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st Efficiency Analysis of Korean Credit Unions by Stochastic Frontier Approach

확률적 프론티어 접근방법에 의한 신용협동조합의 효율성 분석

  • 강은경 (서울여자대학교 경영경제학부)
  • Published : 2005.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X-efficiency of Korean local credit unions in 2001 by employing the stochastic frontier approach. This study uses the intermediation approach in order to define outputs and inputs of the credit unions. We define the outputs as the amounts of loans, and securities. The inputs are labor, deposit and physical capital. The price of labor is estimated by dividing the total wages by the number of employees. The price of deposit equals total interest divided by total deposit, and the price of physical capital is also computed to divide the total sales and administrative expenses by the physical capital. By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average efficiency score is 0.81. This fact indicates that credit unions can reduce their inputs by 19% for the given outputs. If results are arranged into quartiles based on the efficiency, inefficiency of top 25% credit unions is below 9%, and half of them is over 17%. In addition, e result shows that the efficiency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region and size even if credit unions in Seoul and Daegu showed little difference in efficiency by size. Generally, medium size credit unions are more efficient than large size.

본 연구는 SFA 방법을 이용하여 2001년도 우리나라 7개 대도시 194개의 신용협동조합에 대한 효율성을 측정하였다. 필요한 투입요소들을 선택하기 위하여, 반응변수는 총비용을 설명변수는 산출물과 투입물을 고려하였다. 이때, 산출물로는 대출채권과 상품유가증권, 투자유가증권의 합으로 정의되는 유가증권을 고려하였으며, 투입물로는 단위당 투입가격을 고려하기 위해서 직원수 1인당 인건비(인건비/직원수), 예금 1단위당 예금이자(예금이자/예금), 유형자산 1 단위당 판관비(판관비/유형자산)를 고려하였다. 전체 신용협동조합의 효율성 분석결과 50%의 신용협동조합들이 가장 효율적인 신용협동조합보다 약 17% 이상 비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상위25%의 신용협동조합들이 가장 효율적인 신용협동조합보다 약 9% 이하로 비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과 자산규모에 따라서 신용협동조합별로 효율성의 차이가 있었는데, 서울과 대구에서는 규모간 효율성의 차이가 없었지만 나머지 지역들에서는 중규모 신용협동조합의 효율성이 대규모 신용협동조합의 효율성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