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nnouncement Effects of Stock Repurchase and Stock Dispositions on Shareholder Wealth

자기주식 취득 및 처분 공시가 주주의 부에 미치는 영향 - 취득 및 처분목적을 중심으로 -

  • Sul, Won-Sik (Division of Business and Commerce, Cheonan University) ;
  • Kim, Soo-Jung (Division of Business Administration, University of Seoul)
  • Published : 2005.06.30

Abstract

This study intends to verify whether stock repurchase, as well as stock dispositions, affects shareholder's wealth and also whether repurchase/dispositions has varying impact de-pending on its purpose. According to empirical analysis, announcement of stock repurchase results in positive abnormal returns when the objective of stock repurchase is stock price stabilization or cancellation of shares. However, when the purpose of stock repurchase is granting incentives to executives/employees, we get the negative abnormal returns. Also, the termination of stock trust for reason of expiration or stock dispositions of which goal is to give incentives to executive/employees has a negative impact on stock price, whereas direct dispositions of stock to raise cash or to improve financial structrue are shown to significantly increase the wealth of shareholders. Cross-section analysis also confirms that stock repurchase and dispositions has different impact on excess returns depending on its purpose.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the dispositions of stock should be regarded as an important financial strategic tool to be used by companies and what's more, such studies dealing with stock repurchase or dispositions should take firm's purpose into consideration in their approach.

본 연구에서는 자기주식 취득 뿐 아니라 자기주식 처분도 주주의 부에 영향을 미치는가와 취득목적 및 처분목적에 따라 주주의 부에 미치는 영향이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가를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주가 안정 목적이나 이익소각 목적의 자기주식 취득 공시는 양(+)의 초과수익률을 주지만, 임직원에게 인센터브를 제공하기 위한 자기주식 취득 공시는 음(-)의 초과수익률이 나타남을 발견하였다. 또 임직원 인센티브용 자기주식 처분이나 만기로 인한 신탁계약 해지는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운영자금 조달이나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자기주식 직접처분은 주주의 부를 유의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횡단면 분석에서도 자기주식 취득 및 처분은 그 목적에 따라 초과수익률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다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기주식 처분도 중요한 재무전략의 하나로 인식되어야 하며, 나아가 자기주식의 취득이나 처분에 관한 연구는 그 목적을 감안하고 접근해야 함을 시사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