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stimation Indicator System for the Environmentally Friendliness of Residential Areas

주거지 환경친화성 평가 지표체계 개발

  • Eom Boong-Hoon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 엄붕훈 (대구가톨릭 대학교 조경학과)
  • Published : 2005.11.01

Abstract

Recently, Environmental friendliness and sustainability become the main concern of residential area planning. This paper deals with the estimation indicator system for environmentally friendliness of residential areas. An interview survey was carried out for resident groups by the type of housing. 'Environmentally friendly residential site' is defined as 'A site of sustainable development with low undesirable impact on environment, friendliness to natural environments such as green areas and waters, and amenity, health & hygiene of residents' Totally, nineteen individual indicators, six categories and three principles(Low Impact, High Contact, Amenity & Health) were proposed as estimation indicator system. Residents showed high importance on principle of 'amenity & health'. Individual indicators such as 'garbage segregated collection', 'secure green areas' and 'cleanness of water and air' showed high weighting value by each principles. Satisfaction level of residents for individual indicators, such as 'garbage segregated collection', 'common gardens', and 'cleanness of residential areas', were comparatively high. By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the proposed model for indicator system was valid.

Keywords

References

  1. 경기개발연구원, 1998, 경기도 주거환경개선에 관한 연구, 125
  2. 대한주택공사, 1996, 환경친화적 주거단지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294
  3. 건설교통부, 1997, 지속가능한 정주지 개발을 위한 정책 및 제도 연구(1), 353
  4. 국토개발연구원, 1998, 주거환경의 질적 향상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158
  5. 경기개발연구원, 1995, 경기도의 쾌적환경평가 및 지표개발에 관한 연구, 287
  6. Milbrath, L. W., 1979, Indicators of Environmental Quality, UNESCO, Indicators of Environmental Quality and Quality of Life, Paris, 38
  7. Craik, K. H. and E. H. Zube, 1976, The Development of Perceived Environmental Quality Indices, In Perceiving Environmental Quality, Plenum Press, N. Y., 5-7
  8. 梶 秀樹 外, 1969, 生活環境に對する住民滿足感の造に關する硏究, 日本建築學會 論文報告集, 165, 77-84
  9. 우찌다 가쯔미, 1997, 환경을 고려한 주택단지 계획에 대하여, 한국주거학회지, 8, 9-18
  1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995, 환경보전형 주거단지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특별시, 294
  11. 한영해, 1995, 환경친화적 주거단지 기본계획,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7
  12. 한국토지공사, 1996, 환경친화적 단지계획 기법, 162
  13. 박원규, 안건용, 1998, 주거단지 환경지속성 평가지표 개발을 위한 중요 평가 항목 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6(3), 225-236
  14. 엄붕훈, 우형택, 1999, 한국형 전원주택단지의 지속가능성 지표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7(1), 64-78
  15. 양병이, 1997, 지슥가능성 지표에 의한 우리나라 주거단지의 환경친화성 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32(2), 89-105
  16. 이규인, 2002, 지속가능한 정주지 계획을 위한 평가지표 수립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편, 18(4), 143-154
  17. 변혜선, 조동우, 2001, 공동주택단지의 환경친화성 평가기법 개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편, 129-136
  18. 이강희, 황은경, 2003, 공동주택 지속가능성 평가항목 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14(6), 69-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