망에 미치는 영향. 아동간호학회지, 7(1). 74-84
  14. 이종은, 박선남, 양수 (2001-b). 고등학교 1.2학년 남학생이 지각한 가족기능과 학업성취수준 및 성취불안과의 관계. 정신간호학회지, 10(2). 192-201
  15. 임현자 (1992). 암환자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희망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장재송 (1991). 고등학생의 입시스트레스와 가족기능간의 관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정수경 (1993). 정신분열증 환자의 질병기간에 따른 가족기능 효과성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조종현 (1984). 고교생의 학교생활 적응 문제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주경옥 (2001). 역기능 가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일탈행동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최상순 (1991). 일지역 성인의 영적 안녕, 희망 및 건강상태에 관한 관계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최외자 (2002). 척수손상환자의 가족지지, 희망 및 사회심리적 적응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태영숙 (1996). 암환자의 희망과 삶의 질과의 관계연구. 성인간호학회지, 8(1), 80-92
  23. 한유선 (1996). 청소년의 주변환경에 따른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가정환경 및 학교환경 변인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홍강의 (1987). 청소년 정신과 입원환자의 가족역동. 서울의대정신의학, 12(1). 23-40
  25. 홍정아 (2001). 정신질환자 희망의 영향 요인 분석.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Emery, E. M., Mcdermott, R. J., Holcomb, D. R., & Marty, P. J. (1993). The relationship youth substance use and area-specific self-esteem. Journal of School health, 63(5), 224-228 https://doi.org/10.1111/j.1746-1561.1993.tb06126.x
  27. Herth, K. & Cutcliffe, J. R. (2002). The concept of hope in nursing 6; research/ education/ policy/ practice. British Journal of Nursing. 11 (21), 1404-1411 https://doi.org/10.12968/bjon.2002.11.21.12277
  28. Hinds, P. S. (1988). Adolescent hopefulness in illness and health. Advanced in Nursing science. 10(3), 79-88 https://doi.org/10.1097/00012272-198804000-00009
  29. McGee, R. F. (1984), Hope: a factor influencing crisis resolution. Advances in Nursing Science, 6,34-44
  30. Miller, J. F. & Powers, M. J. (1988).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hope, Nursing Research, 37(1): 6-10
  31. Raleigh, E. (1992). Sources of hope in chronic illness. Oncology Nursing Forum, 19(3), 443-4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