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e Study on the Investigation of Leachate Contamination from Waste Landfill Using Electromagnetic and Magnetic Methods

쓰레기 매립장 주변의 침출수 오염조사 사례: 전자탐사 및 자력탐사의 적용

  • Son Jeong-Sul (Geotechnical Engineering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 Kim Jung-Ho (Geotechnical Engineering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 Yi Myeong-Jong (Geotechnical Engineering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 Ko Kyung-Seok (Geological and Environmental Hazards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손정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반안전연구부) ;
  • 김정호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반안전연구부) ;
  • 이명종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반안전연구부) ;
  • 고경석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 Published : 2005.05.01

Abstract

In this study, we offered the results of geophysical and geochemical survey on the municipal waste disposal area to delineate the size and extent of leachate contamination. Preliminary to intensive geochemical investigation, we performed two geophysical methods to characterize the survey area. Electromagnetic (EM) and magnetic method were used far site investigation. From the EM method, we can get the information of soil conductivity directly related to the leachate of the contaminations and from magnetic anomalies we can find the boundary of landfill which is not identified on the surface due to soil capping. The results of geophysical survey were well matched to those of geochemical method carried out inside and near the landfill. Electric conductivity (EC) of the groundwater sampled from low resistivity anomaly region of EM result was higher than background value and the border estimated from the magnetic survey showed good agreement with that estimated from the soil gas detection survey.

이 연구에서는 생활쓰레기 매립장 주변에서 침출수로 인한 오염조사를 목적으로 전자탐사와 자력탐사법인 지구물리학적인 조사 기법과 지하수 시료 분석과 토양가스 탐사법을 수행하였다. 본격적인 지구화학적인 모니터링 이전에 매립장의 경계 및 침출수의 오염상황을 살펴보기 위한 사전탐사의 개념으로 탐사가 수행되었다. 전자탐사 기법을 이용하여 매립장 및 그 주변의 토양의 전기전도도 분포를 구하였으며 이를 통해 침출수로 인한 오염상황을 파악하였으며, 자력탐사의 기법을 통해서는 지표에 드러나지 않은 매립지의 경계를 추정할 수 있었다. 전자탐사를 통해 확인된 침출수의 오염양상은 매립장 주변에 설치된 모니터링의 지하수 분석 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자력탐사를 통해 확인된 매립지의 경계는 토양가스 조사 결과와도 일치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물리탐사 기법의 토양오염조사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지구화학 탐사결과를 통해 그 결과의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