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Cognitive-Behavioral Therapy on Problem-Solving Ability and Dysfunctional Attitude in Undergraduate Students

인지행동요법과 현실요법이 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과 역기능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 현미열 (제주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 Published : 2005.12.01

Abstract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ognitive-behavioral therapy on problem-solving ability and dysfunctional attitudes in undergraduate students.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between September 2004 and May 2005. The subjects consisted of 23 undergraduate students. The experimental group (n=13) participated in a cognitive-behavioral therapy that consist of 8 session over an 8-week period. The control group (n=10) participated in a reality therapy that also consisted of 8 sessions over an 8-week period. Problem-solving ability and dysfunctional attitudes were measured for all subjects before and after therapy. These data were analyzed by unpaired t-test and t-test with the SAS program. Results: Following cognitive-behavioral therapy, the experimental group experienced a significant decrease in score of problem-solving ability and in approach-avoidance style (the subscale in the problem-solving ability). There were no changes in these values after the reality therapy in control group. Conclusions: In light of these results, cognitive-behavioral therapy has a positive effect on problem-solving ability in undergraduate students.

Keywords

References

  1. 권석만(1994). 한국판 역기능적 태도척도의 신뢰도, 타당도 및 요인구조. 심리과학, 3(1), 100-109
  2. 김소정(1999). 낮병원 정신질환자에 대한 인지행동 집단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 김승미(2004). 현실요법이 정신질환 입원환자의 내적 통제성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인자(1995). 현대상담.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5. 김정애(2002).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 수용, 문제해결능력 및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건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6. 김화자(1998). 대학생의 자아정체감 수준에 따른 역기능적 가족구조와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차이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7. 김현아(1995). 강릉지역 학령기 아동의 비만 실태 및 그 치료를 위한 연구. 강릉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8. 김희경(1998). 적응장애 병사들의 인지행동 치료 효과.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9. 백영희(1999). 학대받는 아내들의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위한 집단프로그램의 효과성. 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오세란(1996). 발달장애 아동 부모의 문제해결능력 증진을 위한 인지행동 집단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1. 오익수(2001). 대인관계 문제해결에 대한 심리적 결정요인들간의 인과적 관계. 전남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2. 유정수(1993). 문제해결 훈련 프로그램의 모형개발과 그 효과. 전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3. 이성자(2003). 인지-행동적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비만 여중생의 신체상, 자아존중감, 역기능적 태도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4. 이윤영(1998). 비만청소년의 성격 특성 및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이정림(2001). 현실요법 집단상담이 고등학생의 대인간 갈등해결 방식과 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임지연(2001). 역기능적 신념 및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와 사회적 자기 효능감이 발표 불안에 미치는 효과.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7. 전석균(1994). 정신분열증 환자의 재활을 위한 사회 기술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 최이숙(2003). 청소년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자아 개념, 심리사회적 성숙도와 관계. 전주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차명호(1991). 문제해결훈련이 문제해결에 대한 자기 평가와 문제해결 행동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 탁정미(2004). 대학생을 위한 해결중심 단기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전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1. Barnett, P. A., Gotib, I. H.(1990). Cognitive vulnerability to depressive symptoms among men and women.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4, 47-61 https://doi.org/10.1007/BF01173524
  22. Beck, A. T.(1976). Cognitive therapy and the emotional disorders. New York : International University Press
  23. Beck, A. T., Emery, G. & Greenberg, R. L.(1985). Anxiety disorder and phobias : A cognitive perspective. New York : Basic Books
  24. D'Zurilla, T. J. & Goldfried, M. R.(1971). Problem solving and behavior modification. J of Abnor Psychology, 78, 107-126 https://doi.org/10.1037/h0031360
  25. D'Zurilla, T. J.(1986). Problem-solving therapy : A social competence approach to clinical intervention. New York :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6. Ellis, A.(1955). New approaches to psychotherapy technique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Monograph Supp, 11, 1-53
  27. Glasser, W.(1965). Reality Therapy : a new approach to psychiatry for practical action. New York : Harper
  28. Jahoda, M.(1958). Current concepts of positive mental health. New York : Basic Books
  29. Heppner, P. P.(1978). A review of problem-solving literature and its relationship to the counseling process. J of Counseling process. J of Counseling Psychology, 25 (5), 366-375 https://doi.org/10.1037/0022-0167.25.5.366
  30. Heppner, P. P. & Peterson, C.H.(1982). The development and implication of a personal problem-solving inventory. J of Counseling Psychology, 30(4), 537-540
  31. Heppner, P. P. & Reeder, B.L.(1983). Cognitive variables associated with personal problem solving appraisal : Implication for counseling. J of Counseling Psychology, 31(4), 537-545
  32. Heppner, P. P. & Krauskopf, C. J.(1987). An information-processing approach to personal problem solving. The Counseling Psychology, 15 (3), 371-447 https://doi.org/10.1177/0011000087153001
  33. Kuiper, N. A., Olinger, L.J. & Martin, R.A.(1988). Dysfuncyional attitudes, stress and negative emotion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2, 533-547 https://doi.org/10.1007/BF01205008
  34. Nezu, A.(1986). Negative life stress and anxiety Problem-solving as a moderate variable. Psychological Reports, 58, 279-283 https://doi.org/10.2466/pr0.1986.58.1.279
  35. Priester & Clum(1993). Perceived problem-solving ability as a predictor of depression, hopelessness, and suicide ideation in a college population. J. of Counseling Psychology, 40, 84-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