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ase of Locally Recurrent Gastric Cancer at Kim's Tie Site of the Jejunum after a Total Gastrectomy

위전절제술 후 Kim 's Tie 부근 공장에 국소 재발한 위암환자 1예

  • Bae Byung-Gu (Korea Gastric Cancer Cancer of Anatomical Pathology, Seoul Paik Hospital, lnje Medical College) ;
  • Suh Byoung-Jo (Korea Gastric Cancer Cancer of Anatomical Pathology, Seoul Paik Hospital, lnje Medical College) ;
  • Yu Hang-Jong (Korea Gastric Cancer Cancer of Anatomical Pathology, Seoul Paik Hospital, lnje Medical Colleg) ;
  • Kang Yun-Kyung (Korea Gastric Cancer Department of Anatomical Pathology, Seoul Paik Hospital, lnje Medical College) ;
  • Kim Jin-Pok (Korea Gastric Cancer Cancer of Anatomical Pathology, Seoul Paik Hospital, lnje Medical College)
  • 배병구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서울 백병원 한국위암센터) ;
  • 서병조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서울 백병원 한국위암센터) ;
  • 유항종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서울 백병원 한국위암센터) ;
  • 강윤경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서울 백병원 해부병리학과) ;
  • 김진복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서울 백병원 한국위암센터)
  • Published : 2005.03.01

Abstract

Despite improvements in the surgical treatment of gastric adenocarcinomas, the recurrence rates remain high in patients with advanced-stage disease. Most of the recurrence occurs within 3 years of the surgical resection, and nearly $90\%$ of the patients with recurrence die within 2 years of the diagnosis of recurrence. A recent study analyzed recurrence patterns for patients who had undergone a potentially curative gastrectomy. For those patients, $33\%$ of the recurrences involved locoregional sites, $44\%$ the peritoneum, and $38\%$ distant sites. A 51-year-old female patient was diagnosed with stomach cancer and underwent a total gastrectomy with D2 lymph node dissection during Oct. 1999. The pathologic report indicated a T3N1M0 tumor. We performed immunochemotherapy for 2 years with regular follow up. A gastrofiberscopic examination done during sep. 2004, cancer recurrence was found at the Kim's tie site of the jejunual loop. We did an abdominal exploration and a segmental resection of cancer site with pathologically negative resection margins. After the operation, we started secondary chemotherapy with TS-1.

위암은 국내에서 발생 빈도가 가장 높은 암으로서 근치적 절제술 및 확대 영역 림프절 절제술의 도입과 더불어 술후 보조 항암화학요법 및 면역요법 등의 이용으로 최근 치료성적의 향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수술적 치료를 포함한 치료법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형태의 재발을 경험하게 되고, 대부분의 재발은 3년 이내에 일어난다. 재발양상으로는 크게 국소재발, 원격재발, 복막재발 등이 있으며, 여러 가지 재발양상이 한꺼번에 보이는 경우도 있다. 이 중 국소재발의 호발 부위로는 림프절($48\%$), 문합부($32\%$, 잔존 위($20\%$)의 순으로 보고되고 있다. 증례: 51세의 여자 환자로 1999년 10월 진행성 위암으로 근치적 위전절제술을 시행 받았고, 당시 병기는 T3N1M0(IIIa,AJCC 1997)이었다. 수술 후 10회의 보조적 정맥 주사용 항암화학요법 및 경구용 항암화학요법을 2년간 실시하였고, 외래를 통한 추적검사상 약 5년간 재발을 보이지 않았으나 2004년 9월 시행한 내시경상 Kim's tie 부근공장에서 궤양성 병변을 발견하고 조직검사를 시행, 병리학적으로 낮은 분화도를 보이는 인환 세포암종 형태의 위선암 재발로 진단하고 수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방법은 Kim's tie 위치를 포함해 근위부 6.5 cm, 원위부 4 cm의 절제연을 두고 공장부분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당시 다른 복부장기로 전이는 없었으며 전이성 복수도 없었다. 수술 후 별다른 합병증 없이 회복하였으며 보조 항암화학요법 제제로써 TS-1을 사용하며 외래 통한 추적검사 중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