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프코스내 수목 근부 지역의 잔디고사 경향

Trends of turfgrass withering and dying on the base of trees in golf courses

  • 발행 : 2005.03.01

초록

본 연구는 국내 골프장의 법면에 식재된 수목의 경사도와 잔디의 피해 경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1. 법면의 사면에 식재된 수목 근부 지역의 잔디 고사가 가장 많이 발생한 방향은 상승사면 보다는 하강사면에서 주로 발생하였다. 하강사면으로 잔디고사가 진행된 것은 대부분 시험구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2. 수목근부지역의 잔디가 고사한 피해 면적은 이스트밸리 골프장 시험구의 경우, 대부분의 사면은 남향에 위치하였고, 잔디의 고사 면적이 최대인 시험구는 제 7시험구로서 남동향으로 211cm의 피해가 발생하였다. 또한 1차조사 지점에서 2차조사 지점까지의 피해 면적이 가장 넓은 곳도 역시 제 7시험구의 남동향의 82cm가 진행되었다. 3. 지산 골프장의 경우 사면의 방향은 다양하였고, 잔디의 고사가 최대인 시험구은 제 4시험구로 북향 645cm까지 진행되었다. 또한 1차와 2차의 차이는 제 11시험구가 북서향 166cm로 가장 넓은 지역에서 피해가 발생하였다. 4. 수목근부지역에서 발생하는 피해는 수목의 뿌리와 잔디의 경합 등에 의해서 발생되는 경우도 있지만 2차 피해로 토양의 침식이 동반되어 발생한 시험구도 있었다. 이 시험구의 경우에는 대부분이 상부능선에 수목이 군락으로 형성된 지역에서 대부분 나타났었다. 이와 같은 현상이 보인 시험구은 지산골프장의 시험구들 중에 제 1시험구, 제 2시험구, 제 6시험구, 제 7시험구와 이스트밸리 골프장은 제 6시험구였다. 5. 일부 시험구에서는 수목의 수관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잔디의 고사 피해 현상을 보였는데, 지산 골프장의 자귀나무가 식재된 제 11시험구의 경우엔 수목의 뿌리와 관련하지만 피해 증상이 수관의 형태에 따라서 발생하였다.무처리구 LD지역에 비하여 밀도의 차이가 컸는데, 이는 무처리구 LD지역은 양분을 축적하기 위한 토양양분 등의 부족과 잔디내 유용 탄수화물의 고갈로 인해 오히려 잔디의 밀도가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초장의 경우 복비의 무처리시 거의 잔디의 초장이 신장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잔디의 피해지역에 복비를 처리할 경우 잔디의 빠른 생장이 이루어졌다. 신초 건물중은 복비 처리전 8월 6일에 비하여 11월 6일에 이스트밸리 LD지역의 무처리구가 $1.2\%$감소하였지만 처리구는 $50\%$정도가 증가하였다. 지산의 시험 결과도 이스트밸리와 유사하였다. 신초와 뿌리의 비율(S/R)은 처리구의 경우 뿌리보다 신초의 건물중이 더 증가하였지만, 무처리구의 경우 뿌리와 신초의 생장율이 거의 비슷하였다. 포복경과 지하경의 건물중을 합한 R&S의 건물중을 조사한 결과, 이스트밸리의 경우 복비를 처리하기 전 8월6일에 무처리구인 LD지역이 처리구인 LD지역에 비하여 $5.5\%$정도가 적었지만 복비를 처리한 후엔 오히려 처리구의 LD지역이 $48\%$로 증가하였다. 지산의 결과 역시 이스트밸리와 유사하였다. 4. 이상의 결과들로 알 수 있는 것은 수목 근부에 생장하고 있는 잔디의 피해 요인들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골프장내 수목의 밀생 지역이 아닌 경우에는 광에 의한 피해보다는 오히려 양분과 수분의 경쟁에 의한 피해 발생 비율이 크다. 따라서 이들 잔디의 피해 지역에 복비를 처리함으로서 무처리 지역에 비하여 상당히 많은 효과를 보았기 때문에 수목 근부에서 생장하는 잔디의 집중관리 체계로 보다 효율적인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withering and dying trends of turfgrasses on the base of tree, and to investigated how much area of turfgrasses withering and dying were progressed on angle of inclination at golf course. Turfgrasses withering and dying on base of trees on slope was extended more to the down-solpe direction than to the up-solpe direction. This trend was common in all experiment plot. Turfgrasses on the base of trees were withered and dead by competing with tree root fur nutrients and moisture in soil. But the trend of the withering and dying in some experiment plots occurred by soil erosion following turfgrass withering and dying occurring on upside ridge. This trend was generally appeared in region of tree community at upside ridge. The form of turfgrass withering and dying on the base of tree in some experiment plots was similar to that of the tree crown. This withering and dying from occurred at the $11^{th}$ experiment plot in Ji San Golf Course and the $6^{th}$ experiment plot in East valley Golf Course.

키워드

참고문헌

  1. 이욱, 김만조, 김용중, 현정오. 2002. 리기테다소나무 F1의 기내 소포자 배양. 한국임학회지. 91(1) : 25-33
  2. 임경빈. 신고 조림학원론. 1985. 향문사. 37pp
  3. Cermak, J., J. Huzulak, and M. Penka. 1980. Water potential and sap flow rate in adult trees with moist and dry soil as used for the assessment of the root system depth. Biol. Plant.(Praha) 22 : 34-41 https://doi.org/10.1007/BF02878125
  4. Gerhold, H. D., and A. D. Johnson. 2003. Root dimensions of landscape tree cultivars, J. of Arboriculture, 29(6) : 322-326
  5. Kolb, T. E. 1988. Allelopathic effects of Kentucky bluegrass on northern red oak and yellow-poplar. J. Arboric. 14(11) : 281-283
  6. Kutrz, K. W. 1975. The selection and management of turf for shaded areas. California Turfgrass Culture 25(3) : 17-21
  7. Mauer, O., and E. Palatova, 2002. Mountain ash(Sorbus aucuparia L.) root system morphogenesis. J. FOR. SCI., 48(8) : 342-350
  8. Mickovski, S. B., and A. R. Ennos. 2003. Anchorage and asymmetry in the root system of Pinus peuce. Silva Fennica 37(2) : 161-173
  9. Steinke K., and J. C. Stier. 2003. Nitrogen selection and growth regulator applications for improving shaded turf performance. Crop Sci. 43 : 1399-1406 https://doi.org/10.2135/cropsci2003.1399
  10. Stromme, L. 2000. Tree and turf: Are they Compatible? http://www.sustland. umn.edu/implement/index.hml
  11. Sudmeyer, R. March 2002. Tree root morphology in alley systems. RIRDC Publication NO 02/024
  12. Tsutsumi, D., K Kosugi, and T. Mizuyama. 2003. Root-system development and water-extraction model considering hydrotropism. Soil Sci. Soc. Am. J. 67 : 387-401 https://doi.org/10.2136/sssaj2003.0387
  13. Wilson, S. D., and J. M. Shay. 1990. Competition, fire and nutrients in a mixed-grass prairie. Ecology 71 : 1959-19677 https://doi.org/10.2307/1937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