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도 여귀산 상록활엽수림의 군집구조

Community Structures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of Mt. Yeogwi in Jin-do Island

  • 장정재 (순천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자원학과) ;
  • 김준선 (순천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자원학과)
  • Jang, Jeong Jae (Dept. Forest Resources, Sunchon National University) ;
  • Kim, Joon Sun (Dept. Forest Resources, Sunchon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05.08.08
  • 심사 : 2005.10.07
  • 발행 : 2005.12.31

초록

상록활엽수림의 지속적 보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전남 진도의 여귀산에서 상록활엽수림을 대상으로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상록수종에 대하여 흉고직경분포와 개체군분포상황을 파악하였으며, 수종의 중요치를 사용하여 cluster 분석에 의하여 군집을 분류하였다. 군집별로 종다양도, 균재도, 종상관 등을 산출하였으며, CCA분석에 의하여 군집과 토양환경인자간의 연관관계를 파악하였다. Cluster 분석에 의하면 여귀산의 상록활엽수림은 동백나무군집군과 붉가시나무군집군으로 분류되었다. 이는 다시 동백나무-상록활엽수군집, 동백나무-참식나무군집, 동백나무-낙엽활엽수군집, 붉가시나무-동백나무군집, 붉가시나무군집의 5개 군집으로 세분되었다. 상록활엽수 수종 중에서는 동백나무, 붉가시나무, 참식나무, 후박나무, 붓순나무, 광나무 등이 우점종으로 나타났고, 낙엽활엽수 수종 중에서는 때죽나무, 비목나무, 산딸나무, 산벚나무, 자귀나무, 상수리나무 등이 생육하고 있었다. 각 군집의 종다양도는 붉가시나무-동백나무군집이 종다양도가 0.823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붉가시나무군집(0.8135), 동백나무-낙엽활엽수군집(0.7931), 동백나무-상록활엽수군집(0.7674), 동백나무-참식나무군집(0.6164) 순이었다. 여귀산의 주요 상록수종은 2 cm~10 cm의 직경급이 전체의 약 8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DBH 5 cm 이하의 동백나무가 전 지역에 걸쳐 괴상으로 분포하고 DBH가 증가함에 따라 임의분포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DBH 15 cm 이상에서는 붉가시나무가 참식나무, 후박나무 등에 비해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동백나무와 붉가시나무, 붓순나무, 산딸나무 사이에는 유의적인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참식나무와는 유의적인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붉가시나무는 참식나무, 후박나무와는 유의적인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붓순나무와는 유의적인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참식나무는 산딸나무와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조사지의 토양 pH는 4.04~5.16이었고, 유기물함량은 3.15~9.21%, 유효인산함량은16.1~37.1 ppm, 양이온치환용량은 7.6~11.5 me/100 g이었다. CCA분석에 의하여 5개 군집 및 주요 수종의 분포를 살펴본 결과 토양유기물함량과 양이온치환용량이 높고 토양 산도가 낮아질수록 동백나무가 우점종으로 생육하면서 점차 참식나무, 붉가시나무의 혼효군집으로 발달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Community structure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of Mt. Yeogwi in Jin-do was investigated to secure sustainable conservation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Twenty survey plots of $20m{\times}20m$ were established along the elevation from 200 m to 390 m above the sea level in the northwestern slope. The woody species were tallied at each plots. DBH distribution of the major evergreen broad-leaved trees was investigated to find out the spatial distribution. Cluster analysis was applied to a set of vegetation data, that is, importance value to classify the forest community. Species diversity, evenness and species correlation were analysed.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was also applied to vegetation data and soil environmental data. Cluster analysis showed that the forests of Mt. Yeogwi were classified into 2 community groups, such as Camellia japonica community group and Quercus acuta community group. C japonica community group was subdivided into C japonica- evergreen broad-leaved trees community, C. japonica-Neolitsea sericea community, and C. japonica-deciduous broad-leaved trees community. Q. acuta community group was subdivided into Q. acuta-C. japonica community, and Q. acuta community. C. japonica, Q. acuta, N. sericea, Machilus thunbergii and Illicium religiosum were dominant evergreen broad-leaved tree species, while Styrax japonica, Lindera erythrocarpa, Cornus kousa, Prunus sargentii, Albizzia julibrisin and Quercus acutissima were major deciduous tree species. Species diversity was greater in Q. acuta community group (0.8231 for Q. acuta-C. japonica community, and 0.8135 for Q. acuta community) than in C. japonica community group (0.7674 for C. japonica-evergreen broad-leaved trees community, 0.6164 for C. japonica-N. sericea community, and 0.7931 for C. japonica-deciduous broad-leaved trees community). DBH 2 cm~10 cm of major evergreen broad-leaved trees occupied 80% of all. C. japonica of less than DBH 5 cm tended to aggregate but distribute randomly or regularly with increasing DBH. Q. acuta distributed more aggregately than C. japonica and Machilus thunbergii for more than 15 cm of DBH. C. japonica correlated negatively with Q. acuta, I. religiosum and C. kousa, but positively with N. sericea. with significance at 1% level. Q. acuta correlated negatively with C. japonica, N. sericea and M. thunbergii but positively with l. religiosum. There were also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N. sericea and C. kousa. CCA showed that forest communities were correlated with soil variables such as CEC, soil organic matter and soil pH. With increased soil organic matter and CEC, and decreased soil pH, C. japonica was dominant and forest community and Q. acuta and N. sericea tended to develop in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진택. 2001. GIS를 이용한 주요 난대 수종의 적지판단 및 Mapping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109
  2. 김상오, 진상철, 오찬진. 2002. 완도 난대림수목원 지역 붉가시나무림의 삼림군락구조. 한국임학회지 91(6): 781-792
  3. 김종영, 이정석, 오광인, 장석기, 박진홍. 2000. 보갈도 붉가시나무림의 군락생태학적 연구. 한국임학회지 89(5): 618-629
  4. 김종홍. 1988. 한반도 상록활엽수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115
  5. 김종홍. 1994. 한반도 상록활엽수 보존실태와 대책. 자연보존 87: 1-6
  6. 김종홍, 박문수. 1988. 진도군의 식물목록, 순천대학논문집 7: 261-302
  7. 김종홍, 박문수, 이호준, 김영문. 1991. 금오열도의 식물상과 식생에 관한 연구. 순천대 기초과학연구지 2: 57-116
  8. 김지홍, 권기현. 1991. 천연활엽수림에서의 수종간 상관관계와 공변이관계의 분석. 한국임학회지 80(4): 360-368
  9. 김철수. 1984. 흑산군도의 식물상(I)-대흑산도를 중심으로-. 연안생물연구 1(1): 67-91
  10. 김철수. 1986. 홍도의 식물상과 식생에 관한 연구. 연안 생물연구 3(1): 1-36
  11. 김철수, 박연우. 1988. 소흑산도의 식생에 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연안생물연구 5(1): 1-41
  12. 김철수, 박연우, 中越信化. 1989. 보길도의 식물상과 식생에 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연안생물연구 6(1): 65-95
  13. 김철수, 오장근. 1990. 다도해 해상국립공원의 상록활엽수림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조도군도의 식생을 중심으로-. 한국생태학회지 13(3): 181-190
  14. 김철수, 오장근. 1991. 해남반도의 상록수림의 종구성과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학회 14(3): 243-255
  15. 김철수, 오장근. 1992.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 상록활엽수림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V) -소안도와 청산도를 중심으로-. 연안환경연구 9(1): 1-42
  16. 배행근, 박문수. 2001. 완도 백운봉 상록활엽수림의 산림군락구조 연구. 한국임학회지 90(6): 756-766
  17. 신현철, 박남창, 송호경, 최재채, 정영교, 권영한, 이광수, 김영걸. 2002. 후박나무림의 식생구조와 식생과 환경과의 상관관계 분석. 한국임학회지 91(6): 765-774
  18. 오구균, 김용식. 1996. 난대기후대의 상록활엽수림 복원 모형(I) -식생구조-. 환경생태학회지 10(1): 87-102
  19. 오구균, 김보현. 1998. 난대 기후대의 상록활엽수림 복원 모니터링 (I). 환경 생태학회지 12(3): 279-289
  20. 오구균, 조우. 1994. 홍도 상록활엽수림 지역의 식물군집구조. 응용생태연구 8(1): 27-42
  21. 오구균, 조우. 1996. 진도 첨찰산 상록활엽수림의 식생 구조. 환경생태학회지 10(1): 66-75
  22. 이일구, 이호준, 차영일, 김인택. 1982. 수개 도서지방의 상록활엽수의 분포와 그의 보존상태에 관하여. 자연보존 연구보고서 4: 115-136
  23. 임양재, 이우철. 1976. 주도와 까막섬의 식생. 한국식물학회지 19(2): 49-61
  24. 윤종화, 한상섭, 김지홍. 1987. 원시림의 환경과 구조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임과대학 연습림연구보고 7: 3-26
  25. Curtis, J. T. and R. P. McIntosh. 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 forest boa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476-496 https://doi.org/10.2307/1931725
  26. M. Lloyd. 1967. Mean crowding. Journal of Animal Ecology 36: 1-30 https://doi.org/10.2307/3012
  27. Whittaker, R. H. 1967. Gradient analysis of vegetation Bio. Rev. 42: 207-264 https://doi.org/10.1111/j.1469-185X.1967.tb01419.x
  28. World Conservation Monitoring Centre. 1992. Global Biodiversity : Status of the earth's living resources. Chapman & Hall p.5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