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Cultivation of the Fundamental' of the Xing-Li-Xue(性理學) as Aim of Child Education

성리학의 아동교육 목적으로서 근본배양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04.10.31
  • Accepted : 2004.12.23
  • Published : 2005.02.28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eaning, the method of "Cultivation of the fundamental" as aim of child education in context of the Xing-Li-Xue(性理學) educational theory. Chu-hsi understood the meaning of "Cultivation of the fundamental" as Ching(敬, the cultivation of good nature in human mind). The method of "Cultivation of the fundamental" consists of quiet sitting(정좌), attention(주의집중), moral environment(도덕적 환경) and practicing propriety(예의 실습). Through quiet sitting and attention, learners may reach a condition of mind which is free of their selfish desires and in which they can find out their original nature. The education in Confucianism accepts the environment as a significant element in forming human personality. Making moral environment has leaners to take good value with ease. Characteristic of study in Xing-Li-Xue is to emphasize to observe concrete clauses of propriety. The reason why Xing-Li-Xue emphasizes propriety is that Mind Study may be maintained through Body Study. In conclusion, the "Cultivation of the fundamental" in the Xing-Li-Xue is to form the power to regulate selfish desires and thus behave more moderately. Along these points, not only quiet sitting which relexes the body and soul, but also song and dance are not considered as contrary to Xing-Li-Xue educational theory. The various ways of "Cultivation of the fundamental" of Xing-Li-Xue educational theory make people recognize, understand and experience good innate nature of human beings. And we can reach the conclusion that education of Xing-Li-Xue uses so many methods that learner can accept moral value as naturally as possible.

Keywords

References

  1. 小學集註 成百曉(譯)
  2. 朱子語類 黎靖德(編);王星賢(點校)
  3. 주희어류 1,2 허탁(외)(譯)
  4. 주희어류 3,4 허탁(외)(譯)
  5. 국역 퇴계집 민족문화추진회
  6. 국역 율곡집 민족문화추진회
  7. 新書讀本 賈誼;饒東原(譯);黃沛榮
  8. 근사록집해 주희;여조겸(編);엽채(집해);이광호(譯)
  9. 心經附註 成百曉(譯)
  10. 大學簒硫中庸簒硫 朱喜;趙順孫 簒硫;黃坤 整理
  11. 아동학회지 v.22 no.4 유교 심성론에 근거한 체화방법이 유아의 기본생활 습관 및 자율성에 미치는 효과 강혜원;유권종;박충식
  12. 몸짓을 알면 대화가 즐겁다 고든 R 웨인라이트;조은경(譯)
  13. 유교의 예와 미시적 권력관계 : 소학과 주가례를 중심으로;유교의 예와 현대적 해석 김동노;한국정신문화연구원(編)
  14. 敬과 注意 金聖泰
  15. 정좌수행의 이론과 실제 南懷瑾;최일범(譯)
  16. 전통사회의 아동교육 류점숙
  17. 아동학회지 v.21 no.1 소학에 나타난 아동교육론 문미옥;류칠선
  18. 한국 전통문화와 유아교육 문미옥;이혜상;민행난
  19. 주자와 기 그리고 몸 미우라 구니오;이승연(譯)
  20. 몸공부에 관한 교육학적 단상 모음, 처음처럼, 39/40 송순재
  21. [小學]의 실천교육원리와 현대적 의의 신동은
  22. 敎育哲學 v.31 [소학]의 교육적 원리 연구 신동은
  23. 敎育哲學 v.32 성리학의 몸공부 이해 신동은
  24. 어린이의 인간학 와다 슈우지;박선영(譯);노명희(譯)
  25. 21세기 바람직한 유아교육에 대한 한국유아교육학회의 입장 양옥승(외)
  26. 한국 전통사회의 유아교육 유안진
  27. 氣 修行 身體 유아사 야스오;박희준(譯)
  28. 주자의 선불교 비판 연구 윤영해
  29. 말의 힘 李奎浩
  30. 성학십도 이황(李愰);이광호(譯)
  31. 눈빛.낯빛.몸짓.;감정의 철학 이승환;정대현(외)
  32. 선생님, 우리도 명상할 수 있어요 임재택(외)
  33. 현상학과 교육학 조상식
  34. 경험과 교육 존 듀이;박철홍(譯)
  35. 敎育史學硏究 v.8 [子夏之門人小子章]에 비추어 본 朱子의 小學敎育論 최광만
  36. 敎育史學硏究 v.9 儒學敎育에서의 [小學]의 위상 최광만
  37. 유아교육연구 v.20 no.2 율곡의 인성론과 아동교육관 연구 최양미
  38. 한국 전통 아동교육사상 안경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