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 생체신호 처리를 이용한 상황인식

Context Awareness Using Wireless Biosignal Processing

  • Lee Sang-Bock (Dept. of Radiologic Science, Nambu University) ;
  • An Byung-Ju (Diagnostic Radiology, Jun 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Lee Sanyol (Dept. of Radiologic Science, Nambu University) ;
  • Lee Jun-Haeng (Dept. of Radiologic Science, Nambu University)
  • 발행 : 2005.12.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상황인식(Context Awareness)에 필수적인 정보인 사용자의 활동을 감지하고 인식하기 위한 무선 생체신호처리 시스템과 퍼지추론에 의한 사용자의 눕기, 앉기, 걷기, 뛰기의 상황을 인식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에서는 지속적인 동작관찰과 사용자의 생체운동량 및 운동패턴을 측정하기 위하여 가속도 센서인 ADXL 202JE를 사용하였다. 측정된 데이터를 RF(Radio Frequency)로 상황인식 서버에 전송하여 퍼지추론 방법으로 사용자의 상황인식(눕기, 앉기, 걷기, 뛰기)을 하였다. 실험결과 Longitudinal Accelometer Average Value의 크기데이터 만으로는 사용자가 뛰고 걷는 행동상태 판단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임의의 블록에 대한 L.A.A의 분산은 걷고 뛰는 행동 판단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it was suggested method to recognize the motion of a person(lying, sitting, walking, running) using fuzzy inference and wireless biologic signal processing system. These are to Perceive the motion of the person. Furthermore, the information of motion is indispensable parameter for Context Awareness (CA). In the present study, ADXL 202JE accelerometer sensor was used to measure for checking the continuance motion, biological quantify of motion, and motion pattern of a Person. The measured data was transmitted to CA server by Radio Frequency(RF). From the present result, we confirmed that it is difficult to decide the motion of walking and running with only the magnitude of the Longitudinal Accelerometer Average Value(LAAV) and moreover the covariance of LAAV in any block is very useful for CA of walking and running.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