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lity Assurance of Gastric Cancer Surgery

위암 수술의 질 관리

  • Lee Hyuk-Joon (Department of Surgery and Cancer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Yang Han-Kwang (Department of Surgery and Cancer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이혁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암연구소) ;
  • 양한광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암연구소)
  • Published : 2005.06.01

Abstract

Quality assurance may be defined as the complete set of systemic actions that is required to achieve a better treatment result by standardizing treatment and by using various audit programs. In general, application of a quality assurance program in surgery is considered to be more difficult than it is in chemotherapy or radiotherapy. However, recently, the importance of quality assurance in the surgical field has been emphasized in clinical trials comparing different surgical procedures and evaluating the role of postoperative adjuvant therapy. In the case of gastric cancer surgery, excellent quality assurance programs have rarely been applied in most large prospective clinical trials. Although the quality assurance in Dutch trial was conducted very systemically and strictly, the situation is quite different from ours. On the other hand, several quality assurance programs in Japanese trials comparing D2 and D2 plus para-arotic lymph node dissection seem to be applicable to Korean clinical trials. Several factors, including selection of appropriate surgeons based on personal experience and annual number of operations, standardization of surgical procedures by education and consensus, development of a unified database program, application of standardized perioperative management, and standardization of pathologic examination, are required to guarantee a successful multi-institutional prospective clinical trial. In contrast, one needs to realize that protocols that are too strict and sophisticated can make the enrollment of patients and surgeons more difficult and can promote protocol violation during the clinical trials. (J Korean Gastric Cancer Assoc 2005;5:79-88)

질 관리란 진료 행위의 표준화 작업과 행위의 다양한 평가를 통해서 더 나은 치료 결과를 얻고자 이루어지는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작업이다. 일반적으로 외과 영역의 질 관리는 항암화학치료나 방사선치료에 비해 적용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최근 다기관 전향적 임상시험이 활발히 진행되면서, 두 가지의 수술법을 비교하거나 수술 전후 보조요법의 유용성을 확인하는 임상 연구에서 있어서 수술의 질 관리의 중요성이 점점 더 강조되고 있다. 위암의 경우 몇몇 대규모 전향적 임상시험이 시행되었으나 수술의 질 관리가 만족할 만한 수준으로 유지된 경우는 많지 않다. 유럽에서 시행되었던 D1-D2 림프절 절제술 비교 임상시험은 수술의 질 관리에 많은 노력을 기울인 연구였으나 우리나라의 실정과는 차이가 있는 반면, 현재 일본에서 시행 중인 D2와 D2 및 대동맥 주위림프절 절제술을 비교하는 임상시험에서는 우리에게도 적용 가능한 질 관리 프로그램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향후 위암 수술에서의 다기관 무작위 전향적 임상시험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learning curve 와 연간 증례 수를 고려한 치료자의 선택, 다양한 교육 및 의견 교류를 통한 수술 방법의 표준화, 체계적이고 통일된 전향적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의 개발, 표준화된 수술 후 환자 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표준화된 수술 후 환자 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병리 검사 및 병리 기록의 표준화 등이 요구된다. 하지만 지나치게 세세한 표준화 작업 및 너무 많은 감시 프로그램은 환자 및 치료자 대상군 확보를 어렵게 만들고 프로토콜 위반율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