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Qualitative Study on the Housework Space Viewed from Housewives and Husbands in Dual-Earner Families

맞벌이 가정의 부부와 남편을 통해 본 가사공간 연구

  • Jang Sang-Ock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5.12.01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housework space viewed from housewives and husband in dual-earner families. For this study, depth-interview method were used to collects the data. The depth-interview were conducted on the eight heusewives and two husbands in dual-earner families in Jinju and Gwangju in April 2005. The narratives were then analyzed to discover the demands of the kitchen and laundry room.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1) Dual-earner families want the kitchen design is they can share housework with their spouses, such as kitchen facing the front side of the floor plan and island counter. In addition, they want spacious, adjustable(flexible), visible storage to enable the housewives to work with their spouse efficiently. Space for Kimchi refrigerator should be considered in the kitchen. 2) They want the noise-free laundry because the interviewers did their laundry work in the night time. Also, they want a multi-purpose laundry mm where machine washing, hand washing, drying and ironing can be done. In addition, for hand-washing wives and husbands, specific space and facilities where they can hand washing on stand posture were needed.

Keywords

References

  1. 김대년 . 신혜경 . 이경희 . 최재순 . 홍형옥 편역(1995). 여성의 삶과 공간환경. 한울아카데미
  2. 김미희 . 문희정(2001). 식당겸부엌 전면배치형 아파트의 공간이용행태의 관한 조사연구-후면배치형과의 비교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7(8), 51-58
  3. 김성희(1995). 과학기술이 가사노동수행약식에 미친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3(1), 71-81
  4. 김성희 . 장윤희 . 김은정 . 박상혜 . 안수미 공역(1997). 과학기술과 가사노동. 도서출판 신정
  5. 김수경 . 정유선 . 윤정숙(2002). 한 . 일 취업주부의 가사생활 실태 및 주거요구 비교. 한국주거학회지, 13(1), 1-9
  6. 김지은 . 이희봉(1993). 한국인의 식생활 문화에 맞는 부엌공간 계획을 위한 현장 연구. 대한건축학회학술발표논문집, 13(1), 7-10
  7. 김진영 . 강순주(2004). 아파트 주부의 주생활양식에 따른 가사작업공간에 대한 의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0(12), 53-60
  8. 김진영 . 강순주(2005). 아파트 거주자의 가사작업공간 사용행태와 의식. 대한가정학회지, 43(5), 17-30
  9. 김진애 . 김혜란 . 박인석 . 신혜경 . 임창복 . 조성룡 . 최재필(1994). 21세기엔 이런 집에 살고 싶다. 서울포럼
  10. 디지털 타임즈(2005). '김디냉장고 용량 키우고... 기능높이고...' 2005.9.23
  11. 박종흡 역(2003). James P.Spradley저. 문화기술적 면접법. 시그마프레스
  12. 박희진 . 김묘정(2003). 아파트 부엌공간의 부가적 기능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4(3), 101-108
  13. 소비자시대(2003). 상품가이드 대형냉장고(양문형). 2003.4월호
  14. 윤영삼 . 강병근(1998). 취업주부를 고려햔 가사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학술발표논문집, 18(2), 249-254
  15. 윤재웅 . 한지영(2001). 아파트 가사공간 만족도 및 요구도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지, 12(4), 131-139
  16. 이연숙 . 양지안 (1999). 미래부엌 개발을 위한 소비자 요구 조사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발표논문집, 1(1), 53-56
  17. 이연숙 . 이기영 . 김외숙 . 조희금 . 주인숙 . Zick Cathleen, D., Lee, Yoon G.(2002). 한 . 미 양국간 가족의 시간사용 비교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3), 139-155
  18. 임미숙 . 김석경 . 권영태 . 심방섭(1999). 가사 . 생활일체 및 재택근무형 주택개발 연구. 대한주택공사 연구소
  19. 전자신문(2004). 삼성전자-한국리서치 '가전소비행태' 조사. 2004. 8. 9
  20. 전자신문(2004). 김치냉장고, 구매성향 '대용량' 뚜렷. 2004. 11. 8
  21. 조용환(2005). 질적 연구-방법과 사례-. 교육과학사
  22. 최세미 . 이지순 . 윤정숙(2001). 아파트 규모별 발코니공간의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지, 12(3), 29-39
  23. 채로 . 이기영(2004). 맞벌이부부의 가사노동시간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5), 265-281
  24. 채옥희(2002). Commuter Marriage 남편의 가사노동 수행실태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적자원.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2), 215-225
  25. 최윤경(2003). 주택평면에 나타난 여성이 사회공간적 지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9(1), 81-88
  26. 최윤정 . 김민정(2003). 자녀양육기 맞벌이가구를 위한 아파트 단위 평면계획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4(6), 23-32
  27. 최재필 . 조형규 . 박인수 . 박영섭(2004). 국내 아파트 단위주호 평면의 공간분석 -1966년-2002년의 서울지역 아파트를 대상으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20(6), 155-164
  28. 최정신 . 한주의(2004). 수도권 주부의 취업유무에 따른 가사작업 수행과 코하우징 요구의 차이. 대한가정학회지, 42(12), 175-190
  29. 통계청(2002). 2000년 가구소비실태조사결과
  30. 한주의(2005). 맞벌이 가족을 위한 한국형 코하우징 계획안.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한겨례신문(2004). 국내 드럼세탁기 '2파전${\to}$3파전'. 2004. 11. 16
  32. 함한희(2005). 부엌의 문화사. 살림지식총서157. 살림
  33. 赤塚明子(2003). 家事を考えゐ. 家政科敎育, 77(10), 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