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암 환자의 예후인자로서 림프관 정맥 및 신경 침범의 의의

The Significance of Lymphatic, Venous, and Neural Invasion as Prognostic Factors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 김치호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장석원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강수환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김상운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송선교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Kim Chi-Ho (Department of Surger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Jang Seok-Won (Department of Surger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Kang Su-Hwan (Department of Surger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Kim Sang-Woon (Department of Surger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Song Sun-Kyo (Department of Surger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발행 : 2005.06.01

초록

목적: 표준화된 술식으로 위절제술을 시행한 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병리학적 특성, 특히 암세포의 림프관, 정맥 및 신경 침범 유무가 환자의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 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1월부터 1999년 12월까진 만 5년간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외과에서 위암으로 진단되어 위절제를 시행받은 1,018명의 의무기록을 토대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통계는 chi-dquare test를 이용하고 예후 인자들은 Cox proportional hazards regression model을 사용한 다변량 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생존율은 Kaplan-Meier 방법으로 5년 생존율을 구하고 log-rank test로 검정하였다. 유의 수준은 P < 0.05를 기준으로 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for Windows (Version 10.0, SPSS lnc, USA)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결과: 각 임상병리학적 특성에 대한 단변량 분석 결과, 환자의 연령, 종양의 크기 및 위치, Borrmann형, 조직 분화도, 위절제술의 범위, 암의 위벽 침윤도, 림프절 전이 정도, 병기, 원격 전이 유무, 수술의 근치도 등이 유의하였으며, 이상의 유의한 인다들을 다변량 분석한 결과 암의 위벽 침윤도, 림프절 전이, 림프관 침범, 신경 침범 및 수술의 근치도가 독립적 예후 인자로서 유의하였다. 결론: 기존의 TNM 병기 분류법이 병의 진행 상태를 객관적으로 표현할 수 있고 기본적인 예후 인자로서 역할을 하지만, 병리조직학적 검사 소견에서 림프관 및 신경 침범 유무를 확인하는 것은 위암의 예후 판정에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Purpose: Some controversies exist over the prognostic values of lymphatic, venous, and neural invasion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prognostic values of these histopathologic factors in gastric cancer patients who received a gastrectomy. Materials and Methods: Data for clinicopathologic factors and clinical outcomes were collected retrospectively from the medical records of 1,018 gastric cancer patients who received a gastrectomy at Yeungnam University Medical Center between January 1995 and December 1999. A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using the SPSS program for Windows (Version 10.0, SPSS Inc., USA). The Kaplan-Meier method was used for the survival analysis. Prognostic factors were analyzed by using a multivariate analysis with Cox proportional hazard regression model. Results: Ages ranged from 21 to 79 (median age, 56). A univariate analysis revealed that age, tumor size, location, gross type, depth of invasion, extent of gastrectomy or lymph node dissection, lymph node metastasis, distant metastasis, lymphatic invasion, venous invasion, neural invasion, pathologic stage, histologic type, and curability of surgery had statistical significance. Among these factors, lymph node metastasis, curability of surgery, neural invasion, lymphatic invasion, and depth of invasion were found to be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by using a multivariate analysis. Venous invasion showed no prognostic value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Conclusion: Neural invasion and lymphatic invasion are useful parameters in determining a prognosis for gastric cancer patient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