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의 위장관 간질성 종양에 대한 내시경 초음파의 진단적 역할

Role of Endoscopic Ultrasonography in the Diagnosis of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s in the Stomach

  • 유지훈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산백병원 외과학교실) ;
  • 김현철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산백병원 외과학교실) ;
  • 최창수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산백병원 외과학교실) ;
  • 오상훈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산백병원 외과학교실) ;
  • 최영길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산백병원 외과학교실)
  • Yoon, Ji-Hoon (Department of Surgery,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Pusan Paik Hospital) ;
  • Kim, Hyun-Chul (Department of Surgery,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Pusan Paik Hospital) ;
  • Choi, Chang-Soo (Department of Surgery,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Pusan Paik Hospital) ;
  • Oh, Sang-Hoon (Department of Surgery,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Pusan Paik Hospital) ;
  • Choi, Young-Kil (Department of Surgery,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Pusan Paik Hospital)
  • 발행 : 2005.06.01

초록

목적: 내시경 초음파 검사는 종양의 입체상을 파악하기가 용이하므로 위에 발생하는 점막 하 종양의 진단에 효과적으로 이용된다. 저자들은 위의 위장관 간질성 종양에 대한 내시경 초음파 소견을 분석하여 악성과 양성 종양을 감별할 수 있는 지표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위에 발생한 위장관 간질성 종양으로 수술하고 절제 표본의 조직 진단으로 확진한 30예(양성 종양 23예, 악성 종양 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전의 내시경 초음파 검사 소견을 조사하고 양성과 악성 종양으로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내시경 초음파 소견상 감별 지표로는 병변의 크기, 병변의 위치, 종양 내부의 낭성 병변, 종양 내의 에코성 초점, 종양 외벽 변연의 규칙성, 병변 내부의 불균질성, 종양 표면의 궤양 형성 등을 조사하였다. 결과: 병변의 크기는 악성 종양의 $85.7\%$, 양성 종양의 $8.7\%$에서 40 mm 이상이었다(P=0.000). 병변의 위치 분포는 악성과 양성 종양에 차이가 없었다(P=0.437). 병변 내부의 낭성 병변이 악성 종양의 $71.4\%$, 양성 종양의 $8.7\%$에서 관찰되었다(P=0.003). 종양 내 에코성 초점의 존재는 악성 종양 $42.9\%$, 양성 종양 $8.7\%$로 차이가 없었다(P=0.068). 병변 외벽 변연의 규칙성은 악성 종양의 $71.4\%$, 양성 종양의 $17.4\%$가 불규칙한 변연 소견을 보였다(P=0.014).악성 종양의 $85.7\%$, 양성 종양의 $13.0\%$에서 병변 내부의 불균질성을 보였다(P=0.001). 종양 표면의 궤양 형성은 악성 종양의 $28.6\%$, 양성 종양의 $8.7\%$에 발견되어 차이가 없었다(P=0.225). 결론: 종양의 크기가 4 cm 이상, 종양 내 낭성 병변의 존재, 불규칙한 종양의 외측 변연, 종양 내부 에코의 불균질성 등이 악성 종양의 가능성을 시사하는 소견으로 조사되었다. 위의 위장관 간질성 종양의 치료 방침을 결정하는데 이러한 지표들을 임상적으로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Endoscopic ultrasonography (EUS) is a useful imaging procedure for the diagnosis of submucosal tumors in the stomach.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US features of benign and malignant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s(GISTs) and assesse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Materials and Methods: Thirty patients with a GIST in the stomach were included in the study (23 benign and 7 malignant GISTs). We compared characteristic EUS findings (tumor size, location of tumor, regularity of the outer margin, echoheterogeneity, presence of cystic spaces, echogenic foci and mucosal ulceration) between benign and malignant GISTs. Results: Tumor sizes over 40 mm were observed in $85.7\%$ of the malignant and $8.7\%$ of the benign tumors (P=0.000). Intralesional cystic spaces were noted in $71.4\%$ of the malignant and $8.7\%$ of the benign tumors (P=0.003). The outer margin was irregular in $71.4\%$ of the malignant and $8.7\%$ of the benign tumors (P=0.014). $85.7\%$ of the malignant and $13.0\%$ of the benign tumors had an echo-heterogeneity in the tumor (P=0.001). The locations of tumor and the presence of echogenic foci or mucosal ulcerations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Tumor sizes over 40 mm, intralesional cystic spaces, irregular outer margins, and echo-heterogeneity in the tumor were significantly more frequent in malignant GISTs. EUS can provide informations in differentiating benign from malignant GIST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